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비추어봐서
자신이 겸허해졌을 때만 삶의 기쁨과 평온함을 느낄 수 있었다.
-3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차가 그대로 드러내듯이 종의기원은 변이에 대해 쓴 책이며 무한한 변이를 찬양한 책이다.-72쪽


돌연변이도 아니고 그냥 변이가 다윈에게 가장 중요한 주제였으며 그것이 모든 신비를 푸는 열쇠였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은가-73쪽


종의기원 제1장의 첫문장을 다시 한번 보도록 하자

1장. 사육재배하에서의 변이

우리가 오래전부터 사육재배해 온 동식물의 모든 개체들을 볼때 제일 먼저 강하게 받는 인상은 일반적으로 자연상태하에 있는 종 또는 변종의 여러 개체보다도 서로 차이가 훨씬 뚜렷하다는 점이다.-73쪽


종의기원이라는 책을 생명의 기원 지점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생물의 차이에서 출발시켰다는 것. 거기에는 기원을 신성시하는 관점 자체를 전복하려는 다윈의 의도가 그대로 담겨 있다-74쪽


다윈은 종의기원에서 생명의 기원 문제는 다루지 않겠다고 공언하기까지 한다-75쪽


변이하기 쉬운 생물이 사육재배하에서 변이를 멈추었다는 예는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가장 오래된 작물인 밀도 여전히 새 변종을 낳고, 가장 오래된 사육동물인 개도 역시 급속히 개량, 또는 변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 원문 중에서


생물들에게는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지만 종과 종사이의 경계를 뛰어넘는 일만은 불가능하다고 철썩 같이 믿었다.(중략)
그러나 다윈은 변이에 어떤 식으로든 한계가 있다는 기록은 없다며 과학자들을 비판하고 있다.
-77쪽



미리 고백하자면 나는 종의기원을 읽으며 지금까지 졸지 않은 적이 거의 한번도 없었다.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거나 반대로 너무나 당연한 사실들을 계속 나열하기 때문이다.-80쪽


이미 알고 있는 진화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나 확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거기로부터 멀어지기 위해서다.
˝지금-여기˝로부터 멀어질 때 우리에게는 두 갈래 길이 동시에 열린다. 하나는 다윈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길이고, 또 하나는 지금과 다른 새로운 미래로 열리는 길이다.
내가 두 갈래로 갈라지는 것, 그런 점에서 책을 읽는 것은 실천이고 수행이며 변신이다.-81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4-07-28 22: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북프리쿠키님 오랜만이예요.
이웃서재 보다가 반가운 이름 있어서 안부인사남깁니다.
날씨가 많이 덥네요.
시원하고 좋은 하루 되세요.^^

북프리쿠키 2024-07-29 00:30   좋아요 1 | URL
네 오랜만입니다. 서니데이님. 무탈하시져? ㅎㅎ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1971년 대선에서 중앙정보부가 특별한 공약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박정희 후보가 ˝한번 더 신임해준다면 후계 안물을 육성하겠다˝고 한 것을 가리키는 것인가? 당시 김대중 후보가 이번에도 박정희 후보가 승리하면 영구 집권 총통제가 실시될 것이라고 경고하자, 박정희 후보는 대통령직을 3번만 수행하고 물러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이듬해(1972년) 박대통령은 유신쿠데타를 일으켜, 자신의 공약을 스스로 휴지조각으로 만들어버리지 않았나-27쪽


아이러니하게도 박정희 정권시기에 가장 설움을 받았고 어렵게 살았던 서민이나 빈곤층이 IMF위기 이후에 특히 박정희를 지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29쪽


다시 말해 1960~1970년대 한국이라는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서 박정희는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전에도 안됐을 것이고, 같은 시기라하더라도 다른 지역(필리핀, 인도네시아, 버마 등 군부권력)에서 정권을 잡았다면 1960~1970년대에 한국인들이 이룩한 만큼의 경제성장은 안 되게 돼 있었다.
이런 점을 분명하고 명료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마누엘 칸트(1724~1804)


한 칸트 연구자는 "자연은 이성이 어떤 모습인가를 알고 싶어했고, 그래서 칸트를 낳았다"고 말했다.



내 주변에 칸트에서 시작해서 철학공부를 중도포기한 사람은 없었다.

칸트에게 매혹된다는 것은 사실 철학에 매혹된다는 것과 동의어다.(....)



칸트는 철학의 통과의례다 - 16~17쪽




시인이자 철학자인 진은영과 함께라면,

"익숙하다고 해서 잘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헤겔의 말을

뒤집을 수도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회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