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신경 의학자이며, 책 내용은 저자의 임상사례를 모은 것이다. 하지만 그의 서술이 학술적으로는 논란을 일으키기에 충분할 것 같다. 철저히 대상을 객관화하는 시점에서 환자를 신경과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보기 보다는, 인간적인 존재 전체를 대상으로 이른바 '주체성의 신경학'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처음부터 끝까지 인간에 관한 신뢰와 존엄성, 뭐 그 정도 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뇌와 신경의 경이로움을 간직한 '사람'에 대한 존중을 잃지 않고 있다.
-올리버 색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본문중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를 포함한 올리버 색스의 저술들은 모두 신경장애라는 매우 전문적인 분야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총 4부 24편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1부와 2부에서는 주로 뇌(특히 대뇌우반구) 기능의 결핍과 과잉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3부와 4부에서는 지적장애를 지닌 이들에게서 발견되는 발작적 회상, 변형된 지각, 비범한 정신적 자질 등 현상적인 징후들과 관련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
각 에피소드마다 ‘뒷이야기’ 코너를 삽입하여, 저자가 만난 같은 증상의 다른 환자에 대한 경험들을 덧붙이고 있어요.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들과 치료 여부조차 미지수인 신경질환 환자들의 임상 기록을 이야기를 들려주듯 독특하게 기록한 이 책의 방식은 의학계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던졌다.
극도의 혼란 속에서도 성장과 적응을 모색하며 자신의 감추어진 능력을 일깨워나가는 환자들. 그들의 모습을 저자는 신경학자로서의 전문적 식견과 따스한 휴머니즘, 인간 존엄에 대한 애정과 신뢰 가득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아주 작은 뇌 손상이 몸 전체의 기능에 영향을 끼치고, 삶을 송두리째 바꿀 수 있고, 괴팍한 성격과 돌발적인 행동으로 주변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이웃이 오히려 관심과 배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올리버 색스의 책은 전문 분야의 지식을 대중들에게 알기 쉽게 전달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서, 사회의 의식 수준을 올려준 책이다 . 미국의 대학에서는 신경학 뿐아니라 여러 교과목에서 널리 읽혀지고 있다.
이웃에 대한 관심과 이해, 배려가 필요한 시대
자기 자신의 온전한 삶을 살기에도 벅찬 현대인에게, 자신과 행동을 달리하는 사람, 비정상적인 태도로 자신을 불편하게 하는 사람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보기란 쉽지 않다. 올리버 색스의 책은 우리에게 ‘따뜻한 지성’의 모범을 보여줌으로써 사람이 사람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함께 사는 길을 생각하게 한다.
우리가 당연시하는, 내 몸과 나 자신에 대한 자각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기억이라는 것이, 망각이라는 것이 삶에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단지 치료 방법을 잘 모를 뿐, '정신병'도 결국 뇌가 '아픈' 것이라는 점.
그리고 신기한 듯 바라보는 주위의 시선에 또 다른 고통이 덧씌워진 삶이 거기 있다는 것.그리고 때때로 불굴의 의지가 삶의 의미를 계속 줄 수 있다는 것.
**건강하다는 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사고로 혹은 선천성 증상으로 뇌질환을 겪고 있는 분들이나 신경증적인 문제가 있으신 분들 , 같이 살아가는 옆에 있는 이웃들에 대해서도 관심있는 격려와 시선 편견들을 생각해 볼수 있었다.
본문중
그는 자신의 몸조차 제대로 볼 수 없었지만, 대신 음악에 맞춰 행동할 수 있었다. 바로 그 때문에 그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내면의 음악'이 멈추면, 그는 당황해서 행동을 딱 멈추고 말았다. 그리고 그것은 외부 세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표상과 의지로서의 세계>에서 쇼펜하우어는 음악을 '순수 의지'라고 불렀다. 그가 만약 P선생,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완전히 상실했지만 음악 즉 의지로서 세계를 완전히 파악하는 P선생을 만났다면 얼마나 매료되었을까? (45쪽)
우리가 우리 자신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기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자기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필요하다면 되살려서라도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 즉 지금까지의 이야기인 내면의 드라마를 재수집해야 한다. 우리의 정체성, 자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한 편의 이야기 즉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내면의 이야기를 필요로 한다. 그와 같은 이야기에 대한 필요성, 아마도 그것이 톰슨씨가 장광설 만들기에 필사적인 이유를 설명해주는 단서이기도 할 것이다. (214쪽)
"발작이 일어나서 행복했습니다. 일생에서 가장 건강하고 행복했던 경험이었습니다. 이제 어린 시절의 기억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자세한 부분까지 낱낱이 떠올릴 수는 없지만 분명히 있었다는 것만은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비로소 나는 어느모로 보나 만족스럽고 완전한 존재가 되었답니다." (271쪽)
만일 장애가 없었다면 그는 카루소 같은 대가수가 되었을까? 아니면 음악적 재능의 발달은 어느 면에서는 뇌장애와 지능 장애에 대한 보상이었을까? 답은 아직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그의 아버지가 친밀한 부자관계 또는 저능아인 아들에 대한 헌신적인 애정을 통해서 음악적인 소질뿐 아니라 음악에 대한 정열까지도 그에게 전달했다는 사실이다. 아버지는 아둔하고 덜 떨어진 마틴을 사랑했고, 그도 아버지를 열렬히 사랑했다. 그리고 부자간의 애정은 음악에 대한 사랑을 공유함으로써 더욱 끈끈하게 맺어졌다. (346쪽)
"조, 그 숫자(4875)는 어디가 특별하지?" "13으로도 나누어지고 25로도 나누어지는 점이요." "7241은 어디가 특별하지?" "13과 557로 나누어지는 점이요." "그럼 8741은?" "그건 소수예요." (3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