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김초엽 작가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읽었다. 처음 들어보는 이름의 작가이고, SF관련 소설이라 장르문학이구나 싶어 별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소설집임에도 불구하고 꽤 오랜 시간 인기가 있었다. 실패하지 않기 위해 서점에서 책 제목의 단편을 읽어보았다. 집중된 장르소설이라기 보다는 과학적 소재를 적절히 다룬 사람에 대한 이야기였다. 특히나 저자가 화학을 전공해서 그런지 전문적인 과학적 용어들이 많이 나온다. 저자의 말에서 우주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따로 공부도 했다고 하니, 아직 다가오지 않은 언젠가 다가올 수도 있는 아니 전혀 불가능한 소재일지라도 그 안에 인간이 있고, 또한 저자와 평론가가 지적했듯이 아무리 과학이 발달해서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편리한 시대가 온다 할지라도, 여전히 존재할 법한 차별, 억압, 소외, 고통은 여전히 존재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특히나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라는 단편에서는 인간배아의 디자인으로 완벽한 인간 존재를 만들어 내려한다. 완벽한 개조인의 마을인 유토피아의 행성과 그렇지 못한 비개조인이 있는 디스토피아의 세계가 공존하게 되고, 개조인들의 마을에서 성인이 된 이들은 비개조인이 머무는 지구로 순례를 떠나게 된다. 그런데 그들은 부조리가 가득하고 불합리안 디스토피아 지구에 머물며 자기들의 고향 행성에 돌아가지 않는다. 그 이유를 평론가는 이렇게 설명한다.
“마을이 유토피아라면,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이 물음은 장애를 비장애로, 디스토피아를 유토피아로, 불완전함을 완전함으로 간편하게 뒤집는 대신 오히려 그 이분법적인 항들의 관계를 사유하게 된다. 마을의 아이들이 서로 사랑에 빠지지 않고 낭만적 감성도 성애도 없는 이유를 고민하며 지구로 떠나는 데이지는 어쩌면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진정한 유토피아란 신체적인 결함이 말끔하게 소거된 세상도, 그렇다고 장애를 가진 사람들만을 격리해놓은 세상도 아닐지 모른다고. 오히려 장애와 더불어 차별을, 사랑과 더불어 배제를, 완벽함과 더불어 고통을 함께 붙잡고 고민하는 세상일지 모른다고. 어쩌면 폐기해야 할 것은 소수자들의 신체적 결함이나 질병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규정하는 정상성 걔념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고 말이다.(328-329”
그 외에도 ‘스펙트럼’에서 희진이 마주한 태양계 바깥 행성의 루이라는 외계 지성 생명체와의 만남은 참으로 신선했다. 루이는 3-5년 밖에 살지 못하지만, 희진과의 만남을 끊임없이 기록했고, 희진은 루이의 언어를 이해하려고 했지만 도저히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이유가 인간처럼 음성으로 언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색채를 단위로 삼는 언언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도저히 인간의 눈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너무나도 다양하고 세밀한 색채의 차이.
‘감정의 물성’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물건들에 우리가 느끼는 감정을 대입시킨다. 그래서 어느 문구 회사는 몇 년 후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을 위로하거나 분출 시킬 수 있는 감정의 물성이라는 물건이 대박을 치게 된다. 주인공은 대체 그런게 말이 되냐고 사람들이 감정의 물성을 사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한 가지 더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기쁨이나 행복과도 같은 감정의 물성을 사는 것은 그럴듯 하지만, 우울체 제품을 대체 왜 사는 것이냐고 반문한다. 어쩌면 사람들은 우울, 분노, 공포와 같은 감정을 직접 보고 손으로 만져보아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고 극복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관내분실’에서는 지민의 엄마가 죽은지 3년 후에 엄마의 영혼이 담긴 마인드가 보관된 도서관과 같은 곳에서 생겨난 일이다. 미래에는 더 이상 매장도, 납골도 하지 않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데이터화 해서 남겨진 가족과 지인들이 만나고자 할 때 가는 도서관과 같은 곳이 생겨난다고 가정한다. 시대가 바뀌며 인간의 죽음에 대한 시선도 많이 변화되고 있지만 사후에 대한 두려움은 여전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인에 대한 그리움과 아쉬움은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