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메르, 매혹의 비밀을 풀다
고바야시 요리코 외 지음, 최재혁 옮김 / 돌베개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베르메르, 매혹의 비밀을 풀다

고바야시 요리코 . 구치키 유리코 지음  ㅣ 최재혁 옮김

 

* 명화에 관심이 많아 베르메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 관련된 책을 찾던 중 이 책을 발견하고 도착하자마다 읽어 보았습니다. 베르메르와 관련된 도시의 실제 배경모습을 보면서 간접 경험을 사진을 통해 더욱더 가까이 느낄 수 있었고 제가 알고 있는 작품외에 또 다른 작품을 통해 새로운 점을 발견 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보았던 명화의 책 중 가장 현실감 있는 사진과 내용으로 명화를 보는 시각을 키울 수 있었네요.  제가 읽었던 내용 중 인상깊게 읽었던 부분과 사진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책 내용

 



 <진주 귀고리 소녀> 마우리츠호이스 미술관, 헤이그



진주 귀고리 소녀. 소녀
베르메르의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무엇일까? 설문조사를 하면 <진주 귀고리 소녀>가 단연 1위를 차지한다. 베르메르의 작품 가운데 젊은 여성의 얼굴을 클로즈업한 것은 <진주 귀고리 소녀>와 그 몇 년 후에 제작된 <소녀> 단 두 점 뿐이다. 두 작품 모두 개성적인 얼굴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특정한 누군가를 모델로삼아 그린 초상화로 보여진다. 그렇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이것은 초상화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처움부터 등장인물이 어떤 구체적인 의미를 갖는 것을 싫어했던 베르메르가, 특정한 인물을 대상으로 초상화를 그렸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르메르가 희로애락의 감정을 억누루는 특징을 가진 초상화라는 장르에 힌트를 얻을을 가능성은 있다. 이 두 작품은 트로니tronie(가슴 높이의 초상화로, 당시 화가들이 인물의 특징과 골상을 표현하는 훈련을 위한 습작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에 속하며, 불특정한 인물의 얼굴 부분을 그린 것이라고 생각된다. 새로운 풍속화를 추구하던 1660년대의 시도 속에서 탄생한 하나의 성과라고 볼 수있다.

 

   



<천문학자> 루브르 박물관, 파리  <지리학자> 슈테델 미술연구소, 프랑크푸르트

천문학자. 지리학자
베르메르가 세련미를 추구하던 시기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이 두 작품에는 드물게도 남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주제나 구도 면에서 매우 비슷한 분위기를 보여주기 때문에 종종 서로 짝을 이루는 작품으로 생각되어왔다. 그러나 강하게 드러나야 할 작품상의 연관성은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천문학자>는 1668년, <지리학자>는 1669년으로 제작 연도가 명확히 기록되어 있다. 두 작품은 겨우 1년의 시간차를 두고 그려졌다고 보기에는 그림의 질적인 면에서 너무나 확연한 대조를 보인다. <천문학자>는 의복에 나타난 명암 묘사가 매우 부드럽고 섬세하다. 반면 <지리학자>는 빙산을 연상하게 할 만큼 차가운 느낌으로 다가오며 선명한 명암 대비를 보여준다. 두 작품을 통해 빛의 리듬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이 두 작품 사이에서 어떤 분기점이 생겨나고 있는 것은 아닐까? 1660년대 마무리하는 마지막 불꽃과도 같은 극도의 세련미와 다음 시기인 1670년대 베르메르의 만년에 있었던 변화의 조짐이 이 두 작품에서 뚜렷이 느껴진다.


 





              <레이스를 뜨는 여인>, 루브르 박물관, 파리

레이스를 뜨는 여인

베르메르의 작품 중에서도 특히 크기가 작은 이 그림은 온통 빛으로 가득 차 있다. 1660년대 전반 베르메르의 기량이 절정을 향해 가던 시기의 그림에서 보여지던 부드러운 빛과 비교해보면, 이 무렵에 완성된 작품들은 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초기부터 만년에 이르기까지 베르메르는 태피스트리 등의 텍스타일을 자주 소재로 다루었기 때문에 텍스타일의 표현을? 실에 주목해보자. 베르메르는 실을흘러내리는 크림 상태의 액체나 녹아내리는 엿처럼 표현함으로써 신비한 질감을 보여주고 있다. 베르메르는 회화 기교가 뛰어났음에도 불고하고, 그것을 과시하지 않았던 화가였다. 그러나 그는 굳이 드러내지 않았던 자신의 기량을 이 작품에서부터 발휘하기 시작했다.


구교회의 묘지에 잠들다
겨우 43세에 찾아온 베르메르의 죽음은 너무 이른 것이었다. 장모가 1661년에 구입해두었던 구교회의 묘지에 베르메르가 묻힌 것은 1675년 12월 16일이었다. 그가 죽은 날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12월이라고 생각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죽음의 원인도 알려지지 않았다. 미망인 카타리나 볼네스가 2년 후에 남겼던 "어느 날은 건강한 것 같다가도 어느 날은 건강이 악화되었다"라고 말한 기록을 본다면 확실히 만년의 베르메르는 건강이 좋지 않았던 것 같다.  한편 이런 언급은 약간의 오해의 가능성도 있지만 육체적 질병보다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였다고 생각할 수 도 있다. 43년의 생애에서 베르메르가 화가로서 활동한 기간은 겨우 20년 정도? 실제로 완성한 작품 수는 기껏해야 50점이 조금 넘었으리라 생각되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30여 점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희소성 때문에 베르메르의 작품이라고 하면 무엇이든지 걸작으로 취급받고 있다. 그렇지만 그가 살아온 자취를 더듬어봤을 때, 베르메르는 결코 시대와 떨어져 혼자 아틀리에 안에서 걸작을 탄생시킨 고고한 천재 화가가 아니었다. 베르메르 역시 17세기 네덜란드에서 태어 난 시대의 아들 중 한 명이었으며, 결코 걸작이라고 부를 수없는 작품을 제작하면서까지 끊임없이 실험을 멈추지 않았던 화가였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