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 라자 세트 - 전8권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영도 작가는 현재의 판타지 문학의 초석을 닦았다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그렇기 때문에, 판타지 문학 중에서도 가장 완성도가 높은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다른 어느 판타지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았던 드래곤 라자라는 소재를 통하여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판타지의 초기 창시자였던 존 로날드 톨킨은 자신의 문학에서 여러 종족을 탄생시켰다. 인간, 호비트, 엘프, 드워프, 페어리 등의 이종족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세계를 조율하는 역할인 가장 강력하고 완벽한 종족, 드래곤을 탄생시켰다. 하지만 이영도 작가는, 여러 종류의 신의 개념을 도입하여 각 종족의 성격을 설명한 후, 조화의 신 유피넬과 혼돈의 신 헬카네스 양쪽의 보살핌을 받는다는 인간이 세계의 중심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 

드래곤 라자란, 바로 인간과 드래곤을 이어주는 그 상징물과 같은 것이다. 드래곤 라자의 자질을 가진 아이가 드래곤과 연결됨으로써, 드래곤과 인간은 그 연결점을 가지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것이다. 대신, 드래곤 라자란 것은 그 과정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단지 그 상징물로써의 역할만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 드래곤 라자가 만들어진 목적은, 바로 서로 상극의 특징을 가진 두 종족이기 때문이다. 드래곤은 가장 완벽한 종족이다. 홀로 수백만년의 삶을 살아도 전혀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살아간다. 그 반면, 인간은 홀로 존재하지 못한다. 상대방의 마음속에 내가 있기에, 내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이 상극인 존재를 연결하여 서로를 배우도록 하는 것이 드래곤 라자의 창시자의 목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뜻은 변질될 수밖에 없었다. 드래곤은 완벽한 존재고,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였다. 하지만 결과는 오히려 인간의 승리였다. 드래곤은 인간화되었고, 그 뜻은 드래곤이 불완전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완전하다는 뜻은 과연 무엇일까? 한 가지 예를 들어 생각해보면, 질서나 완전 또한 혼돈의 일부일 뿐이란 사실을 알 수 있다. 

질서가 혼돈의 일부라는 이유는 이 책의 주인공 중 한 명인 카일 헬턴트의 말을 빌려보자. 

"돌멩이 5개를 모아서 던져보자. 정말 우연히도, 돌멩이 5개가 정확히 일렬로 간격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겠지? 우리는 그것을 돌멩이의 질서 있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돌멩이를 던져서 확률적으로 나온 것일 뿐이지? 다시 돌멩이를 던지면 돌멩이는 항상 서로 다른 모양을 갖추지. 결국, 우리가 완전한 것, 또는 질서 있는 것이라 부르는 것은 혼돈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결과 중에 하나일 뿐이다." 

그러니, 모든 혼돈 중에서 우리가 완전하다고 이름 붙인 불완전의 존재, 드래곤이 인간에 융화되어 인간화 될 수 밖에 없었던 건 아닐까? 마치 인간처럼, 우리의 마음속에는 그 드래곤이 살게 되고, 드래곤의 마음 속에 인간이란 존재가 자리잡게 된 것이다. 

드래곤 라자는 후치 네드발이라는 재치있는 화자를 둔 덕분에 내용상도 매우 재미있었으며, 또한 인물들이 나누는 대화는 그 수준이 저급하지 않아서 읽기에 더 없이 좋았던 것 같다. 다시 한 번, 인간이란 존재가 세계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는지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동아 2011.8
과학동아 편집부 엮음 / 동아사이언스(잡지)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이제는 본격적으로 자원 전쟁이 시작될 판이다. 석유 등의 에너지는 현재 이미 그 위세를 잃은 상태이며, 새로운 대체 에너지를 찾기 위하여 수많은 과학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에너지 뿐만이 아니다. 이제는 과거에 쓰이지 않았던 자원들이 첨단 산업의 발판이 되어 쓰이고 있는 판국에, 희귀하다는 이유로 인해 자원 보유국이 자원을 제공하지 않는 자원 무기로 쓰일 수도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움직이고 있다. 

뛰어난 기술력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재료가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결국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법이다. 이것이 현대의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현재 스마트폰 등 가벼운 소재에 필요한 리튬의 확보량을 늘리기 위한 신기술을 개발했다. 외국에 기술을 들키지 않기 위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있는 이 연구소는, 앞으로 우리 나라의 첨단 산업에 있어 큰 영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우주왕복선에 대한 이야기가 특집으로 다루어졌다. 우주 왕복선은, 챌린저호 폭발 사건 이후로 한동안 정지되었으나 이 쓸모 많은 비행성이 다시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디스커버리 호, 아틀란티스 호 등에 탑승하여 수많은 위성과 관측선 등이 우주를 향해 나아갔다. 우주 왕복선은 인간의 우주에 대한 꿈 대부분을 실현시킨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사먹을 것이다. 하지만, 과학동아에서는 이 건강기능식품들이 현대에서는 전혀 '쓸모 없는' 식품들이라고 정했다. 특히, 과거 찬란하게 빛났던 비타민 신화도 이제는 끝나야 한다. 과거 비타민의 발견으로 인간이 갖고 있던 수많은 병을 고치게 된 인류는, 현대에 다양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면서 따로 비타민을 챙겨 먹을 필요가 아예 없어지게 되었다. 또한, 비타민의 발견을 더욱 빛나게 하도록 만들어진 인위적인 비타민의 효과들은 모두 가짜로 드러났다. 곧, 비타민의 결핍으로 발생하는 병은 진실이지만 비타민으로 발생하는 항암 효과 등 기타 부수적인 요소는 모두 거짓된 것이다. 건강 기능 식품도 마찬가지다. 우리 몸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지만, 골고루 알맞은 식품을 섭취할 수만 있다면 건강기능식품은 아예 필요가 없다. 지금도 사람들은 감기에 걸릴 때마다 비타민 C를 찾는데, 이제는 비타민 C 대신 다른 요법을 찾아보는 게 더 옳을 것이다. 

과학 동아를 통해, 현대 과학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틀이 잡힌다. 과학 기술 간의 경쟁도 현대에서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다. 시대가 요구하는 과학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7-28 15: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7-28 15: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천재들의 과학노트 5 - 해양학, 과학사 밖으로 뛰쳐나온 해양학자들 천재들의 과학노트 5
캐서린 쿨렌 지음, 양재삼 옮김 / 일출봉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통섭이라는 말이 있다. 사물은 널리 통한다는 말로, 이는 학문에서도 같은 것이다. 모든 학문은 서로 분리되어 배우고 있다고는 해도, 서로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해양학은 과학의 한 분야로써, 태초의 생명이 발생한 바다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더욱 중하다. 

 <세트는 50%판매중이네요 ^^>

육지에서 미지의 세계를 탐험했던 과학자들도 있는 반면, 바다에서 거친 풍랑과 싸워가면서 바다를 정복했던 과학자들도 존재한다. 그렇다면, 과학자들이 그렇게 심취하려고 했던 바다는 어떤 장소인가? 현재 우리는 생명 발생의 가능성을 두 가지로 나누어 보고 있다. 첫째는 바다에서 고압의 열과 전류가 가해져 만들어진 복잡한 DNA 구조가 원시 세포로 만들어졌다는 점이며, 둘째는 운석을 통해 전달된 외계생명 기원설이다. 물론 고압의 열과 전류로 세포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그 확률이 극히 낮기 때문에, 외계생명 기원설의 가능성이 더 높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바다가 태초의 생명이 존재했던 장소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바다에서 시작된 생명이 그 씨앗을 퍼뜨리고, 점점 진화하여 육지에 진출해 지금의 과정에 이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바다라는 지역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현재의 바다는 너무 넓고 기술력이 부족하여 아직까지 그 정황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다. 심해에는 어떤 생물이 존재하는지도 알지 못한다. 결국, 더 밑으로 내려갈수록 우리는 우리의 조상에 더욱 더 가까워짐을 의미한다. 그래서 많은 과학자가 바다에 심취했는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는 세계 최초의 해양과학 탐사를 개척한 사람을 와이빌 톰슨으로 보고 있다. 물론 저명한 과학자로서는 처음이겠지만, 나는 바다를 항해해서 그 기록을 남겼던 모든 선원들이 바로 해양 과학의 선구자들이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처음으로 전문적으로 탐사를 시작한 와이빌 톰슨의 업적은 무시할 수 없다. 그는 챌린저 호와 225명의 선원을 이끌고 전 세계의 바다를 여행했다. 그 과정에서 챌린저 호는 4717종과 715속의 생물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어 내었다. 이는 처음으로 바다의 모든 생물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샘플링을 한 최초의 시도가 된 셈이다. 이 지루한 채집 과정은 매우 견디기 어려웠을 테지만, 결국 이들의 노력 덕분에 챌린저 보고서는 무사히 완수될 수 있었다. 

톰슨 뿐만이 아니다. 해저의 지형, 특정 생물의 특성을 위해 연구한, 그리고 바다와 함께 살며 바다를 느꼈던 과학자들이 존재한다. 바다는 위험한 장소이기에, 그 탐구 결과가 더욱 값진 것 같다. 바다를 연구한 위대한 천재들로 인해 과학이 크게 발달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y Granny's Great Escape (Paperback) Jeremy Strong 15
제레미 스트롱 지음 / Puffin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Well, I can't understand why old people can fall in love each other. Do they like each other's wrinkles? Or do they like each other's hoarsen voice? Maybe this is because the old people can understand each other. Young children can play together because they understand each other and have same hobit. And elderies are same, too. They can understand each other, and have same hobby. That's why they can fall in love each other. 

But, if the partner is like a crazy drivers, maybe people will oppose it. Granny's sweetheart was a grandfather who like to drive motorcycle so fast. Granny liked it, and they wanted to marry. So, this special couple make troubles between Nicholas' family! 

Well, they finally get married, and this is a good ending. I still can't understnad how they can merry, but they will be happy, won't the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재들의 과학노트 1 - 생물학, 과학사 밖으로 뛰쳐나온 생물학자들 천재들의 과학노트 1
캐서린 쿨렌 지음, 황신영 옮김 / 일출봉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대게 모든 과학이 그렇듯이, 생물학도 발달할 수 없었던 계기가 있었다. 바로 종교상의 이유이다. 생물학에서도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인체는 평생동안 갖고 있던 자신의 몸임에도 그 구조를 오랫동안 알아내지 못했다. 사람의 신체를 함부로 훼손해서는 안된다는 교리 때문이다. 물론, 지금 생각해도 지극히 인간적인 반응이다. 죽은 자라고 해서 그 시체를 해부해본다는 것은, 결국 그 사람에 대한 모독일 수 있으니까. 하지만, 인간에 대한 모독보다 인체의 구조에 더 호기심을 가졌던 선구자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잘못 알려져 있던 이론들을 개선해내어 지금의 구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인체 뿐만이 아니다. 린네의 분류학, 찰스 다윈의 진화론, 멘델과 모건의 유전, 헨리 터너의 곤충 학습론 등을 통해서 우리는 생물이 얼마나 체계적인 구조인지를 이해할 수가 있다. 나 또한 이러한 구조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과연 창조론이 잘못된 이론인가를 심히 의심해본다. 하지만, 무엇이 잘못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 과학은 확립되었다고 할 수 없으니까. 

이들이 실험하고 실패하고 성공하는 그 과정을 보면서, 나는 과학자라는 직업이 얼마나 모험으로 가득차 있는지를 깨달을 수 있었다. 물론 지금의 경우에는, 좁은 실험실에서 여러번의 실험 과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과거에는아직 미개척된 곳을 탐험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아내던 과학자들이 있었다. 새로운 생물의 표본을 조사하는 생물학자들과, 그 지질을 조사하는 지질학자등이 그 예이다. 이들은 위험한 지역을 떠돌면서 많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금의 과학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고, 그 사실을 통하여 다양한 연구 개발이 가능하다. 이래서 과학이란 학문이 현재 각광을 받는 것이리라. 

이들은 분명히 천재이긴 했다. 하지만, 나는 이들에게서 노력하는 모습을 얼마든지 볼 수 있었다. 이들은 오랫동안 고민하고, 계속하여 지루한 반복 실험을 하는 것을 통해 그들이 추구하는 진리에 도달하였다. 이들의 고군분투로 발견된 진리들을 소중하게 간직하며, 나 또한 그러한 진리를 쟁취하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