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11월 3주







  영화 의상 관련 일을 하던 감독 우니 르콩트는 영화를 준비하던 중 아버지를 잃은 소녀의 이야기를 알게 되었고 시나리오를 쓰는 과정에서 자기 이야기를 하는게 더 좋지않을까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감독 우니 르콩트는 열 살 때 한국에서 프랑스로 입양되었다. 영화를 보고 나서 감독을 한국인이라고 해야할지 프랑스인이라 해야할지 망설여졌다.한국인이라고 생각하기가 미안했다. 그렇다고 입양아들의 후일담이나 뿌리찾기에 관한 영화로 보지말기를......  

감독이 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상처'이다.   

"진희가 보육원에서 반항하는 건 아버지의 사랑을 잃지 않기 위한 제스처다. 반항이 보여주는 건 상처이면서 동시에 진희의 힘이다. 이 영화는 진희가 완전히 상처를 치유했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는다. 나는 이 영화로 '상처를 극복해야 한다'는 말을 하려는 게 아니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두가 이별을 경험하고 그 이별은 상처로 남는다. 그리고 누구나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거다."  - 무비위크 인터뷰 중에서.

 아버지는 진희를 여행보내준다며 보육원에 남기고 떠난다. 여행보내준다는 약속을 믿으며 아버지와의 이별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아홉살 진희는 버려졌다는 걸 믿을수도 받아들일수도 없다. 하지만 믿는다. 아버지와의 약속을. 

 진희는 보육원에서 숙희 언니를 만난다. 숙희 언니도 양부모님에게 말해서 진희와 함께 가겠다고 약속하지만 미안하다는 말만 남긴채 떠나 버린다. 진희는 떠나는 숙희 언니와 눈도 마주치지 않은채 먼곳만 바라본다. 

 두번의 이별. 진희는 스스로 세번째 이별을 준비한다. 지금까지의  자신과 이별을 하고 프랑스행 비행기에 오른다. 그리고 아버지의 체온은 암흑 속으로 보낸다.  

 우니 르콩트 감독은 열 살까지 한국에서 살았지만 한국말을 전혀 하지 못한다. 열살, 어린 나이에도 프랑스말을 빨리 배워야겠다는 생각했다고 한다.  

 "내 개인적인 이야기를 영화에 담기로 결정했을 때 어떤 경험이 내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지를 고민했다. 나한테 가장 깊게 남아 있는 경험은 상실감, 뭔가를 잃어버린 느낌이 아니었나 싶다. 이건 비단 나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누구나 한 번씩은 경험하는 감정이 아닐까. 상실감을 극복하느냐가 아니라 이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초점을 맞췄다. 나는 여전히 상실감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중요한 건 이 상실감을 안고 어떻게 살아갈 것이냐의 문제다. 영화는 진희가 상실감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보여준다. 진희는 앞으로 또 어떤 상실감을 경험할지 모른다. 영화에서 그 여운을 남겨두고 싶었다."  -무비위크 인터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창경궁 동무 나를 찾아가는 징검다리 소설
배유안 지음 / 생각과느낌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하루하루 먹고 살기도 힘든 집안에서 벗어나고 싶은 정후겸.    

  그는 여덟 살에 임금의 사돈댁에 들어가 잔심부름을 하게  되고, 부마인 정치달이 죽자 화완옹 주의 양자가 되어 궁궐에 들어가게 된다.  세손을 좋아하면서도 질투하던 정후겸은 화완옹주와  김귀주 일행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운명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는다. 그 희망은  세손의 자리였을까? 용상이었을까? 아니면 임금도 쥐었다 폈다할 수 있는 권력이었을까?      

  하늘이 자신의 편이라고 믿었던 정후겸은 과거에 연거푸 급제하면서 권력의 중심에 서게되 고, 동궁이 된 세손을 무너뜨리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지만 결국 실패한다.   정후겸은 세손의 진정한 벗이 될 수도 있는 행운을 스스로 불행으로 바꾸었다고 후회한다.    

  궁궐에 들어온 정후겸은 임금과 세손이 사랑과 기쁨이 가득한 웃음을 주고 받는 장면을 보고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것' , '내 손에 닿을 수 없는 것'이라고 한다. 그 것은 세상 누구나 가질  수  있는 할아버지와 손자의 사랑 가득한 웃음인데, 왜 닿을 수 없는 것이라고 했을까? 임금과  세손의 자리에서만 가능한 웃음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친아버지에게 불만이 가득했고, 양어머 니인 화완 옹주는 출세의 배경으로만 여겼기 때문에 그런 순수한 정을 주고 받을 기회가 없었다.  후겸은 가족들의 사람을 받는 세손을 보며 외롭지 않았을까? 후겸에게 순수한 사랑을 베푸는  사람이 있었다면 그의 욕망이 좀 수그러 들지 않았을까?

  임금이면서도 신하들에게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영조, 아버지의 손에 죽게 되는 세자, 아비의 비참한 죽음을 바라만 봐야하는 세손을 보면서 정후겸은 자신의 원하는 것을 얻었을때  결코 자 유로울수도 없고 행복할 수도 없고, 불안하기만 하다는 걸  깨달아야 했다. 그랬다면 세손의 진정한 벗이 되지는 못했더라도 권력의 수렁에 빠져 불행을 자초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작가는 욕망을 향한 정후겸의 심리를 긴장감이 느껴질 정도로 잘 그려냈다, 그래서인지 정후 겸 의 마지막 눈물에서  인간적인 안타까움보다는 인과응보의 후련함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경궁 동무 나를 찾아가는 징검다리 소설
배유안 지음 / 생각과느낌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어릭석게도 그 끝을 알면서도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이 권력인가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릴라 비룡소의 그림동화 50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199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볼수록 생각이 깊어지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