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문학과 지성에서 출간된 대표적 연작소설집입니다. 그 당시 성남에 있었던 ‘광주 대단지‘사건을 간접적으로 다루면서 도시화의 뒤틀린 단면을 꼬집습니다. 이 사건은 서울의 빈민들을 경기도 광주군 (현 성남시)로 강제이주시키면서 나타난 생존권 투쟁사건 입니다. 주인공 권기용은 대학까지 나왔으나 처지는 도시빈민과 다를 바 없이 되어버린 처지로 그의 구두 아홉켤레는 결국 중산층으로 대변되는 그의 자존심을 상징합니다. 이 책과 더불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도 비슷한 주제,비슷한 형식의 연작소설로 처음 읽을 당시 짧은 중편소설이 여러편 모여 하나의 장편을 이루는 형식에 신선함을 느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1970년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멀쩡하던 소시민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장면들은 그 현실이 지금도 바뀌지 않은 체 세대를 이어 적용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아직도 이 소설이 읽히지 않나 생각합니다.
1988년 작가 김원일이 발표한 소설입니다. 소설이 나온 직후에 읽었으니 처음 읽은 때가 1990년 쯤으로 기억됩니다. 소설의 줄거리는 주인공 길남의 가족과 이웃들이 한국전쟁 직후 어떤 삶을 살았는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특히 대구를 배경으로 한 피난민들의 삶을 주인공과 주변이웃들을 통해 상징적으로 보여줌으로서 전쟁을 겪었던 세대의 인생을 그 이후의 세대들이 알수 있게 하는 그런 소설입니다. 저역시 젊은 시절 이 책을 읽음으로서 전쟁을 겪으셨던 부모님 세대의 삶을 일부나마 알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몇해 전 헌책방에서 제가 읽었던 1988년판 ‘마당 깊은 집‘을 다시 구했습니다. 어쩐지 신간으로 나온 ‘마당 깊은 집‘보다 구판본이 처음 읽었을 당시의 제 감정을 더 잘 되살리게 하지 않을까 해서요.
이탈리아 기호학자인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데뷔작. 미스터리 소설의 형식을 빌린 중세 지성사. 중세 학문의 중심이었던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죽음을 둘러싼 수사극으로 신학을 우선시하는 중세기득권 세력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몰래 읽다 이 기득권 세력으로부터 죽임을 교묘한 죽임을 당하는 희생자의 이야기를 실감나게 묘사합니다. 이윤기 선생에 의해 최초 번역되어 나온 당시 당시 한국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중세에 관련된 이야기로 화제를 모았고, 당시 이미 세계적인 기호학자였던 움베르토 에코가 국내에 본격 소개된 계기가 되었던 작품입니다. 제가 처음 읽었던 ‘장미의 이름‘도 이윤기 선생 번역의 최초 번역본으로 1991년 읽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 소설은 특히 프랑스의 장 자크 아노 감독에 의해 스코틀랜드 배우 숀 코네리 주연으로 영화화됩니다. 1986년 발표된 이 영화로 관객들은 처음 007이 아닌 숀 코네리를 보았으며,1990년대 청춘의 아이콘이 되었던 배우 크리스천 슬레이터의 앳된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철학의 고전인 ‘시학‘이 중세 권력암투및 살인의 원인이 되었다는 참신함이 중세에 대한 편견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개인적으로 재미있으면서도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기회가 되면 이윤기 선생이 저본으로 삼으셨을 영어판으로 다시 읽어볼 생각입니다.
오래전 출간되었을 때 읽었습니다. 장정일의 독학이란 어떤 것인지를 세상에 처음 알린 책입니다. 독서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전범을 보여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자의 생각과는 별개로 의미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1990년대 제 이십대를 대표하는 시집이라고 생각합니다. 술자리에 이 시집을 가지고 나가 뒤적였던 기억이 납니다. 1980년대까지 세운상가는 십대 후반의 고등학생에겐 성의 해방구와 같은 공간이었고 불법 복제된 서구 뮤지션들의 빽판을 사려고 학생들이 몰리던 곳이었습니다. 이 책에는 제 청춘이 고스란히 묻어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중문화를 사랑하는 모든 청춘들을 위한 헌정시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