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타 아르헤리치는 쇼팽 콩쿠르 첫 단독 여성 우승자(1965)이고 - 1949년에 두 명의 여성 피아니스트가 공동우승했다 - 아르헤리치 후의 여성 우승자는 2010년에 등장한다.


[2010년 쇼팽 콩쿠르 우승자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https://www.asiae.co.kr/article/2019030610181304026 아브제예바의 음악적 특징과 쇼팽 연주의 이슈를 설명한다.


[조명 꺼져도, 콩쿠르 우승…전설의 피아니스트가 들려주는 쇼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7704#home 아브제예바가 2010년 콩쿠르 결선 무대에서 협주곡을 연주할 때 갑자기 조명이 꺼졌었다고 한다. 


아래 글은 '클래식 vs 클래식'(김문경)이 출처.


환상 폴로네이즈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97XXXXXXX817


7회 쇼팽 콩쿠르에서는 특유의 유연하고도 파워풀한 타건으로 대가를 이룬 아르헨티나 출신 마르타 아르헤리치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16회 우승자는 러시아 율리아나 아브제예바Yulianna Avdeeva(1985~)였는데 협주곡 연주가 신통치 않아 우승 자격이 있느냐는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콩쿠르에서는 1라운드에서 3라운드까지의 솔로 그리고 결선에서의 협주곡 점수를 적절히 혼합합니다. 그러니 협주곡에서 점수를 조금 잃더라도 1라운드부터 차곡차곡 ‘마일리지’를 쌓아왔다면 1위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결선에서 협주곡 연주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1위 수상이 석연치 않게 느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간 문학동네 2020 가을' 발표작으로서 '소설 보다: 2020 겨울' 수록작이자 2021 젊은 작가상 대상작인 '그녀는 조명등 아래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전하영)는 1994년 이상문학상 대상작 '하나코는 없다'(최윤)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하나코는 없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7886&cid=40942&categoryId=33385


전하영의 이 단편에는 적지 않은 레퍼런스들이 들어 있는데 이탈리아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파졸리니에 대한 책 '파졸리니의 길'도 그 중 하나. 길고 독특한 제목은 프랑스 영화(필립 가렐 감독)로부터 가져온 것이다. 올해 나온 전하영 첫 소설집 '시차와 시대착오'에 '그녀는 조명등...'은 미수록. 뉴페이스북 인터뷰에 따르면 장편 또는 연작으로 확대해 따로 출판할 생각이 있어 "고민 끝에" 제외했다고.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7359 영화를 공부한 전하영 작가는 홍상수 감독의 영화 '북촌방향'(2011) 연출부로 일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나 카레니나의 오빠인 스치바의 부인이자, 레빈과 결혼한 키티의 언니인 돌리가 나오는 장면이다.

Self-portrait, 1910 - Zinaida Serebriakova - WikiArt.org


「이 마을에서 7베르스따를 더 가야 한다고 합니다.」

마차는 마을 길을 따라 작은 다리 쪽으로 내려갔다. 짚을 꼬아 만든 새끼줄을 어깨에 걸친 한 무리의 쾌활한 아낙들이 낭랑한 목소리로 흥겹게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지나갔다. 그들은 다리에서 멈춰 서더니 호기심 어린 눈길로 마차를 살펴보았다. 일제히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를 향하고 있는 그 얼굴들은 모두 다 건강하고 명랑했으며, 넘치는 삶의 기쁨으로 그녀의 약을 올리고 있었다. 〈모두 살아가고 있구나. 삶을 즐기고 있어.〉 마차가 아낙네들을 지나쳐 언덕으로 들어선 다음 다시금 빠른 속도로 달리자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부드러운 용수철 위에서 기분 좋게 흔들리며 계속해서 생각을 이어 나갔다.

〈사람들은 안나를 비난하지. 왜들 그럴까? 과연 내가 더 낫다고 할 수 있을까? 나에게는 적어도 사랑하는 남편이 있긴 하지.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는 아니지만, 어쨌든 나는 그이를 사랑해. 반면에 안나는 자기 남편을 사랑하지 않아. 그런데 도대체 그녀가 뭘 잘못했다는 거지? 그녀는 살고 싶은 거야. 하느님께서 그런 마음을 우리의 영혼 속에 심어 놓으셨잖아. 나 역시 똑같이 처신했을 가능성이 커. (중략) 나는 그이를 존경하지 않아. 나에게 필요하니까(그녀는 남편을 떠올렸다) 그이를 견디고 있는 거라고. 그런데 이게 더 낫다고? 그때만 해도 사랑받을 만했지. 나 나름의 예쁜 구석이 남아 있었으니까.〉 다리야 알렉산드로브나의 상념은 계속해서 이어졌고, 그녀는 거울을 들여다보고 싶어졌다. 가방 속에 여행용 거울이 들어 있었기에 그걸 꺼내려 했다. 그러나 마부와 흔들거리는 사무소 서기의 등을 본 순간, 둘 중 누군가 뒤를 돌아보면 창피할 것 같아 거울을 꺼내지 않았다. - 제6부 1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4-04-07 18: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앗, 안나 카레니나군요. 요즘 읽고 있는데 진도가 잘 안 나가더군요. 여ㅇ화처럼 사랑과 불륜에 관해서만 보여주면 좋을텐데 왤케 곁가지가 많은지. 언제 완독을 할지 모르겠네요. 부활은 재밌게 읽었는데. ㅠ
휴일 마무리 잘 하십시오.^^

서곡 2024-04-07 19:51   좋아요 1 | URL
아 그러시군요 ㅎㅎ 재미 있는 부분만 읽으셔도 되지 않을까요 ㅋㅋ 네 감사합니다 일요일 저녁 잘 보내시길요~~
 



폴로네이즈 ‘영웅’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97XXXXXXX811 Polonaise in A♭ Major Op.53 “Heroic Polonaise” (쇼팽)



"일단, 어둡고 열정적인 눈빛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들어오자마자 커피를 달라고 하더군요. 커피를 한 잔 내오자 마르타는 단숨에 들이켜고 한 잔을 더 부탁했습니다. 나는 아예 커피 주전자 하나를 가득 채워서 스튜디오에 준비해주고 음향실로 건너갔습니다. 처음에는 피아노를 시험해보는 것처럼 손가락으로 무심하게 건반을 쓸어보더군요. 그러고 나서 곧바로 〈폴로네즈 Op. 53〉를 쳤어요. 나는 그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나도 모르게 ‘지이이저스!’라고 외쳤습니다. 옆에 앉아 있던 음향기사도 ‘와우!’라고 바로 화답했고요."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왜 그렇게 빨리 치는가?"라는 질문에 쇼팽 연주의 대가 블라도 페를뮈테르Vlado Perlemuter는 늘 이렇게 대답한다. "마르타는 그렇게 할 수 있으니까요."

쇼팽은 연주자를 독점하려는 작곡가인데 마르타는 이런 유형의 인간관계를 아주 질색했다. 그러면서도 쇼팽에게 끌리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루어질 수 없는 내 사랑이지요."

그렇지만 마르타는 독주회에 쇼팽 작품이 하나만 들어 있어도 독보적인 소리가 나온다는 것을, 객석에서 즉각 행복에 겨운 신음이 터져나온다는 것을 잘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래 글은 '마르타 아르헤리치 - 삶과 사랑, 그리고 피아노'가  출처.




마주르카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7m0872a



마우리치오 폴리니의 1960년 우승은 모든 면에서 빼어난 한 아티스트를 부각시켰을 뿐 아니라 한층 더 엄격하고 객관적인 해석 스타일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폴리니의 테크닉은 비교 상대가 없을 만큼 완전무결했고 청중이 비르투오소에게 기대할 만한 수준을 몇 단계 높여놓았다. 마르타 아르헤리치의 1965년 우승은 이 수준을 결코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낭만의 바람을 다시 몰고 왔으며 음악 연주에서 자연스러움과 직관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새삼 일깨웠다고 평가된다. 폴리니는 경쟁 개념을 매우 싫어했지만 결국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함으로써 결실이 들쑥날쑥했던 몇 년의 시기를 끝내고 음악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전혀 다른 상황이었다. 그녀는 이미 8년 전에 국제적으로 알아주는 두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유럽에서 순회 연주도 했으며 발표한 음반은 만장일치로 호평을 받았다. 그럼에도 정작 그녀는 심한 슬럼프에 빠져서 자신감과 의욕을 다 잃었다. 우울증 수준의, 그야말로 실존적인 위기였다.

1965년 3월 13일에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쇼팽 콩쿠르의 역사에 일곱 번째 우승자로 이름을 올렸다.

남아메리카 출신 피아니스트가 이렇게 큰 상과 격찬을 받은 것은 처음이었다.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당연히 특별한 자부심을 느꼈다.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폴란드 라디오 방송사가 주는 마주르카 최고연주상도 함께 받았다. - 11. 바르샤바: 1965년 쇼팽 콩쿠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