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 - 마야문명에 대한 최초의 기록
디에고 데 란다 지음, 송영복 편역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2년 4월
평점 :
『란다의 유까딴 견문록』

디에고 데 란다(지음)/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펴냄)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의 여러 책들을 읽어보았는데 매번 만족도가 높았다. 마야 문명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서의 견문록. 영화에서 우리는 주로 마야문명을 만났다. 인신공양 등 잔인한 장면을 많이 보여주고 마치,너무나 미개해서 원해 멸망할 운명이었다는 듯이 묘사하는 할리우드의 영화들에 늘 반감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문명을 멸망시킨 데에 대한 자기 합리화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중학교 역사 책에서 처음 만난 마야문명은 신비롭기만 하고, 이후 수학 스터디 모임에서 마야문명의 숫자 이야기가 나왔는데 상당히 발달한 문명이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그들의 문자나 전통이 다 사라진 점은 정말 아쉽다.
책의 저자 디에고 데 란다 역시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지 초기인 16세기에 에스파냐 신부의 자격으로 원주민들에게 선교 사업을 펼쳤다. 그는 이 과정을 기록으로 남겼으며 그의 견문록은 우리가 아메리카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원주민 탄압과 강경한 조치들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합리화를 담고 있다. 우리가 역사에서 배운 위대한 '신대륙 발견'이 정복자의 입장에서 쓰인 역사라는 것을 성인이 된 후에 알았다. 철저히 서구 중심 역사 환경에서 배운 탓이다. 다행이 요즘 초등 교과서에서는 쉬어가는 코너에서 이런 내용이 있었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은 침략인가? 아닌가? 토론하는 부분이었고 많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명백한 침략행위라고 말했다. 아이들의 눈이 더 정확할 것이다. 힘의 논리로 지배하는 과정이 이 책에도 고스란히 서술되어 있다, 단지 미화할 뿐이다.
유까딴 지역의 풍습, 여자들의 생활, 임신과 출산, 결혼, 연도 계산법, 간음이나 중범죄를 저지를 사람에 대한 처벌 법, 달력과 건축물, 유까딴 지역의 많은 동식물들을 상세히 묘사한 점은 가치가 있다. 신부가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기록했기에 마치 그날의 일처럼 생생한다. 각 챕터는 신부가 쓴 글과 해제가 첨부되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원주민들에게 포교활동을 하며 그들과 많은 부분을 공유했지만 한편으로 우상숭배에 관해 원주민을 고문하고 화형에 처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55세에 사망한 그는 사후에 에스파냐 내전 때 시신이 훼손 당하는 일을 겪고 만다.
마야인들의 먹거리, 주거형태, 사후에 장례문화 등 책을 읽다보면 그들이 상당히 수준 높은 '질서'를 유지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왜 할리우드 중심 영화에서 그들을 아주 미개하게 묘사하는지 다시 한번 반감이 생기는 부분이다. 마야문명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사료적 사치가 높은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우리가 배운 역사가 전부는 아니라는 사실을 또 한 번 깨닫는 독서였다.
#역사, #란다의유까딴견문록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란다의유까딴견문록, #디에고데란다, #송영복옮김,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마야문명, #문명우월주의, #서양중심사관에서벗어나자, #기록, #여행기,
#아메리카문명, #콜럼버스, #침략, #에스파냐, #식민지건설, #침략자, #제국주의,
#책소개, #북리뷰, #책리뷰, #신간소개, #책추천, #문명, #역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