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응답하라 1994 - 촌놈들의 전성시대 ㅣ 응답하라
오승희 지음, 이우정 극본 / 21세기북스 / 2014년 1월
평점 :
누구나 대학 생활에 대한 로망이 있거나 있었을 것이다. 나에게도 있었다.
1994년에 나는 고작 아홉 살이었지만 대한민국을 뒤흔든 '농구대잔치'의 인기는 알고 있었다. 손지창, 장동건, 심은하 주연의 드라마 <마지막 승부>도 부모님 옆에서 재미있게 보았고, 지금은 폐간된 '나나'라는 만화 잡지에 연세대 농구부 선수들이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 R.e.f 같은 그룹들과 나란히 소개되어 있던 것도 기억한다. 그만큼 연세대 농구부의 인기는 '핫' 했고, 나는 멋대로 '연세대=멋있는 오빠들이 다니는 학교 = 좋은 학교'라고 생각하며 대학 생활에 대한 로망을 키웠다.
그 때 그 시절, <응답하라 1994>의 주인공 나정 역시 연세대 농구부에 빠져있었다. 그것도 광적으로. 하나뿐인 딸이 이상민을 좋아하다 연세대에 입학하자 나정의 부모님은 아예 학교 앞에 '신촌하숙'을 차렸다. 그리고 이곳에 나정과 쓰레기, 칠봉이, 정대만, 해태, 장국영, 빙그레, 모두 일곱 명의 청춘들이 살을 부대끼며 살게 된다.
소설 <응답하라 1994>의 원작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작년 한해를 휩쓴 '응사 열풍'의 핵인 동명 드라마다. 전작 <응답하라 1997>은 드라마도 보고 소설도 읽었는데, <응답하라 1994>는 드라마는 못 보고 소설만 읽었다(드라마 응사를 안 본 이유는 단 하나, 인피니트의 호야가 안 나와서다 ㅎㅎㅎ).
드라마 내용을 몰라도, 스무살 그 파릇파릇하고도 뜨거운 시절을 지나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공학을 나오지도 않았고 하숙을 한 적도 없지만, 대학에 입학하면서 처음으로 타 지역에서 서울에 온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어색함과 설렘을 알고 있고, 내맘처럼 안되는 첫사랑에 좌절하고, 어른이 되려고 발버둥치던 때의 고통 같은 것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좌충우돌하는 소설 속 인물들의 모습을 보면서 꼭 내 예전 모습을 보는 것 같아 반갑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좋았던 건, 내가 아홉살 때 텔레비전이나 신문, 잡지로 보았던 신촌에서의 캠퍼스 라이프를 다시 볼 수 있었다는 것. 어린 시절에 <마지막 승부>, 학창 시절에 <남자 셋 여자 셋>, <뉴 논스톱> 등을 보며 키웠던 캠퍼스 라이프에 대한 로망을 다시 불러 일으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예전에 내가 꿈꿨던 대학 생활은 밤새 술마시고 노는 것도 아니요, 스펙 열풍에 휘둘리는 것도 아니요, 부딪치고 깨져도 계속 도전하는 젊음과 좋아하는 것을 잘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청춘의 모습이었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그걸 깨달은 사람들이 많아서, 드라마에 이어 소설까지 응사 열풍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드라마의 재미와 감동을 활자로 오래오래 간직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