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사는 즐거움 - 누구와도 함께할 수 없는 나만의 행복 찾기
사라 밴 브레스낙 지음, 신승미 옮김 / 토네이도 / 2011년 8월
절판


사랑하는 것들에게 매일 안부를 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그렇지 않으면 작별인사를 건넬 시간조차 없이 생의 마지막 날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을.-17쪽

조화란 삶의 선율이 잘 어우러질 때 내면에 울려 퍼지는 만족감의 운율이다. -27쪽

작가 앤 윌슨 세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완벽주의는 최고의 자학이다."-130쪽

'희랍인 조르바'를 쓴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말한다.
"현실은 바꿀 수 없다. 현실을 보는 눈은 바꿀 수 있다."-134쪽

결국 삶의 성공은 처음에 세운 계획을 얼마나 잘 샐행하느냐가 아니라 '대안'을 가지고 얼마나 순조롭게 극복하느냐로 판가름 난다. -17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짓에 관한 진실 - 우리가 거짓을 사랑하는 이유
볼프 슈나이더 지음, 이희승 옮김 / 을유문화사 / 2013년 4월
절판


진실이 지구 상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그중 하나는 우리가 진실을 날조하고 은폐한다는 사실, 그리고 대다수는 진실을 듣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혼동하는 것이다. 진실을 모르는 사람은 진실을 왜곡할 수 없는 것이다.-10쪽

자연은 계획하지 않으며 각 생물의 욕구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 자연은 우연에 의해 생겨난 형태 가운데 환경에 맞는 것을 골라낼 뿐이다.-147쪽

"가장 일상적인 거짓말은 자기 자신을 속이는 거짓말이다. 타인을 속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예외의 경우다" 이것은 니체가 남긴 말이다. 이런 거짓말을 우리는 자기기만이라고 부른다. -281쪽

프로이트는 1917년에 인류에게 고전적인 '모욕' 세 가지를 밝혔다. 그에 따르면, 첫 번째는 코페르니쿠스가 인간을 우주의 중시에서 추방한 것이다. 두 번째는 다윈이 인간을 동물의 후예로 전략시킨 것이다. 그리고 세 번째 모욕을 준 사람은 프로이트 자신이었다. 그는 "성적인 본능이 우리 안에서 완전히 제어될 수 없다는 것, 정신적 과정들이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은 곧 "내가 내 집의 주인이 아니라는 사실"이라고 했다.-2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장바구니담기


(1) 등장인물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문제는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중요해야 한다. (2) 주요 등장인물은 전편에 걸쳐 자기의 역할을 해야 한다. (3) 앞으로 벌어질 사건은 미리 암시되어야 한다. (4) 등장인물은 모두 각자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스트 라이트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3-9 RHK 형사 해리 보슈 시리즈 9
마이클 코넬리 지음, 이창식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5월
구판절판


나는 단발이론의 신봉자다. 우리는 누구나 사랑에 빠져 여러 번의 정사를 가질 수도 있지만, 자기 이름이 새겨진 사랑의 총알에 피격될 기회는 딱 한 번뿐이다. 이 총알에 맞은 행운아는 영원히 아물지 않는 영광의 상처를 누린다는 것. 이것이 소위 단발이론이다.-1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세계사 - 제멋대로 조작된 역사의 숨겨진 진실
엠마 메리어트 지음, 윤덕노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4월
절판


역사란 당시 그곳에 없었던 사람들이 말하는, 일어나지 않았던 사건들에 대한 거짓말 모음이다.

조지 산타야나

역사적 사건들이란 사실 신화와 전설, 오보와 거짓말, 과장과 각색, 그리고 엄청난 혼란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평론가 산타야나가 말한 것처럼 역사는 그 자체가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시대를 살지 않았던 사람들이 당시 어떤 일이 왜 일어났는지를 설명한 것이 역사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역사적 사실'이란 것도 따지고 보면 학교에서 주입시킨 사실일 뿐 실제 일어났던 상황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은 '아마도' 사실이겠지만 일부는 진짜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

과거의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잘못 이해하거나 오해하게 된 이유는 매우 많다. 역사적 증거나 기록이 부족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혹은 증거물이 신뢰할 수 없거나 서로 모순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4-5쪽

과거에 일어났던 특정한 사건에 대해 전후 맥락을 생략하고 사건 하나만을 들여다보려고 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아무리 과거의 입장에서 관찰하려고 해도 현대적 감각에서 사건을 해석하게 되기 때문이다.
역사에 대한 해석도 따지고 보면 우리가 믿고 싶은 것에 불과한 것일 수 있다.
-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