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 혁명 - 변화를 만들지 못하는 독서는 버려라!
곽동우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뭘 모르던 시절에는 책만 읽으면 무조건 좋은것인줄 알았다. 이 책 저 책 분야를 가리지 않고 열심히 읽으면 나에게 굉장히 큰 변화가 찾아올 줄 알았다. 하지만 읽어도 읽어도 나 자신에 대한 큰 변화를 느낄수가 없었다. 책의 양이 부족한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독서모임을 하며 뭔가 나에게 심각만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같은 책을 읽었는데도 어떤 사람들은 책에 대해 술술 말이 나왔다. 반면 내 입에서 나오는 말은 그다지 많지가 않았다. 독서에 대한 나의 무지를 깨달았다. 그래도 독서모임을 계속 하며 서서히 좋아짐이 느껴지긴 했다. 독서에 대해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시점에 독서에 관한 책들을 접하며 나의 문제점들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났다. 지금은 나에게 맞는 독서법도 서서히 찾아가고 있는 중이다.
이 책의 저자는 '독서 요약'이라는 방법을 권하고 있다. 그동안 나는 내가 읽은 책들은 서평을 써왔다. 물론 모든 책을 다 쓰지는 못했지만 말이다. 서평을 쓴다는 자체도 책을 다 읽은후 다시 되새김질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가능하기에 독서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 책의 저자는 서평이나 독후감도 좋지만 그보다는 한 단계 발전시킨 형태의 독후활동으로 독서요약을 사용해보라고 한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독서요약은 책의 내용을 자신이 가장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지식화시킨 결과물이라 말한다.
일반인은 서평, 독후감, 독서요약의 제대로 된 차이점을 알기가 힘들다. 저자의 도움을 빌자면 서평이나 독후는 책을 읽게된 동기, 내용요약, 개인적인 감상의 간단한 구조로 작성된다고 한다. 하지만 도서 요약은 저자의 메시지를 주장, 의도, 목적으로 작성하고 메시지를 설명하는 핵심 정보를 주제, 요점, 주요 내용으로 작성한다고 한다. 그리고 작성자의 생각으로 마무리를 하라고 한다. 도서요약은 정보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필요하며 책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고 한다.
이 책을 만나기 한참전에 도서요약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접해본적이 있다. 하지만 지방이라 강의도 들을수 없었고 구체적인 방법을 알기 힘들어 궁금증을 갖고 있었지만 접근하기가 힘들었다. 그후 도서요약에 서서히 관심이 줄어든 시점에 다행이도 이 책을 만난것이다.
저자가 알려주는 도서 요약 작성 방법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해보자면
첫째, 저자의 메시지를 작성한다.
둘째, 저자의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핵심 정보를 베껴 쓴다.
셋째, 베껴 쓰기 한 내용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고 재구성한다.
넷째, 저자의 메시지를 구체화하고 주제와 요점을 작성한다.
다섯째, 생각 나누기를 작성한다.
여섯째, 퇴고한다.
물론 처음 접하는 나에게 쉽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저자가 샘플로 보여주는 책 네 권의 요약을 보며 흉내라고 내보려 한다. 도서요약의 작업을 하면 저자의 말대로 책에 대한 이해가 확실히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