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비'라고 하면, 아주 비천한 하층민을 떠올린다.

'노비'라고 하면, 우리 역사를 통틀어 매우 불쌍한 사람을 떠올린다.

결국, 노비는 우리와는 다르게 저주받은 운명으로 인해 평생을 허드렛일과 무시당함으로 살아간 사람들을 떠 올린다. 물론, 나와 나를 둘러싼 우리 주변의 누군가의 가족은 아닐 것이라 당연스레 생각해 버린다.

 

그러나 조선시대 전체 인구의 무려 30%가 노비였다고 하니, 실로 실감이 나질 않는다. 세명이 모이면 반드시 한명은 노비였다는 가정이 성립하는 것이다. 우리가 찬란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우리의 조상들중 상당수는 노비였고, 노비의 삶을 살았다는 가정 또한 와 닿지는 않는다. 우리가 주로 보고 있는 사극의 상당수가 조선 왕실의 이야기 또는 조선의 어느 명문가, 재상의 이야기이다 보니, 어느샌가 나도 모르게 우리 조상들의 삶은 왕실과 양반들을 연상하게 되었지만 전 인구의 삼분지 일의 삶 또한 우리의 역사였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상기하게 되었다.

 

노비의 삶은 그야말로 주인에게 하인으로 취급받는 인간상이다.  노비는 몸값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때에 따라서는 사고 파는 일이 아주 당연하게 여겨졌다. 주인에게 함부로 욕도 할 수 없었으며, 하물며 주인을 폭행하거나, 실수로라도 주인의 목숨을 빼앗았다면 죽음의 형벌은 당연한 것이고, 어떻게 죽느냐에 대한 문제로 그 형벌의 고저를 판단했다고 하니 과히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더 잔인해질수 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놀라운 것은, 이러한 노비들에게도 저마다의 환경과 자질에 따라 매우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다르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학문을 겸비하여(물론 주인을 잘 만나야 한다는 전제는 반드시 존재하지만) 오히려 양반들의 추앙을 받은 노비도 있었고, 사적으로 부를 축적하여 큰 부를 형성할 수도 있었고, 또 다른 노비를 거느리고 떵떵거리고 살아간 노비도 분명 존재했다.

 

결국, 조선은 양반의 나라이면서, 양민의 나라였고, 노비의 나라이기도 했다.

그들의 삶이 정사나 단일의 저서로 기록되지는 않았지만, 그들 역시 조선을 살아간 사람들이기에 입에서 입으로 회자되어 그들의 존재를 알리고 있지 않은가? 왕실과 양반의 삶 못지 않게 분명히 조명되고 후대에 전해져야 하는 우리의 역사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저마다의 가진 재주와 노력여하에 따라 자신의 운명을 개척할 수 있는 오늘의 삶이 얼마나 축복받은 삶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