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시민불복종 ㅣ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8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황선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3년 5월
평점 :
헨리 데이비드 소로, 그의 명저 <월든>을 통해 초월주의적이고 자연주의적인 모습에 인상깊은 감정을 느꼈던 시간들이 얼마 지나지 않았던듯 하다.
자연 친화적인 삶을 살며 물질문명 속 인간의 이기적인 마음, 탐욕을 버리고 사회와 정부에 저항하는 생태주의적 사유를 가진 그의 의식을 접하며 오늘 우리 사는 사회의 나, 우리의 심리적 근본과의 차이에 대한 괴리감으로 마음이 뒤숭숭하다.
허나 제목만으로 생각한다면 왜 시민 불복종일까? 결국 저항적 의식을 가진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읽히는데 누구에게, 왜, 어떻게를 고민하게 한다.
나, 우리에게 복종을 강요하는 존재는 사회와 국가에 다름이 아니고 보면 결국 나, 우리는 사회와 국가에 불복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국가불경죄 혹은 국가모독죄 등과 같은 불온자로 낙인찍힐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정부와 사회의 의미, 가치를 어떻게 생각하고 판단해야 하는지를 지금까지는 잘 몰랐지만 소로의 시민불복종을 읽으며 그 의미와 가치를 통해 나,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혼동을 바로잡고자 한다.
이 책 "시민불복종" 은 앞서 이야기 한 대로의 정부에 대한 불복종을 의미하며 소로는 '가장 적게 다스리는 정부가 가장 좋은 정부다' 라는 주장으로 시민불복종의 핵심을 꼬집어 주장한다.
흔히 우리는 정부라는 주체에 대해 복종, 또는 순종해야 하는 존재로 인식한다.
그런 정부에 대해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를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싶다.
소로의 주장대로라면 정부와 사회는 개인의 자유를 억악하고 복종하게 하려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개인의 자유는 정부의 그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점점 더 효율성이 강조되는 측면으로 바뀌어 간다고 한다.
정부를 '기껏해야 편리한 수단'일 뿐이라고 이야기 하는 소로는 자신을 무정부주의자나 정부가 당장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가 아니라 정부가 점진적으로 나아지길 바라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억압과 복종을 통해 효율을 시스템화하는 정부가 아니라 존중할 가치가 있는 정부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그 옛날 19세기에 생각하고 실천해 낸 독립적인 존재감을 보여 준 소로의 모습에 현실의 나의 모습이 갖는 괴리감에 적잖은 부끄러움이 일어난다.
가장 마음에 드는 문구 하나가 눈에 보인다.
"다수가 사실상 옳고 그름을 결정하는 정부 말고 양심을 따르는 정부는 있을 수 없는가?" 하는 문장이다.
현대 사회는 효용을 강조하는 편의의 법칙을 강조하는 터에 다수결의 원칙을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을 법칙처럼 통용시킨다.
하지만 다수결의 원칙에 따르는 옳고 그름은 그것이 진실을 결정짖는 것과는 하등 상관이 없고 오직 효율과 편의만을 따져 결정하게 되는 시스템화된 악순환의 고리이다.
그러한 편의의 법칙은 나, 우리 모두에게 암묵적 강요와 복종을 강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소로의 말대로 나, 우리는 편의의 법칙을 따를것이 아니라 양심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하는 사회, 정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그로서 우리는 사람이 먼저 되고 국민이 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늘 우리가 생각하는 '함께'의 의미를 다수의 의무가 편의를 따른다면 절대 그 선을 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그 과정속에 윤리, 도덕 등은 시스템적 사고의 조연이며 우리는 무도덕, 무윤리적 의식으로 온전히 자기 자신의 삶을 자기 방식대로 꾸려 나가야 함을 강조한다.
자기 방식대로의 삶, 인두세를 내지 않아 감옥에 가는 경험을 하고도 소로 그가 주장하는 자기만의 방식, 자기만의 삶을 과연 우리는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스스로 생각해 보아도 결코 그런적은 없는것 같다.
소로는 양심을 벗어난 행위로의 삶을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양심은 자신의 자기다움을 외면치 않음으로써 올바른 결정과 삶의 근원을 투영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
정부와 사회를 통해 나, 우리는 편의적 삶의 재물이 되어 살아가고 있다.
양심은 그러한 나, 우리에게 삶을 올바르게 살아가고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스스로 결정하는 자기 결정의 최적화를 이뤄낸다.
그 결정이 비로소 자기 방어적이고 자기다운 삶의 기준점이 된다면 나, 우리는 이 시점에서 지금까지 나, 우리가 가진 정부와 사회에 대한 관점이나 의식을 다시 점검하거나 생각해 보아야 한다.
시민불복종, 어떻게 생각하면 부정적 시선으로 읽혀질 수도 있는 제목이지만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양심선언과도 같은 의미를 자신의 삶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것 같다.
사회, 정부 모두가 편의, 효용, 시스템적인 움직임으로 우리를 이끌 때 나, 우리는 '함께'의 의미에 숨겨진 왜곡된 의미에 노예가 되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정부다운 정부, 사회다운 사회는 양심적인 나, 우리가 만들어 나간다고 생각하는 것이 시민불복종의 결론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