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37
김동훈 지음 / 책세상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사회를 유지, 작동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일까? 문화, 경제, 가정, 사회적 가치관...등등의 많은 대답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것보다는 아마도 학벌로 이루어진 관계라는 생각이 든다. 우선 학벌이란 것은 우리사회에서는 특정대학교를 중심으로 뭉치는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다. 선배는 후배를 끌어주고 후배는 선배를 모시는 풍토 자체에는 그리 큰 문제점이 없지만 이것으로 인해서 공적인 관계를 사적인 관계로 전락시키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른바 좋은 학벌을 얻기 위해서 오늘도 많은 학생들이 학원, 과외로 내몰리고 있으며 좋은 학벌을 지니지 못한 많은 젊은이들은 취업, 결혼에서 좌절을 경험하고 있다. 도대체 학벌이란 것이 무엇이길래?..이리도 많은 사람들이 학벌의 커다란 벽 앞에서 쓰러지는 것일까?

저자에 따르면 우리의 학벌 숭배 사상은 단지 근대에 이르러서 생긴 것이 아니라 조선시대에 확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과거제도를 통해서 관리를 선발했는데 과거시험의 통과는 곧 신분상승을 위미하였다. 이것이 근대, 현대로 이어지면서 과거제도는 대입시험으로 변화하였고 명문대의 입학은 곧 사회적 성공이라는 등식의 성립을 믿으며 지금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는 능력을 우선하는 현대의 추세에 어쩌면 역행하기에 더욱 많은 문제를 유발시티는 것 같다.

학벌이 인생을 좌우할만큼 중요한지 솔직히 나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내가 인생에서 학벌로 인한 차별보다는 이점을 많이 얻을 수 있기때문에 이런 말을 너무 쉽게 하는 것인지는 모르지만...학벌의 숭상은 고대시대에 널리 행해졌던 왕실내부의 혼인 풍습의 변형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학벌을 가진 자는 학벌사회를 더욱 굳건히 해서 그들의 권리를 최재한 지키려하고 이를 얻지 못한 자는 인생의 실패자가 되고...아무튼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