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산의 일기장 - 백문백답으로 읽는 인간 다산과 천주교에 얽힌 속내
정민 지음 / 김영사 / 2024년 12월
평점 :


* 컬처블룸으로부터 책을 증정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주변 사물을 바라보는 명철한 판단력과 그 당시 사회상을 남들과는 다른 통찰력으로 분석하는 시각의 책들을 많이 집필하고 사람들을 계몽시키는 일을 해왔던 것 같다. 그가 쓴 흠흠신서라는 책을 보면 그 당시에 형사 사건에 대한 통찰력이 드러나 있는데, 지금의 죄법정주의나 여러 가지 형사소송의 절차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현대의 법이론을 알고 있는 것처럼 다양한 형사적인 지식과 시각을 견지한 것 같았다.
나는 흠흠신서의 매력에 매료돼서 이 책을 읽기로 결정했는데, 이 책에서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조금 더 책의 내용에 대해 그가 생전에 썼던 글들, 그 중에서 그의 일기장과 그가 보낸 편지와 더불어 그가 받은 편지들을 분석해서 마치 다산 선생의 마음속에 깊이 들어가서 깊은 내면을 알아볼 수 있는 책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 당시에는 마치 한시처럼 시를 짓듯이 편지를 주고받은 것 같고, 그래서 한시를 좋아하는 분들은 옆에 한자가 나와 있고, 바로 그 왼쪽에 한글 해석이 있다 보니 한시를 짓거나 한시를 해석하는 것을 즐겨하는 분들, 또는 한자어 문장에 대한 번역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이 책에서 정말 많은 편지글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도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산이 보내고 편지를 받은 상대방의 답장을 보여주는 부분에서 그들 사이의 속마음을 자세하게 알 수 있는데, 보통 편지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겉으로 드러나기보다는 숨기고 있는 속마음을 글로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내용은 다른 일반적인 저술된 책들보다 좀 더 비밀스러운 내용들을 다루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중반 부분에는 예전에 서학이라고 불리는 천주교를 조선시대에 믿었다는 이유로 종교적인 탄압과 위협을 받았던 다산 선생의 상황이 자세하게 드러나 있었고,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서로 주고받은 시 역시 매력적인 시가 가장 돋보이는 책이었다고 생각한다.


그 당시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신변에 대한 내용들과 심지어는 다산이 살던 시대의 임금이었던 정조 임금과의 관계까지 옛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역사를 교과서에 적혀 있는 것보다 조금 더 사적이고 조금 더 디테일하게 느껴볼 수도 있는 책이었다.
다산은 여러 가지 일기를 썼는데 편지글뿐만 아니라 일기들도 이 책에 나와 있는데, 다산이 쓴 일기장은 금정일록을 포함해 다양한 일기가 있고, 그 일기들의 이름이 의미하는 것들부터 시작해서 어떤 내용들을 가지고 있는지 처음에는 각 상황들이 나와 있고, 그 상황들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내용들이 뒤를 잇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요즘에는 다산 선생과 관련된 책이 서서히 출판이 되고 있는 중인데, 이 책이 다른 어떤 책들보다 다산 선생에 대해서 더 깊고 더 확실하게 그리고 무엇보다도 디테일하게 이해를 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꼭 다산 정약용 선생 한 분만이 아니라 그 당시의 사회상 그리고 주변에서 있었던 일들을 통해서 역사적인 관점에서의 통찰력을 위해서도 읽을 수 있는 책이라서 기본적으로 역사를 좋아하시는 분들께는 매우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책 속에서 여러 글들을 읽으면서 인간의 마음의 깊이에 대해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