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선은 묵언-일극-개체-집중-중심시선으로는 할 수 없다. 서로 선은 대화-양극-전체-주의-비 중심시선으로만 할 수 있다. 다 말한다. 다 듣는다聞. 다 (냄새)맡는다聞.


최후의 답은 말이 아니다. 말 아닌 답에 이르려면 말해야 한다. 그렇게 하는 말은 비상하다.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비상한 말이 소통, 깨침, 치유, 그리고 마침내 장엄을 일으킨다. 장엄을 일으키는 비상한 말은 상스럽다. 상스러운 말 가운데 가장 수승한 것은 비명이며 욕설이며 신음이다. 그 다음이 시쳇말이다. 전문용어는 거개 상스럽지 못하니 비상하지 못하다.


서로 선의 대화는 전문용어로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백색의학은 영어(일부 라틴어), 한문 아니면 입도 벙긋 못한다. 녹색의학은 chill 아니고, 惡寒 아니고, 으슬으슬하다(오싹오싹하다)다. 한의학 진단을 하면서 내가 가장 많이 쓰는 말 가운데, ‘장마철 반지하방’이 있다. 생체진동수가 떨어져 대사 속도가 느려진 몸 상태를 가장 알기 쉽게 설명할 때 쓰는 비유다. 음陰 아니고, 냉한冷寒 아니고, 습濕 아니다. 심지어 차고 축축하다는 말보다도 오만 배 빨리 알아듣는다. 못 알아듣는 말로 떠는 위세나 독점하는 정볼랑은 쥐닭한테나 던져줄 일이다.


고백건대 나도 역시 한자 말, 뭐 어떨 땐 영어도 쓴다. 단, 알아듣게 풀고, 알아들을만할 때만 쓴다. 대부분의 용어는 환자들 스스로 쓰는 말을 그대로 받아서 쓴다. 환자가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을 때는 시쳇말, 일상어부터 대신 제시하면서 말문을 튼다. 아무튼 바꿀 수 있는 의학용어는 모조리 바꾸고, 바꾸기 어려운 것은 적절한 비유나 이미지를 동원해 소통을 도와야 한다.


말로 소통해서 서로 언어감각과 뉘앙스, 그 너머 언어-장場을 알아차리면 눈빛만 보고도 안다. 특히 숙의치유를 하다보면 놀라운 경험을 드물지 않게 한다. 의자와 환자 사이 구분이 무너지고 평등한 선문답 수준의 언어와 직관이 오간다. 서로 새로움을 생성해낸다. 환자가 의자를 넘어서는 순간도 허다하다. 서로 치유하고 서로 자라간다. 서로 깨달아가고 서로 깨쳐간다. 서로 돈오頓悟의 큰 기쁨에 이르고 서로 점오漸悟의 괴괴함을 지난다.


여기까지 가보지 않았으면 말을 마시라. 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녹색의학이 질병과 질병 앓는 사람을 화두 삼을 때, 그 선의 수행은 당연히 홀로 할 수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둘 이상이 서로 주고받는 질문과 질문에서 답의 답을 구해간다. 질병을 앓는 사람은 질병과 말을 틈으로써 이 과정을 시작한다. 거기에 의자가 참여함으로써 삼자 서사가 형성된다. 백색의학이 백색의사의 홀로 선獨禪이므로 녹색의학은 질병과 환자, 그리고 의자의 서로 선共同禪이다.


질병이 서사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있다. 때려잡지만 않는다면 질병은 스스로 말을 한다. 그 말을 들을 귀 있는 환자가 먼저 듣는다. 환자 귀가 아직 열리지 않았다면 들을 귀 있는 의자가 먼저 듣는다. 둘 다 묻지 않는다면 질병은 침묵한다. 질병의 침묵을 딛고 행해지는 온갖 처치는 폭행이며 살해다.


환자가 서사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있다. 의자가 눈만 내리깔지 않는다면 환자는 스스로 말한다. 그 말을 들을 귀 있는 의자가 들으면 함께 질병에 귀 기울인다. 삼자가 주고받는 이야기는 벼락vajra이 되어 함께 깨칠 틈을 낸다.


백색의학이 홀로 선으로 사회를 의료화했으므로 녹색의학은 서로 선으로 의료를 사회화한다. 사회화된 의료는 스스로 특권의 거점을 지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픈 사람은 온통 아픈 생각뿐이기 십상이다. 통증이 심하면 더욱 그렇다. 병이 중할수록 더욱 그렇다. 아픈 생각에 빠져들고 만다. 병 생각에 빠져드는 것은 병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병의 악화에 에너지를 보탤까. 가볍게 답할 일 아니다. 반대의 경우를 살펴보자. 낫는 생각에 몰두하는 것은 어떤가. 병의 호전에 에너지를 보탤까. 가볍게 답할 일 아니다.


우리는 그 동안 이 문제에 가볍게, 그리고 쉽게 답하는 여러 이야기를 수 없이 들어왔다. 가장 유서 깊은 말은 일체유심소조一切唯心所造다. 출처가 어딘지 잘 모르지만 불가에는 이미 진리처럼 각인된 말이다. 무슨 뜻으로 한 말인지 모르지 않는다. 불가 수행의 범주를 넘어서는 순간부터 이 말은 개소리가 된다. 암에 걸리는 것도 마음 지음이고 암에서 놓여나는 것도 마음 지음이란 말은 얼마나 가볍고 쉬운 것인가. 그 다음 긍정주의. 모름지기 일체유심소조의 세속 판 현대 버전 쯤 되겠다. 여전히 어느 제국에서 왕 노릇하거니와 이 또한 개소리임이 분명하다.


이런 말도 들어왔다. 병은 그저 내게 있게 된 것이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해서 들어온 것이 아니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한다고 나가는 것이 아니다. 병이 어떻게 들어왔든 의학적 치료로 낫게 하면 그만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결곡한 합리성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이 역시 개소리다.


이 개소리들의 촐싹거림은 질병 자체를 질병 앓는 사람에게서 떼어내어 사물로 만들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다. 질병은 사물이 아니다. 앓는 사람의 삶, 그 살아 움직이는 과정의 일부다. 사람에게서도 삶에게서도 분리할 수 없는 사건이며 대부분 물적 근거와 영역을 지닌 실재다. 그런 실재에 걸맞은 대우는 단연 화두 삼기다. 분명히 하자. 화두 들기가 아니다. 드는 것은 남성가부장 선객이 하는 짓이다. 우리는 화두를 선의 방편 사물로 들지 않는다. 화두를 인연으로 받아들인다. 화두와 전 인격으로 관계 맺는다. 삼아지는 화두에는 우리 인생 전체가 연루된다.


녹색의학은 질병을 화두 삼는다. 백색의학이 질병을 ‘처치’ 대상 사물로 폄훼한 역사를 통렬히 반성한다. 질병은 앓는 사람이 잘못 해서 들고 들어온 몹쓸 물건이 아님을 선언한다. 질병은 마음만 먹으면 후루룩 삼켜버릴 수 있는 라면 같은 것이 아님을 명토 박는다. 녹색의학은 질병과도 질병 앓는 사람과도 평등하게 상호소통하기 위해 작고 적게 배어드는 마음小少沁心이며 그 몸짓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녹색의학이 꺼낸 걷기 이야기의 핵심에 놓여 있으면서, 그 흐름 전반을 관통하는 종자논리, 그것이 형식 논리일 수는 없다. 걷기 동작 그 자체가 용납하지 않는다. 걷기 이야기의 종자논리는 A이기도 하고 non A이기도 한 것, A도 아니고 non A도 아닌 것을 인정하는 다치多値 논리다. 다치 논리는 무한한 비대칭의 대칭을 품는다. 비대칭의 대칭은 평등한 상호 소통을 전제한다. 상호 소통은 녹색의학과 백색의학을 가르는 경계선이다.


백색의학이 형식 논리에 터한 이종의학임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이종의학이 모든 증상을 병으로 오인하고, 모든 병을 적, 그러니까 non A로 오인해서 무조건 때려잡는다는 사실 또한 논리적 필연으로 알고 있다. 이런 백색의학은 구조상 두 가지 치명적인 약점을 안을 수밖에 없다.


첫째, <18. 녹색 면역>에서 이미 상론했듯 자기면역 이론 구조가 취약하다. 이론이 취약하니 치료 구조도 그러하다. 역설 이론을 세울 수 없는데 어떻게 역설 치료가 가능하겠는가. 그러니까 백색의학은, 예컨대 혈소판 감소가 자기면역으로 발생하면 비장을 제거한다, 이런 식으로 치료한다. 이는 물론 치료가 아니다. 쌍방향 면역 조절이란 개념의 방 자체가 없으므로 양의사도 그들에게 치료(?)받는 환자도 속수무책이다. 아니, 무엇보다 말을 못 알아듣는다. 녹색의학은 쌍방향 면역 조절 이론을 알고 있으며 치료 또한 가능하다. 이는 매우 중대한 차이다.


둘째, 상호소통이 그 자체로 의학이라는 인식 구조가 누락되어 있다. 백색의학은 세계를 다만 질량과 에너지로 인식하고 만다. 질량은 구조, 에너지는 물리화학적 기능이다. 이 둘에 문제가 생긴 것이 질병이므로, 구조를 조정하고 기능을 개선하면 끝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은 질병과 질병을 앓는 인간을 분리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모든 질병은 그 질병을 앓는 사람의 삶 한가운데서 일어난다.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삶의 문제를 소거할 수는 없다. 삶의 문제는 이야기다. 이야기는 곡절과 의미를 담은 소식이다. 질병에 관한 소식을 주고받는 그 자체가 의학이라는 진실을 백색의학은 모른다. 그 작은 일부를 플라시보라는 이름으로 왜곡할 뿐이다. 백색의사들은 질병 자체에 대한 정보조차 소상히 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픈 사람의 아픈 삶에 일절 개입하지 않음으로써 의학 내러티브의 근원 주체인 아픈 사람을 도리어 철저히 소외시킨다. 이는 다만 의학적 구조의 오류가 아니다. 범죄다. 녹색의학은 질병과도 질병 앓는 사람과도 소통한다. 질병 자체로 가치로우며, 질병 앓는 사람 자체도 가치 롭다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인다. 이는 절대적인 차이다.


백색의학이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 알 수 없다. 백색문명 가운데서도 가장 오래 살아남을 수도 있다. 이런 백색의학에서 질병과 질병 앓는 사람을 구해내는 단 하나의 길은 저들을 아예 입에 담지 않고 고요히 녹색의학의 네트워킹을 진행하는 것뿐일는지 모른다. 입에 담을수록 사악한 구조는 끈질긴 생명력을 더해갈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녹색의학을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걷기를 꺼낸 까닭을 다시 한 번 돌아본다. 걷기는 인간이 우주운동을 체현하는 방식이다. 걷기로서 인간은 걷기로써 인간이며 우주다. 이 인간됨을 백색문명이 망가뜨렸다. 망가진 인간됨을 복원한다는 뜻을 지니고, 걷기를 마음에 두는 일에서 개벽까지 이야기를 펼쳐보았다. 꼭 한 가지 마지막으로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이 남아 있다. 가짜 걷기 이야기다.


규칙적 운동 장소 하면 대뜸 헬스클럽을 떠올리는 현상은 오늘날 도시인에게 자연스럽다. 물론 그 가운데서도 ‘러닝머신’은 단연 총아다. 총아의 태생은 어둠이었다. 리베카 솔닛이 『걷기의 인문학』에서 전하는 바에 따르면 러닝머신, 그러니까 트레드밀은 19세기 교도소에서 죄수들을 순치하기 위해 만든 징벌기구였으니 말이다.


아무 제재 없이 걷기만 하면 되는 이 기구가 어떻게 징벌의 공포를 몰고 올 수 있는가? 죄수들이 두려워한 까닭은 가혹하기 때문이 아니라 단순반복 동작을 지속해야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단순반복 동작의 지속이 형벌 본질을 지닌다는 사실을 놓고, 리베카 솔닛은 시시포스 신화를 거론한다. 여기에 설명을 덧붙일 필요는 없으리라.


문제는 지금 우리가 그 단순반복 동작을 자진해서 한다는 데 있다. 물론 목적은 건강이다. 아, 이 목적이라면 당시 교도소 측에서도 동일하게 지녔던 바다. 교도소의 또 다른, 그러니까 비대칭의 대칭을 이루는 목적 하나는 무엇인가. 죄수들의 정신을 순응적으로 만들기 위함, 바로 그것이었다. 그렇다면 현대인은 스스로 알아서 백색문명에 순응하려고 트레드밀 위를 달린다는 말이 아닌가. 아뿔싸!


그렇다. 트레드밀 위에서 몸을 튼튼히 하는 것은 마음을 백색문명의 충직한 노예로 만들려는 목적 때문이다. 단도직입으로 말한다. 이는 인간성 말살의 걷기다. 이는 반우주적 운동이다. 바로 이 순간, 당장 그만두어야 한다. 당장 그만두어야 할 이유는 또 있다.


트레드밀 위의 걷기는 엄밀히 말해서 가짜 걷기다. 앞으로 나아가는 환상이 있을 뿐, 제자리 걷기에 지나지 않는다. 진짜 앞으로 나아갈 때 쓰는 근육과 다른 근육을 쓸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실제 앞으로 나아갈 때 마주하는 시공간적 변화가 거세되어 있다. 가상적 조건을 설치하는 것은 더욱 더 큰 속임수일 따름이다. 중독 메커니즘이다. 인간을 포기하고 알량한 몸의 이득을 위해 땀 흘릴 일, 결코 아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사실을 추가한다. 이런 제자리걷기를 반복하면 소뇌 감수성이 손상된다!


백색 가짜 걷기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 녹색 진짜 걷기를 곧 바로 시작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