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르 식물 이야기 1 쑥쑥문고 27
앙리 파브르 지음, 이상권 옮김, 이상권 그림 / 우리교육 / 199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가지 식물들은 이 지구상에 많이많이 존재한다. 아직 세계에 알려지지 안은 식물들도 있다. 그런데 이런 식물들은 어디에서 생겨나는 것일까 하는 궁금증이 들기도 한다. 진짜로 식물은 어디에서 태어난 것일까? 

모든 것은 씨에서 태어나다. 씨앗 안에 있는 어떠한 것들이 나중에는 그 씨앗의 크기에 몇십만배가 커지는지 우리는 잘 알수 없다. 이러한 모습이 바로 식물의 놀라움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식물의 씨를 비교하자면 달걀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각 씨의 안에는 배라고 하는 아주 작은 식물이 있고, 배는 자라는 데 필요한 영양분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영양분들은 우리들이 즐겨먹는 식물성 기름이나 당 그리고 녹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은 씨에도 이렇게 많은 물질들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는 생각이 든다. 

식물의 씨는 모양과 빛깔이 제각각 다르다. 미루나무의 씨는 우산처럼 생기고 바람을 잘 타고 멀리 날라간다. 단풍나무와 같은 경우 씨는 프로펠러의 모양을 하고 있어 이동을 할 때에는 뱅긍뱅글 돌면서 날아간다. 또 야생 당근의 씨는 온 씨앗이 갈고리 같은 것으로 뒤덥혀져 있어서 동물이나 사람의 옷이너 털에 붙어서 멀리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씨에서는 정말 말도 못할정도로 작은것이 있다. 용담의 씨는 검정 가루의 형태로 되어져 있습니다. 그 씨의 모양을 보려면 현미경을 사용하여야 볼 수 있다. 작은것이 있다면 큰것이 있기도 마련다. 코코스야자의 씨는 무게가 무려 20킬로그램이나 나가고 럭비공 만큼 크다. 

식물에 대해 알수없는 것들은 정말 무수히 많다. 하지만 이런저런 일이 생기다 보면 식물에 대한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될것이다. 식물은 미지수와 같이 정말 알수없는 생물이라고 생각하고 종류도 얼마나 많은지 알수 없다. 그러한 식물의 매력이 정말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과 어둠 - 영재과학 물리 시리즈 1
잭 챌로너 지음, 박병철 옮김 / 승산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 하면 생각나는게 대부분 손전등 태양 등등 많은 것들이 생각이 난다. 하지만 이 책에는 이 빛에 숨에있는 쓰임이 얼마나 많은지 알려주고 있다. 빛이 어디어디에 쓰이는지 찾아보고, 원리를 파악하여 보자. 

빛은 원래 직선으로만 나아가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거울을 만들 수 있게되었다. 거울은 유리뒤에 아주 어둡게 만들도록 검은색의 판이나 칠 등을 하여 빛이 반사되 다른 물체를 보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거울은 거울을 보는 방향의 각도에 따라서 자신이 보는곳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유는 자신이 보는쪽의 반대되는 각으로 물체가 비추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잠만경이다 잠만경은 주로 잠수함에 사용돼며 빛의 반사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 내용으로 빛이 반사되는 사건으로 인해 여러 실험과 실험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로 아는 이야기도 있기는 하지만 다시 되집허 볼 수 있게 되어서 좋다. 

빛을 이용하여 다른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 간단한 실험으로는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검은색 종이에 볼록렌즈를 올려놓고 빛을 모으게 되면 열 에너지로 바뀌어 지게 되면서 종이가 타게 된다. 이 실험은 내가 초등학교 에서도 자주 하던 실험놀이중 하나이다. 열 에너지로 바꾸게 할 수 있는 또다른 실험으로는 여러가지 거울을 한 곳에 집중시켜 그곳에 음식을 데울 수 있게 된다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해본적은 없지만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빛 에너지는 무한히 사용하여 여러가지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볼록렌즈로 종이를 태우는 것과 마찬가지로 열을 발생하여 음식을 데울 수 있다는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탱의 과학노트 - 요리 cook 조리 cook, 요리로 배우는 신기한 물리. 화학
에르베 티 지음, 김영신 옮김 / 여성신문사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일상 화학, 물리로 많은 사람들이 생명을 유지하고 생활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주로 사용하거나 알고 있는 물리와 화학은 무엇일까? 

장마비가 추적추적 내릴 때 하늘 위에는 번쩍거리고 콰르릉 하는 소리들이 들린다. 바로 천둥과 번개이다. 천둥은 말 그대로 하늘에서 들리는 소리이고, 번개는 하늘에서 번쩍이는 불빛이다. 그런데 왜 항상 빛이 번쩍인 후에야 천둥이 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그러한 이유로는 바로 빛과 소리에 대한 속력의 차이 이다. 빛은 1초에 30만킬로미터를 달리고 빛은 1초에 380킬로미터를 달린다. 빛은 1초에 지구를 7곱바퀴 반을 돌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빠른 속도로 달린다. 내가 아는 지식으로는 빛이 얼마나 빠른지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광년을 말하면 알게 된다. 광년은 빛이 1년동안 간 거리를 말하는데 일광년은 비록 1년이지만 어마어마하게 멀리까지 간다. 지구에서 태양까지 초광속 비행기로 간다면 약 30년이 걸린다는데 빛으로 가면 7분밖에 걸리지 안는다. 그처럼 빛과 소리가 하늘에서 생겨날 때 소리는 늦어서 빛보다 늦게 오게 되는 것이다. 빛이 얼마나 빠르고 얼마나 멀리까지 가는지가 되게 신기하고 재미있다.  

극지방에서는 우리가 알고있는 에스키모인들이 살고 있다. 에스키모인들은 지금은 건물에서 살고 있지만 예전에는 이글루를 만들어서 생활하였다. 그런데 그런 무척이나 차갑고 추운 얼음집에서는 불을 사용할 수도 없을 상황인데 어떻게 생활을 했을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에스키모인들의 노하우가 있다. 바로 이글루 집 벽에 물을 뿌리는 일이다. 차가운 벽에 물을 뿌린다는 것은 더 춥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예상은 빗나간 것이다. 물이 얼게 되면 물은 사방으로 열을 방출하게 되면서 이글루 집을 다뜻하게 데워준다. 그러니 물을 많이 뿌릴수록 더 따뜻해진다. 그렇다고 너무 많이 뿌리면 안이 따뜻해져서 이글루가 녹을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는 있지만 이글루는 밖과 연결되어져 있고 눈벽돌 사이마다 구멍이 있어서 그 사이로 열기가 빠져나가 일정온도 이후에서는 더이상 열기가 올라가지 않게 된다. 에스키모인 사람들은 그때 당시때에는 과학이 잘 발달되어져 있지 안았을 것이데 어떻게 하여 그러한 과학적 내용을 알게되었는지 옛 사람들이 오늘날 사람들 보다 더 똑똑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상식의 왕 - 동식물
장수하늘소 지음, 김영곤 그림 / 삼성출판사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 지구에는 많은 동식물이 살고, 미생물들도 많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살고있는 이 지구에는 어떠한 동식물들이 살았고 또 어떠한 동식물들이 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그 전에 지구 안에 있는 신비스러운 이야기부터 먼저 듣고 가도록 하자. 

지구 안 구조는 겉으로 부터 지각, 맨틀, 외핵 그리고 내핵으로 만들어져 있다. 지각과 맨틀 그리고 내핵은 고체로 이루어져 있고, 외핵은 액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일로 통해 지질학자들은 특별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 지진에 대한 이야기이다. 과연 이 지진 하나가 지구 내부를 어떻게 알수 있는지 궁금하다. 지질학자들은 지진을 관찰 할 때 파동이 두 가지로 나뉘어 진다는 것을 알았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중에서 한 가지인 S파는 액체를 통과하지 못한다는 결론이 나타났다. 그런데 나중 지진이 이러날 때 신기한 점이 생겨났다. 지진파 기록계에서 두 가지의 지진파가 일정히 가는 도중 한 지점에서 S파는 갑자기 살아지고 나머지 다른 지진파는 계속하여 나아갔다. 정말 신기하였다. S파가 못 간다는 곳은 분명 액체 상태일 것인데 갑자기 사라진다는 것은 지구 안이 고체가 아니라 완전한 액체상태인 것도 있다는 것을 말이다. 나중에 지구 내부를 조사한 결과 외핵이 있는 곳과 길이가 거의 일치하였다. 그 사건으로 지질학에는 크나큰 파장이 일어났다. 정말로 자연적인 현장으로 많은 지질과학을 알게 되니 우리 지구는 정말 과학덩어리로만 이루어진 것 같다. 

동물들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재미있으면서도 무서운 이야기가 있다. 바로 우리가 맛있게 먹고 있는 소들이다. 소들은 자신의 식량인 풀을 많이 먹는다. 하지만 풀들은 동물들에게는 소화가 잘 되지 안는 풀이다. 그 중 소들은 위 하나로는 소화를 하지 못하여 네 차례에 걸쳐서 되새김질을 한 끝에 다 먹게 된다. 여기까지는 거의 다 알고있는 사실이다. 아닐수도는 있지만. 하지만 이 되새김질을 하면서 나오는 다량의 가스가 있는데 이 가스는 우리 지구를 온실효과를 이르키는 주범중 하나인 메탄가스이다. 메탄가스는 모든 동물들이 생리적으로 방출하 가스이지만 소들은 네 번이나 다량의 메탄을 내보내고 소의 양 또한 많기 때문에 메탄가스는 지구 상위층보다 더 올라 오존중으로 올라가게 되는데 그곳에서 막을 쳐서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열을 나가는 것을 막는다. 이렇게 된다면 나중에는 지구가 뜨거운 오븐이 될것이데 그렇다고 소들을 모두 죽일 수는 없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말 모르겠다. 우리들이 정말 쪄 죽는것인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 - 척척 과학박사 1
그린코리아 편집부 엮음 / 책의집(그린코리아)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 대한 여러 일들을 적은 책 입니다. 저는 지구에 대한 많은 책을 읽어보았지만 아직 지구에 대해 많은 알거리를 모르고 있습니다. 저는 이번에 이 책을 통하여 제가 미처 잡지 못 했던 이야기를 알아보았습니다.   

맨틀은 대륙 지각 다음의 지구 안에 있는 고체이다. 하지만 온도가 높은 행에 의해 하부 맨틀이 데워지면서 연약권에 대류 현상이 생겨난다. 또한 지각은 몇 개의 판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판들은 맨틀의 대류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판과 판의 경계부에서 화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 이것을 판구조론 이라고 한다.

섬은 주로 화산들이 바닷 속에서 화산이 폭발하여 솟아오른 것이다. 하지만 물 위로 솟아오르지 못한 해저화산이 훨씬 더 많다. 지구의 화산들 중 3분의 2가 바로 이러한 해저 화산들이다. 서기 79년 폼페이는 갑자기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모든 것이 순식간에 화산제로 덮여졌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화산재에 덮여 인간 화석이 되엇다.

화산이 폭발할 때는 마그마 속에 들어 있던 수증기, 이산화탄소, 수소,질소 등의 휘발성가스와 액체 형태인 용암이 분출된다. 또 화산재, 화산탄, 부석 등의 고체 물질들도 분출된다. 우리나라의 백두산 화산 폭발로 발해 제국이 멸망했다는 설도 있다. 이것은 어떤 일본 학자가 주장한 얘기로 백두산에서 분출한 화산재가 일본까지 날아갈 정도로 큰 화산폭발이었는데, 그 시기가 발해가 멸망한 기기와 같다는 것이다.

화산 폭팔의 규모는 '화산 폭발 지수'로 기준을 정한다. 화산의 폭발지수는 크게 0~8까지로 구분한다. 어떠한 기록에 따르면 약 7만 4천 년 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토바 화산이 지수 8에 해당하는 대폭발을 했다고 한다. 이 폭발로 인해 어마어마한 양의 화산재가 햇빛을 가려서 겨울이 수십년동안 계속되었다. 그래서 북반구의 식물 중 4분의 3이 사라졌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화산은 더이상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아직 지수가 6이 넘는 것들이 많다고 한다. 

이 내용을 보면서 우리 지구에는 아직 끝없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내용에서는 주로 지구 안에있는 힘 지구내부의 힘을 주로 적혀져 있는데 그 덕분에 많은 이득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