심리학이 제갈량에게 말하다 1 - 탁월한 전략으로 승리를 추구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정주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흥미로웠다. 제갈량에 대한 해석을 이렇게 할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기준은 삼국지연의를 기준으로 했다. 차라리 이게 낫다. 역사가 아닌 것에 굳이 역사를 들먹일 필요는 없기에 차라리 소설만 계속 이야기하는 편이 좋다. 제갈량의 심리적인 부분이 어떤지에 대해서 정리해 놓았는데 결론을 말하면 실수의 연속으로 적어 놓았다.

아니 세기의 천재로 명성 높은 제갈량이 실수 투성이?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을 법하다. 저자는 제갈량에 대해서 완전체로 보이고 싶어 하는 실수투성이의 사람으로 적어 놓았다. 실수를 하는데 잘 들키지 않았다. 그렇지만 나중에 그 실수를 이렇게 만회하였고 저렇게 만회하였다. 뭐 이런 식으로 저자는 썼다. 접근 방법에 참신함을 느꼈다. 그 이전에 조조에 해석도 재미있었는데 제갈량은 더 재미있는 해석이라 생각했다.

완전무결해 보이던 제갈량이 계속 실수를 했고 적당히 그 실수를 무마했다. 뭐 이런 내용인데 맞는지 틀리는지를 떠나. 저렇게 해석할 수 있구나 그리고 제갈량을 저렇게 그리는 사람도 있구나 하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저 책만 갖다 놓고 보면 제갈량은 운이 좋아 저렇게 되었고. 계속 실수를 해서 실패를 한 사람이다.

해석을 저리 해 놓으니 신 같은 존재로 그린 제갈량이 참으로 인간적으로 보였다. 오히려 하찮게 보일 정도가 되었다. 재미있는 해석이라는 생각이다. 전반부는 어찌어찌 제갈량의 전성기 시절을 그려 놓은 것으로 보이고 2권은 제갈량의 전성기가 끝난 어떻게 보면 제갈량의 운이 다 한 시기를 정리해 놓은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심리학으로 들여다보기
이타적인 행위는 사실 이기주의에서 비롯된다. 남을 위한 배려나 남을돕고 이롭게 하는 일 자체가 자신을 위한 행위이기도 하다는 의미이다. 오로지 남을 위한 이타적 행동은 불가능하다. 하늘에서 내려온 천사라 해도이는 가능하지 않다. - P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