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의집중의 감금 - 여유가 없는 사람에게 환경얘기 No.

연구에 따르면 형편이 쪼들리는 사람은 발등의 불에만 신경을 쓰게 되므로 삶의 다른 여러 가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인지적 여유가 없어진다.
773
어떤 극심한 ‘결핍’이 발생한 사람은 ‘주의집중의 감금attention capture’ 상태에 빠진다.
774
어떤 핵심적 결핍은 블랙홀처럼 다른 모든 사안을 빨아들인다. 부족한 것만 생각나고 다른 문제들은 인식 속에 끼어들 틈이 없어진다. 한 실험에 따르면 배고픈 상태에서 영화를 본 사람은 영화의 다른 내용에는 관심이 없고, 먹는 장면만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75
결핍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이 정도라면 우리가 왜 기후행동에 있어서 사회적 차원을 결정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지금 당장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기후위기가 귀에 들어올 리 만무하다. 여유가 없는 사람에게 다른 어려운 문제까지 고민하라고 또 강요한다면 그것 자체가 ‘인지적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고통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쟁, 각자도생을 선택하는 대한민국. 통계자료 포함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사람이 초유의 고통을 겪고, 국가가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직후에 전국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발표되었다.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물질주의 성향이 변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763
조사자들은 코로나를 겪은 한국인들이 생태환경과 삶의 질, 공동체적 연대 의식을 중시하는 쪽으로 삶의 태도를 바꿨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상식적으로 온당한 가설이었다.
그러나 예상은 크게 빗나갔다. ‘분배와 성장 중 무엇이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성장’(43.6퍼센트)을 택한 사람이 ‘분배’(25.7퍼센트)를 택한 사람보다 더 많았다. ‘개인 간의 능력 차를 인정하고 경쟁력을 중시하는 사회’(61.1퍼센트)를 택한 사람이 ‘개인 간의 능력 차를 보완한 평등사회’(14.7퍼센트)를 택한 사람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세금을 적게 내는 대신 위험에 대한 개인의 책임이 높은 사회’(50.4퍼센트)를 선택한 사람이 ‘세금을 많이 내더라도 위험에 대한 사회보장 등 국가의 책임이 높은 사회’(22.3퍼센트)를 택한 사람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경쟁과 자율’ 그리고 ‘연대와 협력’ 간의 선택에 있어서 ‘경쟁과 자율’이 더 많이 나왔고, ‘경제적 성취’와 ‘삶의 질’ 간의 선택에 있어서도 ‘경제적 성취’가 더 높게 나왔다. 이런 응답은 2년 전 동일한 문항으로 조사했던 결과보다도 더 심해진 경향을 보였다. 즉, 한국인들은 코로나19와 같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미증유의 사태를 겪고 나서도 각자도생형, 경제성장 지향형 사회를 더욱 선호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결론이 난 사안을 마치 합의해서?

과학적으로 이미 결론이 난 사안을 마치 토론을 통해 ‘합의’해야 할 문제인 것처럼 보도하는 방식은 구체적 행동을 지연시키는 결과만 초래한다.
757
특히 기후변화 문제에서 이런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데, 그것을 피하기 위해 ‘증거의 비중에 따른 보도Weight-of-Evidence reporting’ 이론이 등장했다.
7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욕물이 더럽다고 아이까지 버린다.

구시대적 성장 논리와 패러다임에 사로잡혀 있는 모습도 눈에 띈다. 한국인의 강력한 경제성장형 가치관이 기후위기 보도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환경과 경제를 제로섬 관계처럼 설정하거나, ‘기후변화도 중요하지만 경제발전을 감안해서 속도와 수준을 조절해야 한다’는 식의 완곡어법으로 기후행동에 제동을 건다.
정파적 이유로 기후행동을 위한 정책을 공격하는 태도도 일부 관찰된다.
752
예를 들어 정부가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보급하려고 할 때 새로운 제도의 도입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실수를 거세게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 문제는 그것이 새로운 제도의 안착을 위한 건설적 비판을 넘어 그 제도 자체를 거부하는 방향으로 귀결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목욕물이 더럽다고 아이까지 버리는’ 결과가 나올지도 모른다.
753
일부 언론은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핵발전이 대안이라는 논리를 제시한다. 핵발전소의 각종 문제에 대해서는 눈을 감고 탈핵에 따르는 문제만 부각하는 경향이 있다. 탈핵을 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가 태양광 사업을 반대하는 논리와 연결되곤 하는 특징도 확인된다.
7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커뮤니케이션의 딜레마

언론·미디어의 기후커뮤니케이션은 딜레마에 빠지기 쉽다.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은 사람에게 기후위기의 위험을 사실 그대로 전달하면 공포감과 반발심을 자극하여 그런 메시지 자체를 거부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위험의 수위를 조절하여 정보를 전달하면 반발심은 덜하겠지만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낮춰 커뮤니케이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두 방법 사이의 적절한 타협점이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