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pcc 1차보고서부터 코로나까지. 30년. 앞으로의 30년은?

1990년 8월 말 IPCC는 기후변화에 관한 첫 번째 「1차 평가종합보고서」를 발간했다.
851
당장 탄소 배출을 중단하더라도 온실가스의 누적효과 때문에 기후가 안정되려면 수십 년이 더 걸릴 것이라는 충격적인 경고가 이때 공식적으로 등장했다. 그 후 보고서에서 우려한 바가 계속 입증된 역사가 되풀이되었다. 보고서가 나오고 정확히 30년 뒤, 2020년 8월 말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팬데믹의 쓰나미로 멈춰 서 있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30년 후는 어떤 모습일까? 국회미래연구원과 중앙일보가 펴낸 「2050년에서 보내온 경고」에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등장한다.

저는 2019년 2월에 태어난 올해 31살의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2050년 8월 1일 오후 2시, 서울 도심 온도가 섭씨 43도까지 올랐습니다. 게다가 사흘 연이어 찌는 듯한 폭염입니다. 오존경보는 이제 일상화가 됐습니다. (···) 매년 여름철이면 주변 고령의 어르신들 부고訃告가 많이 들려옵니다. 물론, 살인적 더위 때문입니다. 더 심각한 것은 앞으로도 해가 갈수록 더 더워질 거라는 겁니다.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이미 돌이킬 수 있는 임계점을 넘어버렸습니다.
852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되었을 때 한국은 감축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비부속서 개도국으로 분류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압핀효과

이것을 시민운동의 ‘압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846
크게 보아 사회 변화를 위한 행동의 흐름은 두 가지로 나타난다. 압핀의 머리에 해당하는 폭넓은 사회의 압력이 있고, 핀 끝에 해당하는 전문화된 시민운동이 있다. 예리한 핀 끝이 있어야 압핀을 꽂을 수 있다(구체적 기후정책 효과). 그러나 압핀을 꽂으려면 우선 넓은 머리가 있어야만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대중적 지지).
"제대로 된 기후위기 대응은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의 힘과 의지를 모아낼 때에만 가능한데, 이를 가능케 해주는 유일한 길이 민주주의의 복원"이라고 한 기후연구가 김선철의 지적은 정확히 이 점을 겨냥한다.
8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담론의 대중화. 예술계까지.

예컨대 비과학 분야의 연구와 출판 활동, 언론 미디어의 기사, 탐사보도, 칼럼, 토론 프로그램, 토크쇼, 연예프로그램, 스포츠 중계, 심지어 코미디 프로에서도 기후와 관련된 대화가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비슷한 취지로 리베카 월리스Rebecca Willis는 기후정책이 아무리 훌륭해도 "민주적이지 않으면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한다.
843
기후운동가 빌 매키븐도 "모든 곳에서 모든 이들이 참여하는 길고, 깊고, 진지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844
지금까지 기후위기 담론의 이론적 토대가 주로 ‘스템STEM’에 속하는 자연·기술·공학·수학 계열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면, 앞으로는 ‘셰이프SHAPE’에 속하는 인문·사회·경제·예술 계열이 기후담론의 토대를 넓혀갈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대한 대화. 세밀한 대화

또는 공공 정치철학에서 권장하는 본격적인 ‘거대한 대화’도 있을 수 있다.
840
이때 거대한 대화란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들이 자기들끼리 익숙한 방식으로 이야기하는 ‘세밀한 대화’보다 훨씬 더 규모가 큰 대화를 말한다.
841
IPCC 과학자들 혹은 기후정책 결정자들이 논하는 전문지식이 ‘세밀한 대화’라면, 비전문가들—일반 시민들과 비과학 계열의 지식인들—이 기후위기에 관해 나름의 견해, 논리, 해법을 제시하는 ‘거대한 대화’가 있을 수 있다.
과학 지식이 부족하다고 해서 기후위기에 자기 의견을 내지 못한다는 법은 없다. 반드시 과학적 패러다임 내에서만 기후대응에 관해 논의해야 한다는 법도 없다. 과학 정보 앞에서 위축되거나 압도될 필요 없이—물론 기후변화의 기본 팩트는 당연히 인정하는 선에서—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고 진지하게 의견을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르는데 아는척 하는 더닝 크루거 방식

반대로 기후변화에 대해 크게 아는 바가 없으면서 그것에 대해 확고한 견해를 가진 사람도 있다. 이런 이들일수록 단순 논리로 일반화하고, 극단적으로 부인하거나 극단적으로 비관하곤 한다. 실력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를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다.
833
국제 비교연구에서 한국인들이 기후변화를 ‘염려한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 체감하는 수준에서 유추해보면 기후행동에 큰 관심이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기후변화를 인정하고 우려한다고 답변하면서도 실제로는 무관심하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
기후변화에 관한 여론조사에 임할 때, 객관식 시험에서 정답 고르듯이 모범답안을 말했을 수도 있다. 우리는 너무 쉽게 모범답안으로서의 기후위기 ‘팩트’만을 받아들인 것이 아닐까? 영혼 없는 모범답안이 풍기는 무기력 같은 분위기가 느껴지지 않는가? 만일 이런 추측이 옳다면 한국 사회에서의 기후 비상사태는 기후의 ‘물리적 비상사태’일뿐만 아니라, 기후의 ‘소통적 비상사태’일 가능성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