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 부정적인 감정을 이기는 긍정적인 생각법
우치다 마이 지음, 정지영 옮김 / 프롬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어떤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이 솟아날 때, 잠시 멈춰서 그 감정과 그 감정의 전후에 있는 것을 다시 평가하는 일. 이것이 바로 이 책의 핵심 주제인 리어프레이즐이다. 이 말은 '재평가'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어떠한 사건이 발생하고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오면,
순간 화가 솟구친다.
그리고 그 감정에 못 이겨
'버럭'하고 나면 꼭 후회를 하게 된다.
왜 분노해서 득이 될 것이 없는 상황에서
(물론 화가 필요할 때도 있지만)
감정에 휩쓸려 분노하고
후회할 만한 행동을 남기는 것일까.
그것을 뻔히 알고 있으면서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것일까.
그 악순환을 끊을 수는 없는 걸까.

재평가는 다르게 말하자면 부정적인 감정이 생겨난 배후에 어떤 생각이 있고, 그 생각은 어떤 식으로 구축되는 것인지 다시 살펴보는 사고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는
그러한 악순환을 끊을 수 있게 도와준다.
부정적인 감정이 생겨난 배후의 생각과,
어떤 사건에 대해 더 평탄한 방향으로
재해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책이 필요한 사람들
감정에 휘둘리면 자신이 고통스러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감정을 잘 다스리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마음이 편해진다.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재평가'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감정에 쉽게 휘둘려 지치는 사람,
평정심을 유지하고 싶은 사람,
타인의 말과 행동에 쉬이 상처받는 사람,
불안을 왜 느끼는지 알고 싶은 사람,
불안과 정신건강의 관계성이 궁금한 사람,
모두 환영이다.
이 책을 통해 부디
자신다운 인생을 찾을 수 있는
'키'를 찾을 수 있길 바란다.

감정이 뇌에서 형성된다고?
뇌가 저도 모르는 사이에 여러분을 움직이는 것은 무엇보다 생존을 위해서다. 맨 처음에는 무의식의 감정이 솟아오른다. 그것이 공포와 불안의 정체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저자는 우리의 뇌에서 감정이
어떻게 형성이 되어
행동으로 이어지는지 설명하고,
그러한 감정으로 삶이 지배당하지 않도록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감정이 뇌에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나는 감정은 마음과 생각에 따른 것이 아닌가 생각을 했었다. 내가 쉽게 뇌와 감정을 서로 연결시키지 못한 이유도 거기에 있다)

또한 유전적 요인이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그것으로 인한 염려는 하지 말라 다독인다.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부정적 사고 또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재평가 실천하기
재평가를 연구에 받아들인 뒤 나는 일상에서 의식적으로 재평가를 하게 되었다. 짜증 날 때, 분노가 진정되지 않을 때야말로 "재평가, 재평가"라고 스스로 되뇌었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저자는 재평가의 실천 사례를 보여주며
어떻게 하면 좋은지 보여준다.
처음에는 어려워 보일지라도
연습할수록 능숙해진다는 격려에 힘이 난다.
재평가의 사례를 들어보자면 이렇다.

나는 그 자리에서 잠시 멈추고 '내 짜증을 재평가해 보자'라고 생각한 뒤 감정, 생각, 행동의 순서로 재평가를 해보았다. 우선 '내가 이 감정을 느낄 필요가 있는가?'라고 자문했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아이들에게 놀이를 한 후 정리를 하라고
지시했지만 모른 척 듣지 않는다.
순간 짜증과 화가 난다.
아이들이 나에 대한 존경심이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분노가 솟구친다.
이럴 때 필요한 게 재평가다.

아이들이 말을 듣지 않는 것은
존경심이 없어서가 아니라,
더 놀고 싶어서다.
그렇다면 존경심과 관련하여
분노가 날 이유도, 화를 낼 필요도 없다.
여기서 필요한 것은 존경을 받는 것이 아닌
방을 정리하게 하는 것이 나의 목적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것을 깨달은 나는
화를 물리치고 방을 누가 더 빨리 정리하는지
게임을 하자고 제안하며 정리를 시작한다.
아이들은 신나게 정리하며, 서로가 웃으며
상황은 종료가 된다.
이렇게 재평가를 통해 긍정적인 기분과
좋은 성과로 상황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마음이 지쳤을 때
재평가는 마음의 상태가 무너졌을 때 사용하는 기법이지만, 오히려 마음 상태가 좋으면 좋을수록, 성공률이 올라가기도 한다. 다양한 상황에서 재평가를 하기 위해서라도 정신건강을 살피는 일은 필수이며, 마음에 불편함이 있을 때는 그 신호를 깨닫고 대응해야 한다.
감정이 행동이 되지 않게
재평가의 방법을 알았다면,
다양한 상황에서 더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정신건강을 더 좋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전수한다.
마음의 불편함이 있다면
그 신호를 깨닫고 대응하여
더 건강하게 정신을 유지해 보자.
당신의 재평가 능력은 갈수록 향상될 것이다.

마무리하며
2025년 새해가 밝았다.
밝은 새해만큼 미래도 밝게 보이면 좋으련만,
우리의 뇌는 어째서인지 자꾸 불안함을 안겨준다.
이러한 일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의 뇌 구조와 감정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나의 불안과 공포를 재평가해 보자.
한결 가볍고 유쾌하게
삶을 살 수 있도록 말이다.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