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전설 : 동양편
아침나무 지음 / 삼양미디어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설하면 '전설의 고향'이라는 TV 프로그램이 먼저 떠오른다.

대부분 한이 맺힌 원귀들에 대한 내용이 많은데 그런 한의 정서가 우리네 대표적인(?) 정서가 되어  

사람들의 입을 통해 대대로 전해진 것이 바로 전설이 되는 게 아닌가 싶다.

 

동양권 여러 나라들의 전설을 모아놓은 이 책은 각 나라의 전설을 통해  

그 나라의 정서와 문화를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먼저 우리 나라의 전설로는 최치원, 강감찬 등의 영웅전설, 신립과 아랑의 원귀전설,  

요즘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선덕여왕에 얽힌 지귀 등 다른 귀신에 관한 전설,  

그밖에 전설 하면 연상되는 구미호에 관한 전설 등을 소개하고 있다.

용왕의 딸과 결혼하는 거타지나 왕건의 할아버지 작제건의 전설은 어디선가 들어본 내용의 
얘기로  

역시 전설의 특징은 그 나라 사람들이 은연중에 알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점이 아닐까 싶다.

금돼지의 아들이라는 최치원의 전설이나 여우의 아들이라는 강감찬의 전설은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순수한 인간 혈통이 아닐 거라는 사람들의 정서가 그런 전설을 만들어냈을 것 같다.

여러 귀신들에 얽힌 전설은 이 책을 통해 제대로 알게 되었는데

내용이 짤막하게 소개되어 있어 좀 아쉬운 감이 없지 않았다.

 

중국의 경우 전설적인 인물들에 얽힌 얘기가 많았다.

진시황의 위협에도 자신의 사랑을 끝까지 지킨 맹강녀의 전설이나

사람으로 이루지 못한 사랑을 나비가 되어 이룬 양산백과 축영대의 사랑은  

중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라 할 수 있었다.

그 밖에 고사나 각종 사서에 등장하는 왕이나 제후, 충신, 간신 등의 얘기가  

전설로 전해져 후세 사람들의 교훈이 되고 있었다.

 

인도의 경우엔 왕과 왕비간의 사랑 얘기가 많았다.

타지마할로 유명한 샤 자한과 뭄타즈 마할의 사랑은 지금도 우리에게 아름다운 건축물을 선보이고 있다.

가장 인상적인 전설은 시험에 들어 산전수전 다 겪는 하리쉬찬드라의 얘기였다.  

진실만을 말하겠다는 맹세로 인해 성자들의 시험을 받는 그의 역정이  

안타까우면서도 흥미진진하게 그려졌다.

일본 전설에는 역시 요괴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데 요괴들이 왠지 악동 같은 느낌을 주었다.

몽골의 전설 중 '선녀와 젊은이' 전설은 우리의 선녀와 나뭇꾼 얘기와 비슷했는데  

나라는 달라도 서로 통하는 점이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그 밖에 동남아시아, 이집트, 아라비아는 물론 아프리카의 전설까지 담고 있어  

잘 몰랐던 지역의 전설까지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전설은 그 지역 사람들 사이에 자연스레 만들어져 전해내려온 것으로

얘기 자체가 상당히 흥미로울 뿐 아니라 나름의 교훈도 담고 있다.

게다가 요즘에는 문화 컨텐츠로서 전설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여기저기서 진행 중에 있다.  

그동안 전설에 대한 관심이나 이를 보존, 발굴하려는 노력이 미흡했던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동양의 여러 나라 전설을 간략하게나마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전설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고  

우리의 전설도 문화유산으로 소중하게 생각하고 이를 문화 컨텐츠로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절실히 깨달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의 나라 인간 나라 2 - 세계 정신 문화의 뿌리를 찾아가는 여행, 신화의 세계편 신의 나라 인간 나라 2
이원복 글 그림 / 두산동아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 나라 이웃 나라'로 유명한 이원복 교수의 신화에 관한 책

어릴 적엔 만화로 된 국사, 세계사 등 각종 책들을 재밌게 읽었는데

애니메이션 외에 만화로 된 책은 정말 오랜만에 접했다.

역시 만화는 딱딱한 내용을 전달하는데 좋은 수단인 것 같다. ㅋ

 

한동안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열풍이 불어

어린 아이들용 만화로도 여러 출판사에서 출간되었고,

이에 대한 법적 분쟁까지도 있은 그리스 로마 신화

나도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은 후 그 매력에 푹 빠졌었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히 그리스 로마신화가 아닌

전 세계의 신화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유행에선 약간 빗겨 났다.

이 책은 신화를 주제로 신화의 발생과 특징, 성격 등을

전 세계의 신화를 소개하며 재밌게 잘 설명하고 있다.

특히 우리에게 친숙하지 않은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소외되었던(?) 신화들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사실 우리 나라와 그리스 로마신화밖에 몰랐던 나에게

그동안 알지 못했던 세계를 보여 주었다.

세상의 다양한 인종과 언어만큼 신화도 다양하면서도

한편으론 닮은 꼴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 세계의 신화를 망라하려다 보니

약간은 수박 겉핥기 식으로 맛보기에 그치는 감이 있어 아쉬움이 남았다.

그래도 이원복 교수의 재치있는 글솜씨와 만화가 잘 어울려

신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소개서로서의 역할은 충분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화를 이해하는 12가지 열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미궁은 거기에 들어가지 않으려는 사람에게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뜻에서 신화는 미궁과 같다. 신화라는 미궁 속에서 신화의

상징적인 의미를 알아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방법이 있다. 독자에게는 아리아드네의 실타래가 있다.

----------------------------------------------------------

그리스 로마 신화는 누구나 한번쯤은 접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만큼 서양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선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지만

오히려 익숙하기에 쉽게 손에 잡히지 않는 책이다.

이 책은 그리스 로마 신화를 각종 그림과 조각 사진을 곁들여

재밌게 잘 풀어나가고 있다.

특히 내가 직접 가봤던 대영박물관이나 루브르 박물관 등에 있는

여러 그림과 조각들을 싣고 있어서 미리 읽어 보고 갔었더라면

더 많이 느끼고 배우고 왔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역시 아는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았던가...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을 때 가장 힘든 것은 역시 수없이 등장하는

신들의 이름과 그들의 역할일듯

제우스를 비롯해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신들도 있지만

처음 들어보는 낯선 이름의 신들도 무척 많고

각 신들의 임무까지 알기에는 역시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그럼에도 낯익은 이야기는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좋았고

몰랐던 사실들도 많이 알게 되어 많은 도움이 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