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제1회 문학동네신인작가상 수상작, 3판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젊은날의 치기가 느껴지는 데뷔작이라고 생각한다. 처음읽은 김영하 작가의 책인데 기대보다는 못하다.

삶과 죽음이 인생의 한 부분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저자가 왜 죽음을 유도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는지는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Walk in the Woods: Rediscovering America on the Appalachian Trail (Mass Market Paperback) - 빌 브라이슨『나를 부르는 숲』원서
빌 브라이슨 지음 / Bantam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틀 전 이 책을 다 읽었습니다.
오랫동안 서재에 처박혀 있던 책을 그저 재미삼아 손에 잡았는데, 읽고 있던 다른 책들을 손에 놓을 체 이 책을 읽었습니다.

1950년대 오하이오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20년 넘게 산 작가 빌 브라이슨(Bill Bryson)은 물론 영어권에서만 산 사람이기는 하지만 일반 미국인들보다는 좀 더 독특한 시각을 가진 작가임은 분명합니다.

이전에 이 작가가 쓴 세익스피어에 대한 책을 읽을 적이 있지만 그렇게 즐겁게 읽은 기억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연히 집어든 이 책은 일단 재미있습니다.
물론 내용 자체가 작가 빌 브라이슨과 그의 고향 친구 스테판 카츠 (Stephan Katz)두 사람의 좌충우돌 애팔래치아 산맥 등정기(Appalachian Trail)에만 국한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애팔래치아라는 미국 동부의 거대한 산맥을 종주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부터 이 산맥의 종주로를 개척한 이들의 이야기, 이 산맥을 둘러싼 생태와 미국 고유의 수목들이 사라져 가는 이야기부터, 산맥을 종주하면서 만난 개성넘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모두 버무려져 들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자연생태를 배경으로 하다보니 애팔래치아 산맥에서 서식하는 곰들이 어떻게 사람들을 공격했는지, 또는 이 곳에 서식하던 산사자 혹은 퓨마 (mountain lion or Puma)가 어떻게 사람들의 사냥으로 인해 멸종되어 갔는지도 이야기합니다.

미국식 유머가 넘쳐나는 이 책에서 또 주목할 만한 캐릭터는 바로 저자의 친구 스테판 카츠입니다.
오하이오에 태어나서 이 책이 쓰여질 당시까지 계속 살고 있던 이 친구는 어찌보면 보통의 미국인들을 대표하는 캐릭터라고 생각이 들 정도 입니다.

오하이오에서 건설일에 종사하는 이 친구는 애팔래치아 산맥을 종단하러 오면서 종주에 대한 준비는 별로 하지 않고 좋아하는 음식을 잔뜩 사오고 친구의 집에서 TV를 보는 것을 좋아하는 그런 친구입니다.
결혼은 하지 않았지만 여러 여자친구를 사귀었던 경험이 있고 마음에 드는 이성과 언제 어디에서드 데이트를 하려고 노력하죠.
준비없이 산맥 종주에 나서는 이 친구는 저자와 조지아에서부터 버지니아까지 애팔래치안 산맥 종주의 남부 구간과 메인주의 가장 험난한 구간을 같이 합니다.
산행에 초보인 이 친구는 산행배낭이 너무 무거운 나머지 옷도 버리고 물도 버리고 심지어는 그렇게 좋아하는 음식도 버리고 산을 오릅니다.

이 책의 말미에 두 친구는 메인의 가장 험난한 애팔래치안 종주로에서 서로 어긋나 헤어져 버리는 사고를 당합니다.
구조가 불가능할 정도로 깊은 산속에서 고립되었던 두 사람은 각자 터득한 산행의 지혜로 이를 극복하고 결국 서로 만나지요. 그리고 이들은 이 일을 계기로 애팔래치안 산맥의 종주를 그만둡니다.

즉 이 이야기는 애팔래치안 산맥을 종주했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종주하려고 노력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산을 전문으로 타지 않는 중년의 두 남성이 좌충우돌하며 산맥을 종주하며 자연을 느끼고 문명과 자연을 되돌아보는 그런 이야기입니다.

상당히 미국적인 이야기이지만 이전에 읽어던 재난이야기 '희박한 공기속으로(Into Thin Air)'와 같은 글과는 상당히 다른 유쾌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읽고 저자 빌 브라이슨의 다른 책도 읽고 싶어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Rise of the Novel: Studies in Defoe, Richardson and Fielding (Paperback)
Ian Watt / Univ of California Pr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57년 발간된 이 책은 영국문학에 있어서 소설이라는 문학형식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는 18세기의 중요한 세 소설가를 다루고 있습니다.

다니엘 디포우, 사뮤엘 리차드슨 그리고 헨리 필딩 3인으로서 후대 영국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영국소설사의 초기 소설가들입니다.

먼저 이책을 인지하고 입수하게 된 경위부터 간략하게 말하고 시작합니다.
처음 들어보는 이 책의 이름을 접한 것은 이전에 읽었던 펭귄판 '로빈슨 크루소'를 통해서였습니다.

그 책의 편집자는 '로빈슨 크루소'에 대한 소개를 하면서 추후 읽어야 할 저서목록에 이책을 소개합니다. 이 책에 실린 로빈슨 크루소의 해설은 다니엘 디포우를 연구하는 이들이 반드시 보아야 할 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60년 전에 발간된 책이어서 사실상 읽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인천 배다리의 아벨서점을 들렀는데, 헌책더미에서 이 책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냉큼 가져와서 읽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의 전 주인은 18세기 영국의 독자를 연구한 부분과 영국소설에 대한 발전에 대한 일반론만 읽었더군요.

저는 문학전공자는 아니고 해서 그냥 처음부터 읽었습니다.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다니엘디포우는 일지(Journal)의 형식을 빌은 소설을 주로 발표했는데 영국소설사에서 개인주의(indiviualism)을 최초로 반영한 현실주의 소설(realism novel)의 효시로 불릴 수 있는 소설로 로빈슨 크루소 (Robison Crusoe)와 말 플랜더 (Mall Flander)와 같은 소설을 발표합니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알수 있듯이 다니엘 디포우의 소설은 일지형식의 일인칭 소설로서 우리가 마치 로빈슨 크루소의 하루하루를 옆에서 보는 듯한 상세한 서술을 위주로 합니다.
그 이전 고전주위적 문학자들이 일반적 서술, 신화적 서술 그리고 단일 역사에 기반된 서술을 했다면, 다니엘 디포우는 몇천년간 서구에서 지속되오던 이런 문학전통을 깨버린 선구자적 소설가입니다.

2. 사뮤엘 리차드슨 (Samuel Richardson)은 다니엘 디포우와는 다르게 소설의 주요 소비층인 여성독자를 대상으로 캐릭터들간의 사랑과 인물의 심리묘사에 치중합니다.
따라서 소설의 서술공간 자체가 주인공의 집안으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고 치밀한 인물의 심리묘사때문에 소설의 분량자체가 엄청나게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런 소설의 서술방식으로 이전까지 문학의 대상이 될 수 없었던 개인의 은밀한 사생활 (private experience)을 소설의 형식을 빌어 독자들에게 보여줍니다.
이 소설가는 이후 19세기에 현대 로맨틱소설의 모태가 되는 소설을 많이 써낸 여류소설가 제인 오스틴(Jane Austin)과 같은 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며, 20세기 들어 주인공들의 심리를 극단적일 정도로 묘사한 아일랜드 소설가 제임스 조이스 (James Joyce)등에게도 영향을 많이 미쳤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인공의 심적 상태 묘사에 치중하다보니 소설의 배경이라든지 사회상황에 대한 메시지 자체는 다니엘 디포우등과 비교하면 그의 소설에서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습니다.

3. 마지막으로 헨리 필딩 (Henry Fielding)은 위의 사무엘 리차드슨과 다르게 사실 고전주의적 문학 서술방식을 고집한 소설가로 유명합니다.
그리고 인물이 처한 상황에 대한 언어적 유희에 치중한 소설가로 comic epic이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는 소설을 집필했습니다.


이 책은 물론 위의 세 소설가들에 대한 연구가 주된 연구이기도 하지만 소설의 수용에 대한 연구도 일부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의 출현에는 중산층 부인들을 주축으로 한 여성독자의 형성이 큰 역할을 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소설이라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수많은 로맨스 ,호러 소설들이 18세기 당시 영국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 이전 책을 접할 수 없었던 많은 대중들이 소설의 대중화로 그전에 누리지 못했던 지적 유희를 즐길 수 있게되었다는 점을 저자는 별도의 장에서 설명합니다.

이책은 그래서 단순히 소설에 대한 연구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소설의 수용과 당시의 시대상황을 복합적으로 연구한 책으로서 문화사회학, 지식사회학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서적이다 보니 간간히 눈에 뜨이는 라틴어 표현과 불어표현은 이 책을 읽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킨 점이 있습니다.

또한 이책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소개를 하면서 18세기 영국의 철학사조를 같이 언급하다보니 데이비드 흄과 존 로크의 '인식론'적 철학의 내용도 일부 소개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경험론적 이해 (Human Understanding)에 대한 당시의 철학적 입장이 소설에도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고 보는 저자의 견해에 따라 소설의 이해를 위해 소개된 것입니다.

시간이 없다면 아래의 첫 세부분은 일독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1. Realism and the novel form
2.The reading publishc and the rise of the novel
3. Robinson Cruoe: individualism and the nove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obinson Crusoe (Paperback, Penguin Classic) - Penguin Classics
Defoe, Daniel / Penguin Classics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빈스 크루소(Robinson Crusoe)는 흔히 아동문학으로 알려져 있었고, 저역시도 어린시절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 다니엘 디포(Daniel Defoe)의 원문을 통해 본 이 소설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모험소설류는 아니었습니다.

영미문학권에서는 이 소설이 최초의 영문 소설 (one of the first novel in English)로 이해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마치 주인공인 로빈스 크루소의 입을 통해 아주 상세하게 묘사되기 때문입니다.
로빈스 크루소 이전의 영어권의 문학이 어떤 형태였는지는 좀 더 공부해 보아야 할 부분이지만 아무튼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의 의의를 가진 책이긴 한 것 같습니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17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이릅니다(참고로 이책은 1719년 영국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주인공 로빈스 크루소는 부모님이 영국에 남아 중산층의 삶을 즐기라는 조언을 뿌리치고 헐(Hull) 항구를 떠나 외국으로 나갑니다.

20대 후반의 어린 나이에 집을 떠난 로빈스 크루소는 사실 대단한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지만 낯선 곳으로의 항해와 여행과 모험을 통해 자기 자신이 자신의 삶을 만들어갈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고, 또한 신께 감사하는 생활자세를 가지게 됩니다.

17세기 영국에서는 노예(slave)를 당연하게 여겼고, 영국인들도 다른 나라에서 노예가 되기가 일쑤였습니다. 로빈스 크루소 자신도 다른 이들의 목숨을 구해주고 그들의 주인(master)가 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고, 그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 이들도 그를 주인으로 섬기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습니다. 이 소설의 또 다른 주인공인 프라이데이(Friday)가 전형적인 캐랙터로 소설에는 로빈슨 크루소를 섬기는 하인(servant)으로 묘사됩니다.

로빈슨 크루소는 영국을 떠나 브라질에 정착해 농장(Plantation)을 세워 부를 일굽니다. 그는 농장을 세우면서 다른이들과 지분을 합쳐 농장을 만드는데, 이 과정에 영국인들이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지분을 분배하는지 그리고 법적으로 어떤 계약을 맺는지가 상세하게 나옵니다. 영국의 식민지 지배의 경제적인 측면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지요. 유럽이 철저히 상업적으로 브라질을 개발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동업자들과 농장을 발전시켜오던 로빈슨 크루소는 수익성이 좋은 노예무역(slave trade)를 위해 브라질을 떠났다가 배가 난파되어 카리브 해 인근의 무인도에 도착합니다.
흔히들 생각하는 모험을 위해 떠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이미 상당히 외향적인 사업가이기 때문이죠.

도착한 날부터 유럽의 도시 문명에서 벗어난 로빈슨 크루소는 미개한 야만인(savages)들이 자신을 잡아먹지 않을까 그리고 야생동물로부터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지 엄청한 걱정을 합니다.
그리고 난파선에서 총기류와 화약 그리고 비상식량을 챙겨와서 생존을 시작합니다.

로빈슨 크루소가 생존하기 위해 난파선에서 물건들을 자신의 거처로 가져오는 과정, 그가 도착한 날로부터 날짜를 기록하는 과정, 일기 (Journal)을 쓰는 과정, 그리고 섬 내부를 탐사하여 자신의 식량을 자급하기 위해 포도와 보리 그리고 쌀을 재배하는 과정이 아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면서 당시 주변에서 살고 있던 미개인(savages)들이 전투에서 진 포로들과 인질들을 잡아 인육을 먹는 장면을 목격합니다. 아주 자주 말이죠.
이후 그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자신의 거처를 더 튼튼하게 보수하고 위장막을 쳐서 사람이 살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하지요.

그의 동반자가 된 프라이데이도 사실 이 미개인들이 잡아온 포로 중 한명으로 목숨을 살려준 그를 주인(master)으로 자처합니다.

28년이상 무인도에서 살게 된 로빈슨 크루소는 선상반란(mutiny)이 일어나 그가 살던 무인도에 오게된 선장을 구해주고 그 배로 영국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여기서도 로빈슨 크루소는 선장의 목숨을 살려준 대가로 무료항해와 함께 선장이 그의 명령을 따를 것을 요구하죠. 그리고 선장은 그의 요구를 따릅니다.

로빈슨 크루소는 영국에 돌아와서 자신의 브라질 농장에 대한 수익을 정산해 사업을 청산하고 자신의 후견인이 되어 주었던 이들에게 자신의 돈을 나누어주고 자신은 다시 영국을 떠나 여행을 떠납니다.

이 소설에서 주목할 점은 몇가지가 있는데,


1. 소설은 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던 한 젊은이가 무인도에 표류하면서 신을 다시 생각하게 되고 신앙인이 되는 과정을 그린 성장소설이며

2. 따라서 수많은 성서의 구절들이 인용되어 있습니다.

3. 한사람의 나약한 인간이 무인도의 주인(master)이 되고 더 나아가 무인도의 왕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리면서 영국인들이 낯선 세계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어떻게 통치해 나갔는가를 보여줍니다. 이것은 환경과 공간을 지배하는 식민주의 (colonialism)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이기도 합니다.

4. 영국인들의 유럽중심적 세계관(Eurocentrism)이 집약적으로 나타나는데, 로빈슨 크루소가 접했던 많은 비유럽인들을 대체로 미개인(savages)으로 묘사하고 있으면 은연 중 유럽만이 세계의 중심이고 문명의 중심이라는 생각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이들 미개인들이 하인(servant)이 되거나 혹인 노예(slave)가 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묘사되고 있습니다.

또 하나 주목할 사실은 영국인으로서 로빈슨 크루소는 스페인이 신대륙에서 행한 원주민 학살을 언급하며 그들의 잔인함을 비판적으로 말합니다.
아직은 영국이 제국주의 세력으로 아직 발전하지 않았고 아직 스페인의 신대륙 식민지에 대한 영향력이 막강했던 시기여서 이런 문장을 소설에 넣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16세기에 이미 스페인은 남미의 아스텍과 잉카제국을 살육에 몰아넣어 그 문명을 말살시켰기 때문이죠.

이 책은 따라서 후에 발표되는 Heart of Darkness(1899)를 비롯한 제국주의 소설들의 시작을 알리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비록 영국 식민지 제국의 초창기에 쓰여진 책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제가 읽은 이 펭귄판 로빈슨 크루소는 영어 문장 역시 언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18세기 당시의 영어로 쓰여져 있어 현대영어와는 스펠링도 의미도 약간은 다릅니다. 그리고 서술하는 방식도 다르고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읽기에는 무난한 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의 편집자가 자세한 주석을 책 말미에 달아놓았고, 특히 성경 구절에 대한 것도 상당부분 해설을 해놓았습니다. 다니엘 디포우가 소설을 쓴 당시의 원문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옛 영어를 그대로 옮겨 놓았다고 합니다.

 

끝으로 이 책의 영향을 받았던 영화 중 최근의 것을 하나 소개합니다.

캐스트 어웨이 (Cast Away, 2000)이라는 영화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톰 행크스 주연의 이 미국 영화는 영화 제목도 그렇고, 그 이야기 자체가 상당부분 로빈스 크루소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배경이 현대인지라 배 대신 비행기 추락으로 난파당하는 방식이 바뀌었어도, 도시 문명을 떠나온 주인공이 홀로 무인도에서 생활해 나가는 모습, 그리고 그리움을 잊기 위해 일하고 기록하는 모습들은 모두 그 원형(prototype)이 로빈슨 크루소의 내용을 아주 빼다 박았습니다.

 

쓰여진지 300년 가까이 된 소설이 아직도 영미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생각이 새삼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Room with a View (Paperback)
E. M. 포스터 지음 / Penguin Classics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를 먼저 본 이후 영화의 원작은 어떨까하는 호기심에서 읽었던 소설입니다.

2004년 경 읽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1985년 제작된 동명의 영화는 제임스 아이보리 (James Ivory)감독 작품으로 독특한 판타지 영화를 만들어온 팀 버튼 (Tim Burton)감독의 뮤즈 (Muse) 헬레나 본햄 카터 (Helena Bonham Carter)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영화입니다. 이탈리아 피렌체를 배경으로 1900년대 초 영국 젊은이들의 로맨스를 그리고 있습니다.

에드워드 시대의 영국의 관습과 사회상을 유머러스하게 그린 것으로 알려진 소설이기도 합니다.

영국소설 자체에 대한 관심으로 읽었음에도 이전에 본 영화가 소설을 충실하게 묘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당시의 관습에 따라 집안에서 정해준 남자와 약혼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주인공 루시가 피렌체에서 만난 조지와의 감정이 사랑이었음를 깨닫게 되는 줄거리입니다.
현 시점의 로맨스 소설의 관점에서 보면 진부할 수도 있는 줄거리라고 생각이 들긴 하네요.

영어권의 이탈리아에 대한 동경은 사실 이 소설이후에도 많이 보입니다.

가장 최근의 작품으로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Eat Pray Love(2010)‘ 이 생각납니다. 줄리아 로버츠 주연의 이 영화도 이혼한 젊은 미국 여인이 다이어트에 대한 강박을 벗어버리고 이탈리아 음식을 흡입하는 장면이 아주 인상적이었죠.

다음은 고전영화인 ‘로마의 휴일 (1953)‘이 떠오릅니다.
오드리 헵번(Audrey Hepburn)을 스타덤에 올린 이 영화로 많은 이들이 로마라는 도시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 되었죠.


아무튼 이 책은 포스터의 소설 중 읽기 상당히 편했던 소설로 기억되며 바로 읽기가 버겁다면 저처럼 영화를 보고 읽으시는 것도 좋은 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