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 - AI와 바이오 혁명이 바꾸는 노화의 미래
박상철.권순용.강시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자연 현상일까, 아니면 우리가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미래일까?”
이 책은 이 도발적인 질문에서 출발한다.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는 노화 과학의 선구자 박상철 박사, 디지털 헬스케어의 권위자 권순용 박사, 그리고 IT 산업 전략가 강시철 박사가 함께 펴낸 책으로, 생명과학·AI·재생의학·뇌과학·나노기술·디지털 플랫폼까지 아우르는 방대한 지식과 최신 사례를 통해, ‘노화 산업’의 최전선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과학기술이 바꾸는 노화의 의미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노화를 생물학적으로 ‘관리 가능한 변수’로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이다. 유전체 분석, 줄기세포 치료, 노화세포 제거 신약, AI 기반 예측 의료 등은 노화의 속도를 조절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현실적인 도구가 되어가고 있다. 더 이상 ‘노화 = 질병’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이 아닌, 생애 전반을 설계하는 ‘노화 경영(Aging Management)’의 개념은 특히 새롭고 강렬했다.
실용적이면서도 사유를 자극하는 구성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은 하나의 핵심 기술 또는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AI와 바이오의 결합에서 시작해, 텔로미어 조절, 줄기세포와 조직공학, 뇌 가소성과 BCI, 엑소스켈레톤, 유전자 편집, 나노 로봇, 디지털 의식, 생체 임플란트까지. 다소 기술적일 수 있는 주제를 일반 독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사례와 설명으로 풀어낸 점이 돋보인다.
특히 "디지털 존재로 확장된 인간", "K-시니어와 휴먼 플랫폼 혁명" 같은 장에서는 단지 수명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노년의 삶을 어떻게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녹아 있다. 기술의 발전이 인간 존재에 어떤 철학적, 윤리적 질문을 던지는지도 놓치지 않는다.
윤리와 존엄을 향한 시선
흥미로운 기술들 사이에서, 저자들은 끊임없이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생명을 편집하고 연장할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책의 말미에 언급되는 '홀리 에이징(Holy Aging)'은 단지 오래 사는 것이 아닌, 존엄과 자율성을 지키는 창조적인 노화의 철학을 의미한다. 노화가 수동적으로 닥치는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의 과정이라는 저자들의 관점에 깊이 공감했다.
아쉬운 점과 제언
다만 기술별 사례 소개가 풍부한 만큼, 일반 독자에게는 다소 정보량이 많아 압도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각 장마다 핵심 정리를 따로 두거나, 일반 독자를 위한 요약 페이지가 있었다면 독서 흐름이 더 매끄럽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마치며
《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는 단순한 과학 기술 소개서를 넘어, 삶과 죽음, 젊음과 늙음,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되묻는 책이다. 초고령 사회로 향하는 지금, 우리는 이 질문을 더는 미룰 수 없다. 이 책은 단지 과학자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노화의 ‘설계자’가 되어야 함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