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모처럼 영화를 보러 나갔다. 예매해두고 어떤 내용이었는지 한두번 찾아보고는 잊었다. 영화표가 하나 생겨서 무슨 영화를 볼까 하다, 누구와 함께 보기 어려울 것 같은 영화를 일부러 골랐다. 신도림으로 예매했는데 상영관은 단 하나고 겨우 23석의 자리는 금방 사라져갔다. 수많은 상영관들에서 되풀이되고 있는 영화들은, 나도 본 것이긴 하지만 지나치게 일률적이었다. 그게 보통이고 평범한 것일테다.

 

 집 밖으로 나설 때마다 항상 오랜만에 나왔단 생각을 한다. 어제 나갔어도 오늘 나갈 때가 되면 집 밖 공기의 냄새가 새로우면서도 익숙하다. 정류장으로 향하는 길을 오르면서 길가 건물 앞 계단, 빛이 들어선 자리에 작은 구르마를 세워두고 가만히 앉아있는 할머니를 보았다. 햇빛이 들어선 자리래도 겨울의 그것이 얼마나 따뜻하려냐마는 구르마 위에 야트막히 모아놓은 폐지를 흘긋 보고는 혼자 막막했다.

 

 버스에 앉아 오래도록 "할머니의 먼 집" 이라는 영화를 떠올렸다. "할머니의 먼 집"은 계속해서 이어지는 삶을 끝내려 아흔이 넘으신 할머니가 자살을 기도했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내가 죽는 것도 누가 죽는 것도 너무나 무서운 나는, 언제 죽으려나 아침에 일어나 또 살아있음을 지긋해하는 노년의 삶을 그때 처음 깨달았다. 알고나는 보이는 것들은 더 무서웠다. 고통스러운 삶이 계속된다는 게 어떤 것일까.

 

 예매한 영화는 "가버나움"이었다. '자인', 출생기록 조차 없는 어쩌면 열두 살인 소년. 소년은 자기 앞에 주어진 삶을 경멸한다. 자신을 낳고 형제들을 낳은 부모를 원망하여 고소하기에 이른다. 자인은 학교도 가지 못한 채 마른 몸을 휘청이며 가족의 생계를 돕는 도구처럼 쓰여진다. 그럼에도 자인은 살아내려 발버둥친다. 날선 눈에 불을 담고 삶이 주는 고통에서 달아나려는 소년의 몸짓이 애처롭다.

 

 자인은 누구를 상대로도 거릴 것 없이 욕하고 달려든다. 소소한 좀도둑질 정도는 태연히 해내고, 결국엔 사람을 찔러 잡혀들어간다. 자인의 거친 행동은 "플로리다 프로젝트"를 연상시킨다. 난간에 앉아 가래침을 뱉고 질펀히 욕을 하던 꼬마, 불완전하고 준비되지 않은 보호자 밑에서 천진히 방치되던 플로리다의 '무니'를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다시 만난다.

 

 하지만 여행길 골목에서 마주쳤다면 가방 주머니를 확인하고 발걸음을 재우치게 만들 이 각다귀같은 소년도 결국은 아이다. 디즈니랜드로 도망치면 아동보호국 직원을 따돌릴 수 있을거라 믿은 무니처럼, 자인도 커피를 많이 마시면 까만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 스웨덴에만 가면 내 방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삶이 저절로 주어질 거라 믿는다. 살아내는데 이골이 난 아이도 그 거리에선 더 교활한 어른의 희생물일 뿐이다. 

 

 제대로 된 방도, 음식도, 옷도 없이 아이를 낳아 키우는 자인의 부모는 지독히 가난하다. 남은 식구들을 위해 초경이 시작된 자인의 여동생을 나이 많은 남자에게 시집보낸다. 그 거리의 많은 소녀들이 그렇게 팔려가 비슷한 삶을 살거나 목숨을 잃는다. 고작 한두살 터울의 오빠만큼도 가족을 챙기려하지 않는 부모는 '하나를 가져가면 하나를 주시는' 뜻에 따라 또 다른 아이를 임신한다.

 

 '나를 왜 낳았나, 또 태어날 동생의 삶을 어떻게 책임질 것이냐'는 자인의 물음이 법정에 퍼질때, 그 아버지는 '나도 이런 삶을 살고 싶지 않았다. 결혼한 것을 후회한다'고 한탄하고 그 어머니는 '나는 최선을 다했다. 내 입장에 서보지 않은 누구도 나를 비난할 수 없다. 나를 비난 할 수 있는 건 자신 뿐'이라며 눈물 흘린다. 이쯤되면 빈익빈부익부의 구조를 착실히 따르는 세상과 믿지 않는 신의 존재 마저 끌어들여 한숨을 내쉰다.

 

 아이없는 삶을 살려는 이유가 예전엔 아이보다 자신의 삶을 위해서 였다면, 요즘은 아이를 온전히 책임질 수 없다면 아이를 위해서 낳지 않겠다는 선택이 많다. 아이를 좋아하고 가족의 근간을 부부와 그 2세로 보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이해가지 않을 이유겠지만 '가버나움'을 보며 절감했다. 자인의 아빠는 세상에 자신이 태어났다는 증거 -출생신고서류-를 찾는 자인을 때리며 세상에 아무 기록도 없는 유령/기생충과 같은 삶이라 소리지른다.

 

 이는 비단 가난한 나라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아무도 모른다"처럼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그늘진 생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반지하 쪽방촌에서 수급과 반찬 봉사로 삶을 연명하는 독거 노년의 삶도 그러하다. 당장 네이버 포털만 들어가도 노인, 아동, 해외, 동물 카테고리별로 정리된 빈곤 포르노가 개인이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무력감을 느끼기에 충분히 전시되어 있다.

 

 자인의 삶이 특별히 더 고단할 것도 없는 베이루트 거리를 내밀하게 파고들때도 부감하여 조망할때도 지금 내가 있는 곳이 어디인가 차마 울 수 조차 없었다. 영화관 안의 어둠이 사라지고 나면 지금 나를 채운 이 괴로움도 함께 사라질 것을 안다. 당장 내 마음이 아파 눈물이나 조금 흘리고 마는 것이 악어의 눈물과 다를 것 없었다. 실제로 영화가 끝나고 짧은 통로를 걸어나오니 백화점, 호텔과 연결된 나의 세계였다. 

 

 변한 것이 하나도 없어 눈물 흘리지 않기를 차라리 잘했다. 이 쾌적하고 풍요로운 배경 안에서 울고 난 얼굴을 하는 것은 아무 의미 없으니. 그럼에도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이 영화를 추천한다. 적어도 밖으로 흘러보내지 못한 수분이 한 사람분의 얼룩으로 남을 것이다. 사람들 사이에 더 많은 얼룩이 남으면 언젠가 얼룩을 못 보거나, 그저 가리려하지 않고, 지워야만 될 때가 올테다.   

 

 

 

  할머니의 먼 집 / 아무도 모른다 / 플로리다 프로젝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