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은 짧고 기억은 영영
이주혜 지음 / 창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머니가 지나온 계절은 어린 시옷이 감히 헤아릴 수도 없을 만큼 무수했을 텐데, 그 계절은 모조리 짧고 눈 깜짝할 새 이별은 영영이라고 큰고모가 할머니 영정을 향해 따지듯이 울부 짖었다.”


남편의 외도 그리고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것에 미안하다는 사과를 할 수 없다는 말을 남긴채 시골의 고향으로 떠나버린 남편, 하나 밖에 없는 딸은 자신을 투명인간 취급하지만 남편과는 덧 없이 좋은 사이.
이런 배경을 가지고 불면증과 불안증으로 신경정신과 약을 먹던 주인공은 일기를 써보라는 의사의 권유에 인터넷 검색 중 일기쓰기교실을 알게되고 참석하게 된다.


초등학생인 일기 속 주인공이 점차 자라는 과정을 읽는 내내 어린 시절 내 기억이 간질거렸다.
남아선호사상이나 그 시절의 가난함, 이를 뽑아 지붕 위에 던진다던지, 친구와 아무 것도 없는 집에서 논다던지 등에서 어떤 향수를 느꼈다. 지금과는 전혀 다른 그 시절의 ’낭만‘을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일기 속 주인공 ’시옷‘이 느꼈던 억울함이나 섭섭한 감정이 어떤 감정인지 알 것 같아서 더 몰입했던 것 같다.


각자 써온 일기를 멤버들과 서로 교환하며 공감을 받으면서 주인공도 그들 사이에 녹아드는 모습이 좋았다. 남편과 딸과의 사이도 조금이지만 변화하는 모습이 보였고, 특히나 주인공의 긍정적은 변화가 보여서 너무 좋았다.


제목처럼 그 때의 시절을 생각해보니 참 짧게 느껴지지만 추억은 오래 가지고 있다. 오랜만에 어린 시절을 생각할 수 있어서 포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 한 사람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화가 보는 장면들 ,느끼는 감정들. 나한테 확 와닿지 않아서 소설을 공감하며 읽을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 한 사람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롤로그는 나무 두 그루로 시작한다. 생각보다 강렬한 프롤로그에 매료되어 시작된 초반이었다.

5남매의 특징과 이야기, 각 개인의 캐릭터는 상당히 매력적이었다. 쌍둥이를 질투했지만 결국 쌍둥이가 되고 싶었던 금화의 이야기, 그리고 금화가 사라질 때까지 소설의 집중력은 상당했다.

그 후 목화가 꿈도 현실도 아닌 공간에서 죽어가는 사람 중 ‘목소리’가 지목하는 단 한 사람을 살린다는 이야기는 흥미로웠지만 초반의 힘이 끝까지 전달되진 않은 것 같다.
목화가 보는 장면들, 느끼는 감정들이 확 와닿지 않아서 그런듯.
프롤로그에 나온 나무와 소설 중간 중간 목화가 찾던 나무, 그런 떡밥들이 회수가 안 된 느낌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휘말린 날들 - HIV, 감염 그리고 질병과 함께 미래 짓기
서보경 지음 / 반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한 번 심어진 인식이 이렇게 무섭구나. 낙인 찍힌 사람의 무너진 삶을 누가 회복시켜 줄 것인가. 하지 않아도 될 차별이 그만되기를. 국가가 나서고 개인이 관심가져서 인식이 바뀌고 감염자와 환자에게 차별이 멈추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휘말린 날들 - HIV, 감염 그리고 질병과 함께 미래 짓기
서보경 지음 / 반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염한 사람들이 겪어낸 모든 어려운 시간들이 내일의 소중한 기억이 될 수 있기를. 그러려면 생명의 공통성 속에서 서로 이어져 있는 우리가 함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HIV에게 다른 미래를 주어야 한다.“

에이즈라는 질병은 성관계가 문란한 사람들이 걸리는 불치병이고 감염자에게 손만 닿여도 옮는 무서운 병이라는 인식이 어떻게 심겨졌을까? 커가면서 HIV는 치료가 가능하며 접촉을 통한 감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HIV/AIDS 질병, 감염자들과 그들을 부양하는 가족,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이 되어버린 사람들에 관한 책이다.


에이즈의 최초 발견은 미국에서 나타났다. 다수의 감염자 중 겹치는 한 사람이 전파를 시작했다고 보고 있으며 감염자들 모두 남성 동성애자들이었다. 이 발견을 계기로 에이즈는 동성애자 그리고 성적으로 문란한 사람이 감염된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우리나라로 오면서 그 인식은 ‘낙인’이 되었다. 1982년 에이즈의 존재를 알게된 대한민국은 1985년 주한 외국인의 첫 에이즈 환자 발생을 계기로 주변 접촉자를 찾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접객업소 종업원 모두 HIV정기 검사 대상자가 되었다.
감염자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에이즈 감염여부를 알게되고 사회로부터 에이즈 감염자라는 ‘낙인’과 동시에 암매장 당하게 된다.


이후 증상이 나타난 환자들도 병원에선 받아주질 않고 그나마 받아준다는 요양병원의 환경도 감옥이 따로 없다. 치료나 돌봄은 전혀 안되어 같이 입원해 있는 다른 감염자의 도움을 받는다. 가족들도 외면하거나 심지어 돌보는 가족들의 삶도 같이 무너진다.



사회적 인식이 이렇게 무섭다. 에이즈 감염인의 경우 면역수치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전파력도 낮다고 본다. 항바이러스제를 꾸준히 복용하면 당뇨나 고혈압처럼 만성질환으로 분류되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어쩌겠어. 내가 나를 살려줘야지. 나는 나한테 용기 를 주는 것밖에 모르니까. only know encourage myself“


내 주변에 없어서 전혀 모르고 관심도 없던 감염자들의 삶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한 감염인의 발표처럼 이들은 ‘우리는 그저 앞줄에서 먼저 바이러스를 만난 것뿐’일 것이다. 언제 내 주변 사람의 일이, 나의 일이 될지 모른다. HIV에 대한 인식 변화가 국가뿐 아니라 한 개인으로 퍼져가야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