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자의 생명사 - 38억 년 생명의 역사에서 살아남은 것은 항상 패자였다! 이나가키 히데히로 생존 전략 3부작 3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박유미 옮김, 장수철 감수 / 더숲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물은 치열한 경쟁 끝에 공존의 길을 찾아내 다른 생물과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법을 터득했다. “경쟁하기보다 서로 도와야 살아남을 수 있다.” 치열한 자연에서 속씨식물이 내린 결론이다. 서로 돕는 공생관계를 위해 속씨식물은 무엇을 했을까. 곤충에게 꽃가루를 주고 꿀을 주었다. 새들에게는 달콤한 열매를 준비했다. 자기 이익보다 먼저 상대방 이익을 위해 베풀어주는 일이 바로 공생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방법이다.

  신약성서에 이런 말이 있다.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주리라.” 이 말을 설파한 예수가 세상에 나타나기 전 아득히 먼 옛날, 속씨식물은 이미 이 경지를 넘어서 있었다. (패자의 생명사165~166)

 

서로 돕는다느니, 심지어 먼저 베풀어준다느니 하는 표현은 인간에게나 해당한다고 생각하므로 식물이 그런다고 하면 우리는 으레 수사학 수준으로 치부한다. 더군다나 기독교도라면 예수보다 속씨식물을 높이는 이런 말에 실재성을 부여할 리 만무다. 이미 너무 진부한 진실이어서 거듭하기 뭣한 말이지만, 이런 태도는 오만도 아니고 그냥 치기puerility일 따름이다.

 

서로 돕고, 먼저 베푸는 일을 통속윤리 맥락에서 읽으면 인간적인 미덕으로 들린다. 윤리를 생존하기 위한 수리數理로 이해할 때 비로소 패자 미학에 깃들 수 있다. 서로 나 몰라라 할 수 없는 결핍, 기다리고만 있으면 죽을 수밖에 없는 곤경에 내몰린 생명이 결단하는 결곡하고 곡진한 행위가 이 말고 달리 있겠는가. 참 생명윤리는 인간 이전에 이미 엄존하고 있었다.

 

인간 이전 참 생명윤리는 자연Sein과 당위Sollen 사이 간극이 없다. 정신과 신체, 이론과 실천 사이 괴리도 없다. 정신이 과잉 진화한 인간만이 이 간극과 괴리를 떠안고 있다. 그래서 명령이 필요하다: “주라”. 심지어 보장도 필요하다: “주리라”. 이 예수 명령을 옹글게 따를 때만 인간은 식물 생명윤리 경지에 온전히 오를 수 있다. 어찌하면 옹글게 따를 수 있는가?

 

패자 정체성을 찐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여야 한다. 진화 정점이니 만물 영장이니 하느님 형상이니 하는 자기기만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류는 패자로서 수관tree crown으로 쫓겨나 생존하는 동안 나무 덕분에 직립보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직립보행은 축복이어서 저주가 되었다. 공생을 팽개치고 말았으니 말이다. 외길은 나무, 즉 속씨식물로 열린다. 거기가 에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의 방식 - 서로 기여하고 번영하는 삶에 관하여
베론다 L. 몽고메리 지음, 정서진 옮김 / 이상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상대적으로 친족 범위가 좁은 편이다. 생물학적 친족 외에도 우리는 공통된 민족이나 인종, 성별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 같은 다소 편협한 정의에 근거해 가치를 공유했다고 여기는 이들을 실용적인 친족으로 포함하는 인습에 사로잡혀 있다. 이런 인습은 우리가 누구와 친구가 될지, 누구와 같은 동네 또는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지, 그리고 누구와 사회적 맥락에서 주기적으로 관계를 유지할지 결정할 때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이들과 친족 형태로 가까이 지내지만, 이는 사실 동종애Homophily로 알려진 개념이다.

  나는 친족관계에 대한 우리 인습을 재고할 때라고 느낀다. 조언이나 지도 역할을 맡은 사람 주된 목표는 공동체에 속한 모든 구성원 사이에 동류의식을 증진하는 일이어야 한다. 그리함으로써 특정 개인 아닌 공동체에 이익이 되는 전략적 에너지 할당을 위한 결정을 쉽게 내릴 수 있다. 우리가 친족 개념을 확장해 전 세계 모든 존재에 적용하기로 결단할 때, 인류로서 우리, 그리고 지구 전체 건강과 존속에 좋은 결과가 나온다. (식물의 방식173~174)

 

어떤 결정적 대목마다 떠오르는 사상가가 있다. 그가 이런 말을 했기 때문이다.

 

자기 고향만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미숙한 초보자다. 모든 땅을 자기 고향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강한 자다. 전 세계를 타향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은 완전한 자다. 미숙한 영혼을 지닌 자는 자기 사랑을 세계 속 특정한 한 장소에 고착시킨다. 강한 자는 자기 사랑을 모든 장소에 미치게 하려 한다. 완전한 자는 자기 장소를 없애버린다.”

 

유그, 그가 남긴 이름이다. 그가 남긴 이름과 이 말 이외에 나는 그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지만, 그는 내게 어떤 사상가보다 빛나는 존재다. 그가 서양 사상사에서 투명 인간에 가까운 까닭은 그가 남긴 이 말이 서양 사상 본진을 내파內破하기 때문이다.

 

유그 어법대로라면 서양 사상 본진은 강한 자를 추구한다. 실제 정치와 경제도 그 사상을 좇는다. 90% 가까운 미국 하원의원이 여권을 소지하지 않는다. 모든 나라를 자기 나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강자들이 지구 전체 건강과 존속에서 어떤 존재인지는 구태여 말할 필요를 느낄 수 없다.

 

유그는 초보자와 강자가 준동하는 세상을 고요히 관통해버린다; 자기 근거를 지움으로써 중심주의를 베어버린다. 식물의 방식저자도 강한 자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한 듯 보인다. 친족 개념을 확장해 전 세계 모든 존재에게 적용하자니 말이다. 그러나 그가 동종애Homophily를 비판한 취지를 헤아리면 친족 확장이 동종 확장과 같은 말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서로 달라도 공생 당사자로 맞이한다면 그를 친족이라 부르지 못할 이유가 없다. 무엇보다 식물 방식으로 우리 삶을 정향하고자 한다는 이 책 종지에 따라 나는 유그 눈으로 재해석한다. 유그 눈은 나무, 그리고 소뇌 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걷기의 세계 - 뇌과학자가 전하는 가장 단순한 운동의 경이로움
셰인 오마라 지음, 구희성 옮김 / 미래의창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제 투쟁으로서 소뇌 혁명은 간단명료하다: 걷기.

 

La marche est spiritualité, elle nous connecte à l’univers.

 

나는 녹색의학 이야기50<몸짓의 녹색의학-걷기를 종지 삼다(2017. 11. 6.)>에서 걷기 존재론을 말했다.

 

걷기는 우주 진리를 몸 사건으로 일으키는 인간의 존재 양태다. 두 발과 다리는 비대칭의 대칭을 이루며 움직인다. 앞으로 나아가고 뒤로 미는 동작을 교차 반복한다. 찰나적으로만 땅에서 서로 연속되고, 나머지 모든 시간 동안은 서로 단절된다. 이것이 연속과 단절의 본령이다. 연속될 때는 단정하게, 단절될 때는 기우뚱하게 균형을 이룬다. 이것이 연속과 단절의 하모니다. 걷기는 정확하고 절묘하게 우주 운동을 담는 인간 행위다. 몸짓으로서 인간 그 자체다.”

 

걷기가 존재론적 차원임을 걷기의 세계저자도 인정한다.

 

걷기는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경험이다. (167)

 

나는 녹색의학 이야기55(2017. 11. 6.)서 사회정치적 걷기를 말했다.

 

걷는 인간homo ambultus이 걷는 인민populus ambultus을 경험할 때, 혁명이 된다. 사회가 문화가 뒤집힌다. 정치가 경제가 엎어진다.”

 

저자도 <사회적 걷기>라는 장에서 이렇게 말한다.

 

걷기는 개인적 운동성보다 훨씬 더 많은 역할을 한다. 바로 사회적 상호작용 원동력이 되는 일이다.......걷기가.......뚜렷한 사회적 목적을 지니고 진화했다는 사실은 걷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교훈이지만 쉽게 간과된다(232)

 

나나 그나 걷기가 지닌 누락 불가 진실에 닿아 있다. 그런데 둘 다 가 닿지 못한 지성소가 있다: 존재론적이며 사회정치적인 걷기 인텔리전트터미널은 소뇌다. 그런데 그가 지성소 소뇌에 가 닿지 못한 일은 아무래도 수상하다: 그는 뇌 과학자다. 걷기의 세계그 어디에도 소뇌는 언급되지 않는다. 결국 그래서 소뇌 혁명, 정확히 소뇌 인식 혁명이 필요하다. 기존 소뇌 인식을 혁파해야 걷기에 대한 인식 실재에 도달한다. 실재로서 걷기는 그 자체로 네트워킹이다. 네트워킹은 몸을 통해 몸을 넘어선다. 몸을 통해 몸을 넘어서는 사건을 영이라 한다. 영은 공생을 무궁토록 일으키는 통렬한 운동이다. 이 통렬 운동으로만이 대뇌 제국주의 일극 집중 음모를 끌어안아 본디 비대칭 대칭 세계를 재건할 수 있다. 재건 본진이 다름 아닌 소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자의 생명사 - 38억 년 생명의 역사에서 살아남은 것은 항상 패자였다! 이나가키 히데히로 생존 전략 3부작 3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박유미 옮김, 장수철 감수 / 더숲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류해서 분리한다.” 인간 뇌 주특기다. (233)

 

물론 대뇌 중심 사실이다. 대뇌 대극에 소뇌를 놓을 수 있다면, 소뇌는 종합과 통합을 주특기로 하는가? 현대 뇌 과학이 아직 증거를 내놓지 못하고 있으므로 내가 지닌 비대칭 대칭 사상에 터 잡아 연역추리를 한다. 뇌 구조·운동 또한 비대칭 대칭으로 이루어진다고 전제할 때, 소뇌 주특기는 종합과 통합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인간은 생명으로서 살아가지 못한다. 이 비대칭 대칭을 다시 다른 결로 표현한다: 소뇌는 몸 극, 대뇌는 마음 극. 몸 극으로 기울수록 종합·통합은 융해에 가까워지고, 마음 극 쪽으로 기울수록 분류·분리는 해체에 가까워진다. 후자를 문명이라 하고, 인류는 이 길을 맹렬히 좇아왔다. 마침내 대뇌 제국주의가 인류를 제6 대멸종 벼랑 끝으로 몰아붙이고 있는 오늘, 그러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답은 간단명료하다: 소뇌 혁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자의 생명사 - 38억 년 생명의 역사에서 살아남은 것은 항상 패자였다! 이나가키 히데히로 생존 전략 3부작 3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박유미 옮김, 장수철 감수 / 더숲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뇌는 물론 대뇌보다 작다. 하지만 뉴런 80%가 소뇌에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가. 그 많은 뉴런이 쓰일 만한 곳에서 쓰일 수 있도록 거기 있지 않겠나. 대뇌가 명령하면 소뇌가 움직인다는 일방적 설명 역시 무지와 편견이 아닌지 의심한다. 이 의심은 뇌가 장내 미세 생명에게 보내는 정보와 그 반대 방향 정보가 1:9라는 전복적 사실을 연상시킨다. 이 전복이 마음을 뇌라 하는 망발의 종말이듯 두고 보면 머지않아 대뇌주의 종말을 목도할 수 있으리라.

 

여기서 그 단서를 찾아본다. 소뇌 평형감각이 시각, 청각, 촉각 같은 감각 정보에 의존한다는 사실에서 다시 출발한다. 시각, 청각, 촉각 정보를 소뇌가 받아들여 오직 균형 잡기만을 위해서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일은 아무래도 이치에 닿지 않는다. 시각, 청각, 촉각 정보는 그 감각을 일으키는 대상에 감응하고 감수하고 감동함으로써 다른 감정을 일으켜 새로이 관계 맺는 변화 과정 전체와 연관 지어야 한다. 이 과정은 당연히 다양한 인지 작용을 수반할 수밖에 없고, 대상이 사람일 경우에는 사회적 차원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바로 이런 이치를 담은 진실이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기 위한 소뇌”(222쪽).

 

그렇다. 소뇌는 인간 정서(두려움, 쾌락)와 인식(주의, 언어), 사회적 행동을 조절한다. 대뇌가 일방적으로 내리는 명령에 따르는 단순 하급 기관이 아니다. 둘은 일정 정도 상호작용한다. 향후 연구에 따라 기축이 역전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문제와 각별하게 마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