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집에 실린 시들이 대체로 쉬운 언어로 쓰였는데, 그럼에도 무슨 말인지 쉽게 와 닿지 않는 시가 있다. 자꾸 읽어보게 되는데, 그래도 모르겠다.


  그 중 한 시가 바로 '옷 벗는 나무'다. 나무가 옷을 벗는다? 긍정적일까, 부정적일까? 


  이 시집에 실린 다른 시들을 찾아보니 어느 쪽으로도 가능하다. 뭐지 이게?


한 그루 나무를 그린다. 이롭겠지만 / 마침내 혼자 살기로 결심한 나무./ ... / 요즈음에는 내 나이 또래의 나무에게/ 관심이 많이 간다. / 큰 가지가 잘려도 / 오랫동안 느끼지 못하고 / 잠시 눈을 주는 산간의 바람도 / 지나간 후에야 가슴이 서늘해온다. / 인연의 나뭇잎 모두 날리고 난 후 / 반백색 그 높은 가지 끝으로 / 소리치며 소리치며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그림 그리기4'에서. 12쪽)

                                            

그리던 나무를 아무래도 지워야겠다. // 혼자서 멀리 떠나야만 / 길고 편한 잠 이룰 수 있는 것 알면서 / 땅에 떨어지기 싫어하는 / 낙엽이 있다면 어쩌겠냐. ('그림 그리기 5'에서. 44쪽)


벌판에서 혼자 떨던 나무도 / 저 멀리 다음해까지 / 옷 벗어던지고 혼절해버렸구나. / 내가 아는 하느님은 편안하구나. ('겨울 기도 2'에서.62-63쪽)    


눈을 뜨고 꿈꾸는 나무가 되고 싶었다. /열매를 거두는 일은 어차피 내 몫이 아닌 다음에야 / 여름이 가기 전에 꽃잎을 눈부시게 다 뿌리고 / 세상의 자초지종에 태연하고 싶었다.('영희네 집'에서 97쪽.)


그러나 서울 가로수는 냉혈 식물인가, / 해마다 눈부신 장식으로 봄을 빛내다가 / 때가 되면 주저없이 입던 옷도 벗는다. / 두 눈 부릅뜨고 우리를 보는 / 늙고 지혜로운 선각자처럼.('서울 가로수'에서. 98쪽)                             


그럼 그냥 감으로 시를 읽어야 한다. 나무가 옷을 벗는다? 이는 계절적으로 보면 가을이란 말이고,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지점이란 성숙의 과정을 거쳐 결실을 맺은 때라는 말이다.


또 나무가 옷을 벗는다는 말은 가리지 않고 모두 보여준다는 말일 수도 있다. 나무가 숲을 이루는 경우를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숲 속에 들어가면 너무도 울창한 나무로 인해 하늘을 볼 수 없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니 한쪽으로 해석하자. 이번에는 나무가 옷을 벗는다는 말을 가리는 것을 치운다로 보자. 그래도 이 시가 잘 이해 안 되기는 마찬가지지만.  


옷 벗는 나무


왕이여,

당신의 슬픔은 遺傳이다.

사방에서 눈치보며 숨죽이는

당신의 아까운 겨레들,

숨죽이고 몸 흔드는 겨레의 눈들,

아무리 타일러도 옷 벗고 나서는 나무들.


왕이여,

높은 산 주위에는

낮은 나무들 허리 굽혀 살고

낮은 산 둔덕에서

크고 곧은 나무가 허리 펴고 산다.

당신의 슬픔은 유전이다.

천천히 넘어지는 무리의 나무들.

아무리 가지쳐서 불태워도

한세월의 어두운 王道의 하늘.


마종기, 그 나라 하늘빛, 문학과지성사.1996년 재판 2쇄. 16쪽.     


'왕이여 당신의 슬픔은 유전이다'가 1연과 2연에 반복되고 있다. 슬픔이 유전이라는 말과 '어두운 왕도의 하늘'이라는 말을 생각하면 하늘이 맑지 않다.


즉 왕도가 실현되지 않고 있다. 왕도를 정치로 바꾸면 제대로 된 정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사방에서 숨죽이며 눈치볼 수밖에 없다. 왕도가 아닌 패도(覇道)의 시대는 그렇다. 그러니 나무들이 옷을 벗을 수밖에 없다. 보라고, 하늘을 보라고, 지금 이 하늘이 과연 왕도의 하늘이냐고?


정치가 잘 될 때는 굳이 옷을 벗을 필요가 없다. 하늘이 잘 보이므로. 하지만 패도 정치가 이루어질 때는 옷을 벗어야 한다. 누가? 바로 주변에서 나름대로 힘을 지니고 있는 존재들이. 충언을 할 수 있는 존재들이.


이 나무들이 옷을 벗는 이유는 하늘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현실을 직시하게 하기 위해서. 그런데 하늘을 보지 않고 나무를 베어낸다. 나무를 쓰러뜨린다. 잘 자란 아름드리 나무들을. 


보이지 않게 한다고, 막는다고 어두운 하늘임을 모를까? 


옷 벗는 나무들, 하늘을 보여주려 하는 나무들. 그 나무들을 찍어내기만 하면 결국 슬픔은 유전될 수밖에 없다. 지속될 수밖에 없다.


나름대로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읽는데, 여전히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이 시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이 각박해지고 있다. 치안 만큼은 그다지 걱정하지 않고 있었는데... 미국에서 수없이 벌어지고 있는 총기난사 사건을 보면서, 우리는 아직 저 정도까지는 아니라고, 우리 사회는 그래도 무차별 살인이 많이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믿고 있었는데...


  대낮에 거리에서 백화점에서 학교에서 상해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죽거나 다치거나. 불특정 다수를 향한 분노의 표출일 수도 있고, 특정한 개인에 대한 앙심 때문에 벌인 일일 수도 있지만...


  이런 사건이 일어나면 일어날수록 사람과 사람 사이는 멀어진다. 그 멀어진 사이로 법이 강화되어 들어온다.


  관계 맺기의 어려움을 법이라는 틀로 강제하게 된다. 그냥 법, 법 하는 사회로 변해가는데... 


어지러운 시대일수록 법이 각광을 받는다. 어지러운 사회일수록 제자백가 중 법가(法家)들이 판을 장악하게 된다. 법은 점점 강화되고, 그만큼 사람과 사람 사이는 멀어진다. 어쩌다가 이렇게 됐을까?


한 개인이 한 개인을 어떻게 할 권리는 없다. 내가 소중한 만큼 다른 사람도 소중하다. 내가 소중한 만큼 다른 존재도 소중하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인데... 그런 마음을 지녀야 하는데... 법을 작동시키기 전에. 법으로 사람 관계를 만들어 가기 전에.


조태일 시집을 읽었다. 작은 것들에 대한 사랑이 시에서 잔뜩 묻어난다. 그 중에 산 속에 홀로 피어 있는 꽃. 개복숭아꽃. 우리가 먹는 탐스러운 복숭아보다는 못하다고, 야생 상태의, 질이 떨어지는 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접두사 '개-'가 붙은 꽃. 이 시집 제목이 된 구절이 바로 이 개복숭아꽃이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연등' 1연에서)다.


'연등'이라는 시다. 연등이 무엇인가? 희망을 담은 등 아닌가, 희망을 함께 느끼는 등 아닌가? 절에 가면 많이 걸려 있는 소망들. 그런 바람들.                                                     


하지만 이 시에서는 '저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라고 한다. 홀로, 마치 김소월이 쓴 '산유화'에서 '저만치'를 연상시키듯이.


하지만 혼자 타오르고 있었다고 해서 희망이 없다는 얘기가 아니다. 오히려 희망을 잃은 시대에 희망을 잃지 않고 꿋꿋하게 희망을 피어올리고 있다고 해야 한다.


마지막까지 지니고 있어야 할 것이 바로 희망 아니던가. 조태일의 시 '연등'은 그런 생각을 하게 한다.


    연 등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산 속

개복숭아꽃 저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


연분홍꽃

점, 점, 점, 점점이 불 밝혀

화르르 화르르 몸 섞고 있었네.


사월 초파일날 켠 연등보다

더 환했네. 더 고왔네.


오래도록 내 숨결

내 스스로 가빴네

내 스스로 황홀했네.


조태일,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 창작과비평사. 1999년 2쇄. 32쪽.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또 저만치 있더라도, 홀로 있더라도 희망은 희망이다. 희망을 잃지 않는 삶, 사람과 사람 사이를 법으로 메꾸기보다는 배려와 존중, 서로 인정하고 도와주는 마음으로 채우는 그런 시대에 대한 희망,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여전히 희망은 있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호 기획은 서울'이다. 말은 태어나면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옛말이 있다고 했는데, 그런 옛말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서울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자석과도 같은 도시다.


  누구나 '서울!서울!' 하면서 서울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하긴 서울에 없는 것이 있을까? 하다못해 현지에서 생산되는 물품들도(공산품이든 농산품이든 수산품이든) 서울이 더 싸다고 하는 말도 있으니...


  의료, 교육, 정치, 경제, 연예 등등 대부분이 서울로 집중되어 있다.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이런 서울중심주의를 타파하기 위해서 지역에 정부 청사를 이전하는 방법도 시도되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서울은 모든 것들의 중심이다.


이런 상황이니 [빅이슈]를 판매하는 도시도 서울과 부산 뿐이라고 하고, 이번 호 뒷면에 있는 빅이슈 판매처를 살펴보니 서울 지하철 역이 24군데(물론 판매하는 곳의 출구가 다른 곳도 있으니 판매처는 24군데보다 많다고 해야 한다)이고 부산은 두 군데뿐이다.


유동인구가 서울이 훨씬 많고 빅이슈를 판매하는 곳이 아무래도 지하철(전철) 역 근처이다 보니 이런 현상이 생길 수밖에 없을텐데...


이렇게 서울서울 하지만 과연 서울을 제대로 알고 있을까? 이번 호는 그래서 피상적으로 보는 서울이 아니라 서울을 경험한(살았던 또는 지금도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만난 서울에 대한 글을 실었다.


  관광지로서의 서울이 아닌 역사와 삶이 담겨 있는 서울. 급속도로 변해가는 서울이고, 한없이 복잡한 서울이지만 변하지 않는 것이 있고 또 단순한 서울이기도 한 서울에 대한 글들.


  다른 도시에 대한 글들도 싣겠다고 했으니, 우리나라 다양한 도시(또는 마을)에 대한 소개가 있으리라 기대하면서, 이번 호에 나온 서울에 대한 글들을 읽었다.


  내가 생각하는 서울하고 이번 호에 실린 글에 나오는 서울하고 비슷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고.  

 

  하긴 똑같은 공간이라고 해도 사람마다 다 다르게 느낄테니, 이번 호에 실린 서울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서울에 대한 다른 느낌을 만나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참고로 이번 호 표지가 두 개인데, 내가 받은 표지는 B형이다. A형은 서울타워(흔히들 남산타워라고 한다)가 B형은 대형건물들이 표지를 장식하고 있다.


이런 사진말고 서울하면 떠오르는 자신만의 사진을 생각하는 것도 이번 호 '서울'을 생각하는 다른 방법이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인의 시집을 읽다가 '사람책'이라는 말을 다시 떠올렸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일은 당연한 일.


  그 영향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누군가에게는 반드시 영향을 주게 되어 있다.

  좋은 책이든 좋지 않은 책이든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영향을 받듯이 사람과의 만남도 마찬가지다.


  그냥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으면서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 그러기에 누구의 삶도 소중하다. 


  시인은 시인의 말에서 '겨우'라는 말을 쓴다. 시인이 국립국어원에서 낸 표준국어대사전을 공부하고, 그에 대해서 책도 냈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뜻풀이를 그대로 가져와 본다.


'어렵게 힘들여, 기껏해야 고작'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그렇다면 시인의 말에서 하는 '겨우'는 무엇일까? 둘 다에 해당하겠다. 


'젊어서는 커다란 바윗덩어리를 굴리려고 했다 /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돌아보니 / 겨우 옆으로 살짝 밀어놨을 뿐이다'


여기서는 '기껏해야 고작'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다음 구절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건 / 겨우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 그런 겨우를 위해 당신이나 나나 참 애쓰면서 여기까지 왔다 // 앞으로 겨우를 갸륵하게 여기기로 했다 / 그런 겨우를 위해 당신이나 나나 참 애쓰면서 여기까지 왔다'고 하고 있으니, '기껏해야 고작'인 인생을 위해서 '어렵게 힘들여' 살아왔음을 생각하게 된다.


이 '겨우'를 위하여 우리는 얼마나 힘들여 살아왔던가. 그러니 겨우라고 비관하지 말자. 삶은 겨우 '여기'까지 왔을 뿐이니까.


그러니 이 '겨우'를 찾아내는 일. 이것이 바로 삶이고, 우리가 사람책을 읽는 이유 아닌가 싶다. 어떤 사람에게도 '귀를 접'을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일.


시인이 우리가 보지 못하는 존재를 보고 우리에게 알려주듯이, 우리 역시 다른 사람의 삶에서 '겨우' 이룬 것들을 찾아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귀를 접다


   책을 읽다 눈에 들어오는 구절이 있으면

   페이지를 넘기기 전에

   위쪽 귀를 조금 접어둔다


   삶은 읽으면서 동시에 쓰는 거라는 걸

   앞서간 이들로부터 진작 배우긴 했으나

   책을 읽다 귀를 접는 건

   읽는 힘이 쓰는 힘을 불러오기 때문이겠다


   돌아보면 내가 써 내려간 글들은

   비문투성이였는지도 모른다

   내가 마침내 한 권의 책이 되고

   표지를 덮듯 관 뚜껑을 덮고 사라졌을 때


   누군가 나라는 책을 들추다

   살짝 귀를 접는 페이지들이 있을까?


   내 귀는 잘 접히지 않아

   늘 소란이 들끓는 시간을 살며

   우물쭈물 여기까지 왔다


   접히지 않는 귀를 지그시 눌러본다

   바깥 소리 대신 내 안의 소리를 담아

   제대로 된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하겠다


박일환, 귀를 접다. 청색종이. 2023년. 124-125쪽.


이렇게 시인의 시를 읽다보니 내 삶에서도 귀를 접는 부분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 나를 읽는다면, '겨우' 이렇게 살아온 내 삶에서도 귀를 접고 생각을 할 수 있는 삶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도 그런 삶을 살도록 '더 많은 연습'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내가 만나는 수많은 사람들이 책 역할을 하고, 그들에게서 귀를 접을 부분을 발견하고 내 삶에 옮겨오려고 노력하듯이, 내 삶도 누군가에게는 귀를 접고 옮기려고 노력하게 만들 수 있다면, '겨우'인 내 삶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시가 이렇게 내 삶으로 들어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 호를 읽으면서는 '자립'에 대해 생각한다. [빅이슈]가 자립을 위해 존재하는 잡지이기도 하지만, 사람은 누구나 자립을 꿈꾸지 않나.


  그런데 자립이 무엇일까? 홀로 살아가는 것만을 자립이라고 할 수 없을텐데...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을 자립이라고 한다면, 글쎄 과연 그런 사람이 있을까?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지 않나. 사람만이 아니라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존재들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으니, 자립이라는 말을 의존이라는 말과 대립되는 것으로만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이번 호에 실린 최서윤의 '자립의 기둥들'이란 글을 통해서다. 이 글에 나온 내용.


'자립은 어디에도 의존하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기댈 수 있는 곳을 여러 군데로 늘려 각각의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라는 해석을 최근 접했다. 자신을 지탱하는 기둥 하나에 의존 말고 여러 개의 기둥을 만들라는 뜻일 테다. 취미, 인간관계 등 각각의 기둥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 (61쪽)


이것이구나. 자립이란 이렇게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이구나. 그러니 [빅이슈] 또한 이런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으니 자립이라는 말을 당당하게 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


그래서 이번 호에는 빅판 코디네이터와 한 대담이 실리기도 했다. 빅판들에게 코디네이터는 의존하게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빅판들이 자립할 수 있게 하는 기둥이 될 수 있음을. 또한 그렇게 기둥이 되어 왔음을.


사람들이 자신이 기댈 수 있는 많은 기둥들을 만들고 또한 자신도 기둥이 되어주는 그런 삶을 살아야 함을 '자립'이라는 말을 통해서 생각하게 된다.


이렇게 많은 기둥들을 [빅이슈]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호에서 언급하고 있는 '디지털 디톡스'에 관한 글들도 역시 우리 삶의 기둥, 즉 자립에 대한 말일 테다.


지나치게 디지털에 의존하는, 특히 손 안의 컴퓨터에 자신의 많은 시간을 쓰는 삶은 기둥을 줄이는 행동일 수밖에 없음을. 그래서 자신은 자립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의존하는 삶이 됨을.


디지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관계를 만들어가야 '자립'의 삶을 살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