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컬러리스트라는 것도 낯설지만 컬러리스트 실기기사 자격증이 있다는 것도 몰랐습니다.
컬러리스트 관련 자격증은 컬러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시험으로 디자인 관련 전공자들은 취업에 필요한 자격증이기도 합니다.
컬러리스트 기사, 산업기사 자격증에 응시하려면 대학에서 관련학과 4년 과정을 마쳤거나 졸업 예정자, 경력조건으로 4년이상 실무경력을 쌓아야 합니다.
이 수험서 《2025 NEW출제경향대비 컬러리스트 실기시험》은 요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컬러리스트 기사, 산업기사 실기시험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5 NEW출제경향대비 컬러리스트 실기시험》은 시험에 앞서 기본적인 색상 구성을 이해하기 위해 5색상과 그 중간색을 더한 10색상을 조색합니다.
10색상을 조색한 뒤 서로 혼합했을 때 만들어지는 중간색을 포함하여 20색상을 직접 만들어 봅니다.
명도와 채도 연습을 위해 채도 관계와 명도 관계가 있는 명도와 채도 단계 연습하기도 있습니다.
배색의 기본 원리도 배우게 되는데 색상과 색조의 조화로운 조합을 통해 만드는 배색은 동일, 유사, 반대로 구분할 수 있고 같은 조합을 통해 배색을 만듭니다.
《2025 NEW출제경향대비 컬러리스트 실기시험》은 출제경향을 대비하고 산업기사와 기사 기출문제가 따로 있습니다.
산업기사 기출문제는 1교시 3속성 테스트와 색체 재현 및 보정 실전 모의고사 18세트와 2교시엔 감성 배색 실전 모의고사 18세트가 있습니다.
기사 기출문제는 1교시 3속성 테스트, 색채 재현 및 보정 20세트, 2교시 감성 배색 20세트, 3교시 색채 계획 및 디자인 20세트 문제가 있습니다.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출제 의도는 색채디자인의 콘셉트를 설정할 수 있고 한국산업표준에 의거한 완성도 높은 시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기준색을 바탕으로 배합방법의 선택 및 조색, 보정 등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컬러리스트 기사는 프로젝트를 파악하여 설득력 있는 프로젝트 기획안을 작성합니다.
컬러리스트 산업기사와 기사 시험 시간은 약 6시간으로 필기시험의 경우 5과목 100점 만점에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합격입니다.
단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일 경우 과락으로 불합격되고 실기시험은 3교시까지 모두 합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시험시간은 정확히 지켜야 하고 수험자는 지정된 자리에 앉아 시험을 보도록 하고 다른 자리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자신이 준비한 자료만을 사용하고 다른 수험자와 재료를 나눠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시험 전엔 꼭 유의 사항을 체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