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구절이다. 벌써 몇 번을 반복하여 읽고 있는지 모르겠다. ‘함께 맞는 비‘라는 유명한 구절이 여기서 연유하였음을 이제야 알았다. 아~ 신영복 선생님. 나는 당신을 너무 늦게야 알았습니다.

사람은 스스로 도울 수 있을 뿐이며, 남을 돕는다는 것은 그 ‘스스로 도우는 일‘을 도울 수 있음에 불과한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저는 "가르친다는 것은 다만 희망을 말하는 것이라"라는 아라공의 시구를 좋아합니다.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으며 함께 걸어가는 공감과 연대의 확인이라 생각됩니다.(2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기의 말들 -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문장 시리즈
은유 지음 / 유유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끌려 산 책이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막연히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심에 블로그를 운영하며 끄적여 온지 10년이 넘었다. 꾸준히 쓰지 못한데다 체계적으로 연습하지 못하여 비문과 중언부언함이 넘쳐났다. 지금은 사라진 야후블로그가 시작이었는 지금 당시의 글을 읽으면 부끄럽기 짝이 없다.

글쓰기 책은 이전에도 산 적이 있지만 다 읽지도 내 것으로 소화시키지도 못했다. 그러다 지난 번에 읽은 <서평 쓰는 법>과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책이란 점에 끌려 무작성 샀다. 게다가 부제가 끌렸다.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라니! 제목은 이상(?)했으나 부제만큼은 유혹되기 적당했다.

책을 펼치면 왼쪽 면엔 저자가 고른 쓰기와 관련된 명언이, 오른쪽 면에는 저자의 수필같은 글쓰기 경험담이 실렸다. 그러니 왼쪽 면에는 공백이 많다. 그럼에도 명언이 주는 묵직함에 쉬 읽고 넘어가질 못했다. 몇 번을 곱씹어 읽으며 소화했다. 가령 김영하 작가의 글은 글쓰기에 대한 깊은 통찰을 말해준다. ˝기록한다는 것은 조수간만처럼 끊임없이 침식해 들어오는 인생의 무의미에 맞서는 일이기도 하죠.˝ 이런 문장을 어찌 휘리릭~ 읽고 지나칠 수 있겠는가. 여백의 미학이랄까? ㅎㅎㅎ

이어진 저자의 글에도 학인들과 진행하는 글쓰기 강좌의 편린들이 나온다. 그곳에서의 경험이 자신을 성장시키고 한 걸음 더 나가가게 하고 있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그게 다가 아니다. 여기에도 글쓰기에 대한 저자의 명언들이 줄줄이 나온다. ‘불순물과 첨가물은 몸에도 나쁘고 글에도 해롭다. 화려한 요소가 얼마나 많은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요소가 얼마나 적은가가 글의 성패를 가른다‘, ‘글쓰기란 생각의 과정을 담는 일이다. 생각을 완성하는 게 아니라 중지하는 것이다. 글쓰기에는 충분한 시간이 아니라 정해진 시간이 필요하다.‘, ‘부사와 접속사를 빼라!‘ 등 저자의 직접 체험에서 나온 글쓰기 자세, 방법들이 오른 면에 녹아 있다. 글쓰기 이론서가 담지 못하는 저자의 직접 체험과 경험이 내 시선을 끈다.

<서평 쓰는 법>을 통해 서평의 쓰는 맛을 익혔다면 <쓰기의 말들>을 통해 쓰는 맛을 간접적으로 느꼈다. 그래서일까 막 쓰고 싶어진다. 글쓰이의 유혹이 밀려한다. 외출하고 돌아오는 길에 저자의 수필집을 한 권 샀다.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 . 아직 밀린 책들이 많지만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기의 말들 -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문장 시리즈
은유 지음 / 유유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 혼란스럽다. 적어도 나의 경우엔 독후감 수준으로 서평을 시작했다. 그러다 잘 쓰고 싶은 욕심에 책 속의 좋은 문장들을 인용하거나 전문가들의 글을 베꼈다. 남의 것을 훔치는(?) 과정을 통해 아주 미세하나마 나도 성장함을 느꼈다. 특별한 단어나 예상 밖의 문장구조를 배웠고, 무엇보다 솔직함과 전문성 함양을 배웠다. 그 과정을 통하며 일말의 양심과 잘 쓰고픈 욕망이 생겨났다. 즉 남과 다른 나만의 결과물을 만들고 싶어졌다. 행내내기보다 ‘다르게 보기‘와 같은 자세로 쓰기 시작했다. 여전히 전문가 단계에 오르지 못한(솔직히 오를 마음도 없지만) 아마추어 서평가에 그치고 있지만 나만의 방식으로 쓰고픈 욕망에 자판을 두들기고 있다. 

처음부터 잘 쓰기란 힘들다. 아니 불가능하다. 그러니 흉내내기란 미숙한 어린이가 어른 행내내기를 통해 성장하고 결국 자신의 길을 가는 것처럼 필요한 과정이 아닐까? 그러나 이것이 위 저자의 말처럼 일정 단계에 올랐는데도 반복되면 위험하다. 그것은 자기 글이 아닌 남의 글을 훔쳐 남의 글로 내 방을 도배하는 것이니까.  들쑥날쑥한 자신의 생각을 잡고 정리하는 단계에 올라선  서평가나 독자는 위대하다. 그건 누가 알아주던 아니던 자신의 생에 자기만의 고유한 영역을 개척한 탐험가는 존경받아 마땅하다.

이 책은 자꾸책 잡념이 들게 만든다. ㅎㅎ

"글쓰기는 감각의 문제다. 남의 정신에 익숙해질주록 자기 정신은 낯설어 보인다. 들쑥날쑥한 자기 생각을 붙들고 다듬기보다 이미 검증된 남의 생각을 적당히 흉내 내는 글쓰기라면 나는 말리고 싶은 것이다."

은유, <글쓰기의 말들>, 유유, 2016, 139쪽 인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杜門卽是深山 (두문즉시심산).
문을 닫아 걸면 곧 깊은 산중이라.

국립중앙박물관을 지낸 미술사학자 최순우는 주위의 만류를 무릎쓰고 북향 한옥을 구입했다. 주인의 정을 듬뿍 받은 집은 그가 떠난 지금 시민문화유산 1호로 지정되었고 이를 일반에 개방하고 있다. 이 집에는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편액이 있다고 한다. 이를 본 저자는 아래처럼 글을 썼다.

저자가 왜 아래와 같은 글을 썼는지 이해가 된다. 저런 곳, 즉 ‘나만의 공간‘을 갖고픈 게다. 우리 집에도 나만의 작은 공간이 있다. 하지만 그곳에 들어가면 가족에게서 소외될까 두려워 거리를 두고 있다. 다시 문을 열어야 할까 보다.

"최순우가 글을 쓰던 방이 딱 그랬다. 방에서  창호지 문을 열면 뒤뜰이 펼쳐진다. 햇살과 바람과 잎새가 서로를 어루만지니 깊은 산중처럼 아득하다. 이 멋진 ‘자기만의 방‘에서 최순우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라는 책을 썼다."
은유, <글쓰기의 말들>, 유유, 2016, 129쪽에서 인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쓰기의 말들 -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문장 시리즈
은유 지음 / 유유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읽자니 더 나아갈 수가 없다. 어디에라도 걸어두고 반추하고 싶어진다. 정말이지 내 삶에서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도전하고 전복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경전과 법전이 재해석되듯이.

아래 글은 은유, <쓰기의 말들>, 유유, 103쪽에서 옮겼으며,
원전은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