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지역에 따라, 나라에 따라 종교 문화가 다르지만 유럽이나 아메리카의 경우 기독교 문화가 강합니다.
오랫동안 종교의 영향을 받아 언어에서도 종교의 색이 보이기도 합니다. 한국말에서도 불교의 영향을 받은 단어가 있습니다.
서양의 경우도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 생활 방식에서 종교의 색이 보이기도 합니다.
이 책 《영화설교 수업》에서는 영화에서 보여지는 기독교 문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기독교 문화를 중심으로 복음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꼭 서양의 영화만을 예시로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천만 관객을 모은 우리나라 영화 파묘는 해석하기 어려운 영화 중에 하나입니다. 기독교 신앙과 한국 무속 신앙을 연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파묘는 무속적 소재들인 풍수와 무당, 파묘, 금강경, 대살굿 등이 설교적 접근에서도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화에서 보여지는 오컬트적인 부분은 재해석이 필요합니다. 파묘는 한 집안에 닥친 질병이나 문제를 묫자리로 풀어낸 영화입니다.
또다른 천만 관객 영화인 신과 함께: 죄와 벌도 마찬가지로 설교에 어려운 소재를 가지고 있습니다.
불교 설화와 무속 신앙이 혼재된 배경으로 갖고 있고 사십구재와 윤회 사상, 지옥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사고로 죽은 소방관은 자신이 가족에게 저지른 죄에 대한 책임과 구원을 위해 공력을 쌓고 저승에 올라갑니다.
영화는 불교적 표현처럼 고해, 고통스러운 바다를 살고 있는 존재의 비애를 말하고 있고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볼 때 설명이 어렵기도 합니다.
너무나 유명한 애니 슈렉은 영화 속에 나오는 음악에 작품 전체를 푸는 코드가 숨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피오나 공주를 파쿼드 성주에게 보낸 후 슈렉이 혼자 오두막집에 있을 떄 루퍼스 웨인라이트가 부른 할렐루야가 흘러나옵니다.
할렐루야는 다윗의 내적 싸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고 슈렉은 피오나 공주를 되찾으려고 결혼식에 갑니다.
이 노래와 슈렉의 상황을 연결지어 보면 슈렉의 고민을 다윗의 고민과 동일시하며 다윗의 내적 싸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노래 가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영화설교 수업》은 영화를 통해 좀 더 이해하기 쉬운 복음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