④ 코는 관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뇌와 통한다.


시각은 각막, 청각은 고막이라는 관문을 거쳐 뇌에 전달되지만 코의 후각은 관문 없이 직통으로 뇌에 전달된다. 다른 감각과 달리 시상을 거치기 전에 후각 수용체가 자리 잡고 있는 변연계부터 거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코는 최전방의 뇌다. 후각은 뇌각惱覺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뇌는 본디 후각세포가 부풀어 진화한 것이기 때문이다.


후각의 이런 특성은 아마도 인류의 시원적 경험에서 나왔을 것이다. 맹수나 적이 눈에 띄지도 않고 소리 내지도 않고 다가올 때 공격하거나 도망치기 위해서는 후각을 통한 즉각적 반응 말고 다른 길이 없다. 후각은 생존을 위한 가장 은밀하고 빠른 정보 전달자이므로 냄새-공포반응을 코-변연계감정 뇌의 직접 연결로 시스템화한 것이다. 일단 살고 나서 나중에 해석하고 평가하는 분별절차가 진행된다. 코에서만 정석으로 인정되는 생명의 수순이다.


⑤ 코는 마음, 특히 감정의 안테나다.


후각 수용체가 있는 대뇌 변연계는 감정중추다. 후각에 대한 즉각적 반응에서 인간의 감정이 생겨나 다양한 켜와 결의 감정으로 분화하였다. 다양한 감정들은 거꾸로 코의 느낌을 날카롭게 벼려 냄새로 그 상태를 드러내거나 조절하는 길을 열었다. 코와 대뇌 변연계는 이런 상호작용으로 감정 현상과 감성 퍼텐셜의 선순환을 이끈다.


양자 사이에 악순환도 일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감정 뇌에 이상이 생기면 코에 그 이상이 반영·증폭된다. 코에 이상이 생기면 감정 뇌에 그 이상이 반영·증폭된다. 예컨대 우울장애 환자가 비염이나 후각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는 거의 필연에 해당하는 일이다. 비염이나 후각 이상은 우울증을 더욱 악화시킨다.


후각과 직결되어 있는 감정은 이성과 의지보다 먼저 발생한 마음의 층위다. 그 에너지가 다른 것을 압도한다.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무엇보다 감정을 움직여야 한다. 인간의 마음을 가라앉히려면 무엇보다 감정을 가라앉혀야 한다. 이 진실은 그리스 고전 수사학으로 증명된 바 있다. 그럼에도 근대 철학 이후 심리학은 물론 정신의학조차 감정을 이성과 의지 아래 둔다. 비인간적이다. 진실에 반한다. 감정으로 돌아가야 한다. 코로 돌아가야 한다.


⑥ 코 점막은 발기조직이다.


우리 몸에는 발기조직이 있다. 성기性器가 그렇다는 사실은 우리가 익히 다 아는 바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이 모르고 있는 중요한 발기조직이 있다. 바로 코 점막이다.


일상의 활동을 통해 알 수 있는 길이 있다. 달리기 같은 운동을 하면 코가 뚫려 상쾌하다. 같은(?) 운동인데 섹스의 경우는 전혀 다르다. 코가 막힌다. 보통의 운동은 교감신경 자극 상태이므로 혈관이 수축되어 막힘이 풀린다. 섹스는 정반대로 부교감신경 자극 상태, 그러니까 충혈 상태가 유지되어야만 하는 운동이다. 그것이 곧 발기다. 코가 막히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거의 늘 막힘 상태에 있는 신혼부부의 코를 이비인후과 임상에서는 신혼여행 코 증후군honeymoon nose syndrome이라 부른다고 한다.


후각과 성호르몬 조절 부위는 발생학적 기원이 같다. 후각은 성의 감각과 긍부肯否 양면으로 모두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다. 후각 상실과 성 또는 생식능력 상실이 맞물리는 경우는 성폭행을 당해 이른바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나 우울장애를 겪는 여성들에게서 실제로 확인되고 있다. 대기 오염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으로 다양한 형태의 코 질환 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반드시 성과 생식의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성과 생식의 문제는 인류의 사활이 걸린 근본적인 문제다. 여기에는 후각이 개입해 있다. 코로 돌아가야 할 마지막 또 하나의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② 코는 모든 감각의 어머니다.


코는 냄새를 맡는 기관이다. 후각은 인간이 최초로 가지는 감각이다. 정자精子는 후각 수용체를 지니고 있다. 이 주화성에 힘입어 난자 쪽으로 이동해간다. 수정을 거쳐 태아가 되면 그 때부터는 직접적인 후각 기능을 가진다. 적어도 인간 생명의 감각에 관한 한 “태초에 후각이 있었다.”가 진리다. 이 감각의 연대기는 신생아 때 수면 습관과 심리적 안정에서 시작하여 생의 마지막 회한까지 비가역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이 코의 통시적 유일성diachronic uniqueness이다.


③ 코는 모든 감각· 지각의 중심이다.


코는 얼굴의 중심이다. 눈, 귀, 입으로 둘러싸인 모든 감각운동의 허브다.


생명의 생존 조건 중에 먹는 것, 그러니까 맛의 문제만큼 전全방위에 걸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도 없을 것이다. 먹는 것을 통해 생명운동에 필요한 영양 물질과 에너지가 대부분 공급되기 때문이다. 이 맛의 80-85%가 바로 후각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코가 냄새 맡기로써 면역적합성을 판별해낸다는 사실이다. 특히 여성은 순식간에 200여 가지의 남성 체취를 판독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여성의 코가 인류의 길을 결정한다. 코가 후각을 통해 형성하는 미시micro의식 또는 무의식에 비한다면 다른 감각을 통해 형성되는 대뇌전두엽의 거시macro의식은 빙산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이 코의 공시적 유일성synchronic uniqueness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 코의 지정학


  (1) 코는 코만의 코다


코는 특별하다. 사람이 앞을 향해 우뚝 섰을 때, 코는 맨 앞에 있다. 코는 향도嚮導며 그 용기다.


사람이 누웠을 때, 코는 맨 위에 있다. 코는 스스로를 느끼고(공감) 알아차리고(인정) 받아들이는(신뢰) 지고至高의 자리다.


코는 사람 얼굴의 한가운데 있다. 코는 그 대칭성을 가르는 황금선이다. 코는 생명과 자아의 출발점이자 기준이다.


코의 특별함이, 그래서, 역사의 긴 시간 동안 시샘을 받는 까닭으로 작용하였다. 이제 그 은폐된 이야기를 돋을새김으로 드러내야 할 때가 왔다.


① 코는 생명의 드날목(나들목은 잘못 만들어진 말이기에 바로잡음)이다.


생명의 시작과 끝은 호흡이다. 이 호흡의 절대 관문이 바로 코다. 코는 찰나마다 이어지는 생명 사건의 특이점이다. 코를 통해 독립 생명체의 폐호흡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그 숨결이 마지막으로 떠나는 순간까지 호흡은 생명의 가장 관건적 요소로 작용한다.


코의 호흡 작동 방식은 매우 특이하다. 코의 구멍은 두 개다. 그러나 두 개가 한꺼번에 호흡에 참여하지 않는다. 1-5시간(사람마다 다름) 간격을 주기로 교대하여 호흡을 진행한다. 아직까지 그 연유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다만 결과적으로 보면, 오른쪽 콧구멍으로 호흡할 때 능동적이고 외향적인 면이 두드러지며, 왼쪽 콧구멍으로 호흡할 때 수동적이고 내향적인 성향이 두드러진다고 한다. 이 결과를 의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생명의 진화 방향을 추정해볼 수 있다.


이른바 교호호흡이라는 것이 있다. 먼저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쪽 콧구멍을 막고 왼쪽 콧구멍을 열어 숨을 내쉰다. 이어서 왼쪽 콧구멍으로 숨을 들이마신다. 그리고는 숨을 잠시 참는다. 다음에는 반대로 왼쪽 콧구멍을 막고 오른쪽 콧구멍을 열어서 숨을 내쉰다. 그 상태에서 다시 오른쪽 콧구멍으로 숨을 들이마신다. 역시 숨을 잠시 참는다. 이 과정들을 되풀이하는 호흡법이다.


연구에 따르면 이 교호호흡은 좌우 뇌와 자율신경을 균형 있게 조절함으로써 생명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단순한 교호호흡만으로 큰 깨달음에 이른 사람도 있다고 한다.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항상성은 드나듦의 조화이기 때문이다. 드나듦의 조화가 바로 생명의 요체이기 때문이다. 그 생명의 요체가 바로 코에 깃들어 있다. 교대로 구멍을 하나씩 열어 호흡을 빚는 코의 대칭성 지혜가 생명의 비밀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3) 맘(아래아로 쓴 맘)은 코다


몸은 몸이고 마음은 마음이다. 몸은 몸만의 몸이 아니다. 마음은 마음만의 마음이 아니다. 몸은 마음의 몸이다. 마음은 몸의 마음이다. 어느 찰나 몸은 마음이다. 어느 찰나 마음은 몸이다. 몸과 마음은 온전히 포개지지 않는다. 몸과 마음은 온전히 쪼개지지 않는다. 몸과 마음은 둘도 아니고 하나도 아니다. 몸과 마음은 서로를 걸림 없이 넘나든다. 이 마주가장자리에 바로 코가 있다. 맘(아래아로 쓴 맘)은 코다. 인간은 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 맘은 코다


인간의 맘은 어디, 그러니까 몸의 어느 부분에 깃들어 있을까? 서구의학은 당연히 뇌에 있다고 한다. 물론 아니다. 한의학은 심장에 있다, 즉 심주신명心主神明이라 한다. 물론 아니다. 맘은 몸의 뇌· 심장을 포함한 모든 장기와 조직, 심지어 세포 하나하나가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경계)에 있다. 좀 더 정확히는 이 어름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즉 사건으로 존재한다.


맘이라는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뇌와 심장이라는 사실은 상식이다. 그 동안 서구의학은 심장을 등한히 했다. 한의학은 뇌를 등한히 했다. 요즘은 심장-대뇌계라는 말로써 이 두 기관의 융합을 나타낸다. 이 심장-대뇌계 만큼이나 중요한 맘의 장場이 둘 더 있다. 피부· 소화기관[장腸]이다. 그리고 간·심·비·폐·신의 5장臟 역시 맘 사건의 중요한 계기다.


<6. 백색의학은 본말 전도다>에서 이미 태초의 생명이 피부에서 시작하여 소화기관-5장-뇌로 진화해 오는 과정을 밝혔다. 맘은 피부 생명의 단계적 진화과정이 빚어낸 정보·지식·사유·영성의 중층 시스템이다. 맘은 특정 장소에서 일방적으로 생성되고, 저장되는 무엇being이 아니다. 생명의 총체적 상호 운동doing 그 자체다. 맘이 비대칭적 대칭성을 본령으로 지닐 수밖에 없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비대칭적 대칭의 자리, 그러니까 피부·소화기관·5장·뇌가 상호 운동하기 위해 마주한 가장자리들이 겹친 시공에 코가 있다. 코는 피부 맘 한가운데 우뚝 솟아 있다. 그렇다. 맘은 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