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챙김 미술관 - 20가지 키워드로 읽는 그림 치유의 시간
김소울 지음 / 타인의사유 / 2022년 3월
평점 :

사람은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마음과 파괴시키려는 마음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한다. 태생부터 형을 대신한 삶이라는 말을 들으며 자랐던 빈센트 반 고흐, 목사였던 아버지는 자신의 뒤를 잇길 바랐고 고흐는 미술을 배우고 싶어 했다. 외삼촌 딸을 사랑했던 고흐의 구애를 받아들이지 않은 케이, 임신한 매춘부 시엔, 어머니 병간호를 지극정성으로 하던 마호 베게만.. 이들과의 사랑도 순탄치 않았다. 아후 동료 화가들과의 교류도 삐걱거렸고 자신의 그림에 대한 칭찬도 곱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노란 집이라 불렸던 건물에서 화가 공동체를 만들기 원했지만 쉽지 않았고 그나마 함께하던 고갱과도 <해바라기를 그리는 반 고흐> 속 자신의 모습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크게 싸우고 발작을 일으켜 귀를 자르는 일이 발생했다. 이후 정신요양원에 입원, 자신이 그림을 그리던 밀밭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아버지로부터 인정을 받고, 누구를 대신한 삶이 아닌 그만의 삶을 살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다시 한번 느낀다.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을 아무렇지 않게 넘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작은 것도 크게 느끼는 이들이 있다. 같은 사건이라도 체감하는 온도는 사람 개개인마다 다를 텐데.. 나는 외부의 자극에 얼마만큼 민감한 사람인지 가늠해 보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