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길 것 버릴 것 간직할 것 - 공간의 가치를 되살리는 라이프 시프트 정리법
정희숙 지음 / 큰숲 / 2025년 8월
평점 :
도서와 제작비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정리는 단순히 집을 깨끗하게 만드는 일이 아니다. 정리는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일이다.
내가 생각하는 정리의 기준은 집이 깔끔해지는 것이었다. [남길 것 버릴 것 간직할 것]을 읽으며, 정리는 내가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은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기준이 확장되었다.
저자는 말한다. 정리는 '내 자리를 다시 만드는 기술'이라고. 나름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내 공간이 불편하게 느껴진 이유를 생각하게 된 문장이다. [남길 것 버릴 것 간직할 것]을 통해 내 자리를 다시 만들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겉보기에 잘돼 있다고 끝이 아니다.'라는 문장에서는 큰 깨우침을 얻었다. 공간을 정리할 때 물건을 보기 좋게 쌓아두거나 정돈해두는 것만으로 만족하던 나에게, 그것은 진짜 정리가 아니라 그냥 '정돈된 박제'였다는 것을 알게해준 문장이었다. 단순히 보기 좋게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나와 어울리는 물건과 내가 살고 싶은 모습에 맞는 공간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정리를 대청소처럼 한 번 크게 하고 나면 끝이라고 생각하던 나에게,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정리는 한번하고 끝나는 일이 아니다.'
기분이 달라지거나 생활이 달라질 때마다 내 공간도 새롭게 정리해야 한다는 말에 크게 공감했다. 요즘 내가 자꾸 정리하고 싶다는 마음이 드는 것도 어쩌면 삶에 변화를 주고 싶다는 신호일지도 모르겠다.
정리를 통해 삶의 방향을 스스로 정할 수 있다는 메시지도 기억에 남는다. 물건을 단순히 치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를 스스로 묻고 그에 맞는 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정리라는 큰 울림을 주었다.
[남길 것 버릴 것 간직할 것]을 읽고 나서 나에게 정리는 단순히 깨끗함을 위한 일이 아니게 되었다. 내가 누구인지 보여주고,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내 공간을 정리하면서 나만의 이야기를 하나씩 써내려가고 싶다. 정리는 결국 나 자신을 발견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남길 것 버릴 것 간직할 것]을 통해 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