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이런 생각을 한다.


  학교 교육을 무려 12년 이상이나 받았는데, 과연 내가 살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무인도에 떨어진다면 나는 내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까? 아무것도 없이, 현대 기술이 만들어낸 도구들 없이 무인도에 있다면, 어떻게 살아남을까?


  불도 못 피울텐데. 무엇을 잡을지도, 또 어떤 식물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인지도 모르고, 잠자리를 마련하는 일도,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는 일도 못할텐데.


아니 현대 도구를 가져갔다고 해도 과연 그 도구들을 잘 쓸 수 있을까? 도구들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기름이 필요한데, 기름이 떨어지면, 전기가 떨어지면 어떻게 하지?


막연히 학교에서 배운 기술들이 그야말로 내 삶을 유지하는데 어떤 도움도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인생은 그렇게 책에서만 배울 수 없을텐데... 자신이 혼자 살겠다고 하는 일도 힘든 일이지만,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 자신을 비우는 일도 어려울텐데. 


살아가기 위한 기능, 또 함께 살아가기 위한 자세를 과연 배웠던가. 그냥 제멋에 겨워 살지 않았던가 하는 생각. 


지금부터라도 나만이 아니라 함께를 생각하는, 그리고 내 삶을 내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무언가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


제목만으로도 마음을 끄는, '새로운 인생'이라는 시. 물론 이 시가 앞에 이야기한 것처럼 해석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누구나 새로운 인생을 꿈꾸지 않나. 


그런데 그 새로운 인생이 위로 위로, 일과는 상관없는 곳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밑으로 밑으로, 일과 관련있는 곳으로 가는 것. 그것이 바로 새로운 인생 아니겠는가.


낮은 곳에서 살아가는 인생. 그래 일본의 어느 학자가 벌레의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지 않은가. (김해자가 쓴 '벌레의 눈, 시인의 눈'이란 책에서 읽은 기억이 있다)


그렇게 낮은 곳에서 함께 사는 삶. 그런 새로운 인생. 그렇다면 세상이 다르게 보일 것이라는 생각.


  새로운 인생


바람이 긴꼬리도마뱀처럼

비닐문을 들치고 들어오나 보다

어둠이 미끈거리며 목덜미를 감쌀 무렵

방안에 웅크렸던 나라는 짐승을 본다


사람 하나였다고 믿었던 나의

껍질을 빈방에 결박해 두고


신원미상의 얼굴을 하고선

행자승처럼 새벽에 일어나

밥을 지어먹고

신발끈을 매고

쫓기는 사람처럼 집을 나선다


나는 당분간 일용노동자로 살기로 했다


내 등을 떠밀어 다오

서투른 몸동작으로

삽과 괭이와 해머와 철사와 커터 들을 다루는 나를

이제야 그들의 눈빛에서

체념과 순응의 본능을 읽을 줄 알게 된 나를

내 어머니에게 이런 나를 보여주고 싶다


새로운 인생을 향해

꿀꺽 침을 삼키는 나를


송태웅, 새로운 인생, 산지니. 2018년. 20-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 시집을 읽으면 주인공이 청소년이라서 그런지 잊고 지냈던 과거를 생각하게 된다.


  그때 나도 저런 생각을 했었지, 저런 행동을 했었는데... 그 시절이 까마득한 과거가 되어버린 듯, 아예 기억에서 지우고, 나날을 살아가는데 허덕허덕거렸던 지금.


  이 지금이 과거를 잊고 살아가는 현재가 아니라, 과거와 함께 하는 현재임을 깨닫게 하는 것이 바로 청소년 시집이다.


  우리는 한때 청소년시기를 거쳤으므로. 


  아직 청소년 시기를 거치지 않은 사람이 이런 시집을 읽는다면 현재에서 미래를 만나는 경험을 할 테고, 현재를 살아가는 청소년이라면 자신의 삶을 시를 통해서 만나게 될 테니.


청소년 시집은 누구에게나 현재를 풍요롭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 시집의 시인은 교사의 역할을 한다고 한다. 


자신의 시를 통해서 수업 시간에 많은 문학적 용어들을 설명한다고 한다. 시인이자 교사, 교사이자 시인이니 학생들을 통해서 청소년들의 삶을 자주 또 깊게 만나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만남을 시를 통해서 표현했다. 자신만이 아니라 누구나 시를 읽으면서 현재를 잘 살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그래서 이 시집에는 어려운 말이 하나도 없다. 내용도 어렵지 않다. 그냥 청소년의 마음, 행동을 일상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일상이 시로 다가온다고 해야 할까? 이 점을 다른 말로 하면 청소년들의 삶을 어려운 언어로 표현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그들의 말은 쉽다. 간결하다. 마찬가지로 그들의 삶도 간결하다. 그것을 공연히 어려운 말로 번역할 필요가 없다.


난해한 말로 가릴 필요도 없다.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온전한 존재. 그렇게 오롯한 존재로 청소년을 받아들이면 그들은 자신들의 꿈을 찾아 간다.


이 시집에 나온 시들 중에 '뜬구름'이란 시. 청소년기에 뜬구름을 잡으려고 하지 않으면 언제 할까? 청소년 시절 엉뚱한 상상을 하던 때를 떠올리게 하는 시다. 그러나 엉뚱한 상상이 필요없을까? 아니다. 엉뚱한 상상은 필요하다. 그것들이 우리들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하니까.


  뜬구름


뜬구름 잡는 얘기 좀

그만 하란다


비누 거품 비행선

고양이 말 통역기

하늘을 걷는 신발

몸이 커졌다 작아지는 알약

양치질을 해 주는 사탕

시험 문제 답이 보이는 안경

눈물을 멈추게 하는 향수

웃음이 나오는 껌

       .

      .

      .


뜬구름도 쌓이면

비가 되어 내릴 거다

그럼, 잡을 수 있다


이장근, 나는 지금 꽃이다. 푸른책들. 2013년. 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연히 이런 조례안이 상정될 수 있단 얘기를 들었다. 의견을 구한다는 얘기도 들었고. 서울시의회에서 조례로 상정하려고 한다고 한다. 설마? 이런 조례안이 상정되겠어? 했다가, 설마가 사람 잡는다고 하는데, 혹시가 역시가 되면 어쩌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조항들은 볼 것도 없다. 이 조항을 보고 생각해 보면 된다.


서울특별시 학교구성원 성·생명윤리 규범 조례안


 6. "성·생명윤리"란 건전한 성 가치관 형성을 위한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생명 보호 및 가치의 증진을 위해 지켜야 할 윤리로서 학교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학교구성원이 준수하여야 할 다음 각 목의 핵심 가치를  말한다.

   가. 혼인은 한 남성과 한 여성의 정신적, 육체적 연합을 의미한다.

   나. 성관계는 혼인 관계 안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다. 남성과 여성은 개인의 불변적인 생물학적 성별을 의미하고, 이는 생식기와 성염색체에 의해서만 객관적으로 결정된다.

   라. 아직 태어나지 않은 인간인 태아의 생명권은 헌법상 보장된 권리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마. 인간의 생명은 고귀하고, 존엄하며,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권이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스스로 자신의 생명을 중단할 권리가 없다.

   바. 기타 성·생명윤리에 반하는 성적 부도덕, 성매매, 마약, 인간복제 등을 합리화하는 내용을 교육하거나 학습하지 않는다.


여러 생각이 있을 수 있지만, 나.다를 보면 시행착오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이 어느 시댄데 하는 생각도 들고.


관점이 다르다고 하지만, 이렇게 사람의 성에 관한 것까지 조례로 만들 필요가 있을까? 아니 조례로 만든다는 사실 자체가 문제 아닐까?


인간의 본성을 규정으로 구속하려고 하다니? 세상에! 1940-50년대에 활동했던 빌헬름 라이히가 이 조례안을 보면 무엇이라고 할까?


아마, 그는 파시즘이 이래서 대두되는 거야 할 거다. 그는 성의 억압이 파시즘을 유발한다고 했으니까.















 

 굳이 그의 책을 읽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이 조례안과 관련지어 기사가 몇 편 있다.


  

기사를 읽어보고 판단하자.


  설마, 이런 조례안이 상정되지 않겠지.


  서울시의회에서. 이런 일까지는 하지 않겠지. 그냥 지나가는 일이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는데...


정말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믿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 수 있겠다. 기사를 링크한다. 읽어보고 판단하자. 지금 서울시의회에서 이런 일들도 일어나고 있다고 하니. 이 말이 과거형이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관심을 가질 문제다. 간통죄도 폐지된 나라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헌책으로 구입했다. 

  김소월하면 우리나라 근대시를 개척한 시인이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시인 아니던가. 

  그런 김소월 시문학상 수상작품집인데, 그것도 1회 작품집이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망설이지 않고 구입.


  목차를 보니, 이름 있는 시인들 작품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심사평을 읽어보니 40대를 전후한 중견시인들로 대상을 제한했다고 한다.

  물론 문학상이 그해 발표된 모든 작품과 모든 시인들을 대상으로 하기는 힘들지라도 이렇게 중견으로 제한한 것은 문제가 있단 생각이 든다.


시를 꼭 20여년 정도 쓴 시인들이라야 잘 쓴다고 할 수 있나? 단 한 편의 시로도 기억에 남는 시인이 있고, 평생동안 꽤 많은 시집을 냈어도 그 시인의 시 단 한 편도 기억하지 못하는 시인도 있는데...


시가 나이와 또 시를 쓴 경력과 같이 가지 않음을 심사위원들이 더 잘알텐데, 왜 이런 결정을 하고, 그런 과정을 거쳐서 수상작을 선정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김소월이 40을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떴는데, 그의 작품을 폄하하는 사람은 없지 않은가. 하여간 그런 심사경위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수록된 시까지도 마음에 들지 않은 것은 아니다. 대상을 받은 오세영의 그릇 연작 중에서 그릇1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좋았는데... 중간 부분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릇이 깨지면 칼날이 된다고, 사랑은 온전한 그릇으로 다 받아들여야 하는데, 깨졌을 때는 사금파리가 되어 사랑을 깨게 된다고 할 수도 있는 시.


그렇지만 '깨진 그릇은 / 칼날이 된다. / 무엇이나 깨진 것은 / 칼이 된다.'(오세영, 그릇1.4연. 이 책 17쪽)고 하는 시 구절은 우리들 삶을 생각하게 한다.


그릇,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데, 깨지면 받아들일 수가 없다. 오히려 다른 존재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


지금 이 시대 깨진 그릇들이 얼마나 많은지. 이상하게도 기를 쓰고 자신들의 그릇을 깨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


아니, 자신들의 그릇만이 아니라 다른 존재의 그릇도 빼앗아 깨버리려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에 이 시를 읽으며 씁쓸한 감정에 빠지게 된다.


내 그릇이 깨지지 않게 조심해야 하겠지만, 다른 존재의 그릇도 깨지지 않도록 배려하는 태도, 그러한 삶이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여기에 수록된 시들 중에서 송수권의 '하느님의 아이들'도 마음을 울린다. 87년이면 지금으로부터 35년 전인데, 이미 그때 아이들이 자연으로부터 멀어졌다고 한탄하는 시인의 마음이 느껴져서다.


지금은 자연으로부터 더 멀어지고, 코로나19로 인해서 사람들끼리의 관계도 더 멀어졌으니, 이 시를 읽으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하느님의 아이들


  내 사랑이 부족한 탓일까

  캔 음료도 색깔로만 마시고 사는 요즈음의 아이들

  어찌 하느님을 닮았다 할까


  식목일에 무궁화 삽목을 하고 싶어

  몇 아이에게 가지를 쳐오라 했더니

  꽃이 지고 없는 개나리 가지를 쳐 왔다

  그림 속의 꽃은 잘도 구별하던 애들이

  하느님의 영토 안에서 자라는 싱싱한

  나무들의 이름과는 이렇게 멀어져 간다.


  어느날은 창 밖에서 

  메뚜기 한 마리가 흘러 들어 발을 절며

  아이들의 심장에다 불을 놓았다

  모두가 책상 위로 올라가 까치발을 서고

  나의 수업 시간은 엉망진창이었다

  E.T하고는 잘 놀던 애들이

  하느님과는 가장 눈이 닮았다는 메뚜기와는

  왜들 이렇게 원수 보듯 하는 걸까


  나는 메뚜기 한 마리를 들고 서서

  혼자서 길 잃은 아이처럼 어린 시절을 생각했다.

  논둑길을 가로질러 벼가 익어 가던 벌판은

  온통 나의 성(性)이었다

  한 되들이 됫병에 갇힌 메뚜기들은

  그때 얼마나 할 말이 많았는가

  ......얘 꼬마 녀석, 그러다간 하늘에 못 간다.


  내 사랑이 부족한 탓일까

  요즘은 자구만 아이들이 싫어진다

  냉장고 속에서 다람쥐처럼 크는 아이들

  밤 하늘 은하수를 잊고 산 지도 오래다

  어느 길목에서 하느님의 옷자락을 놓아 버린 것일까


  지난 일요일에는 낚싯대를 메고

  나 혼자 들로 나갔다

  진달래 산천을 지나 민들레가 핀

  보리밭둑을 넘어

  살구꽃이 폭포수처럼 내리는 옛날의 밝은 마을을 지나

  종달새 앞장 세우고 하늘 끝까지 걸어갔다


  깜부기로 하느님의 턱밑 수염을 그리며

  나는 탈판 속의 말뚝이처럼 한 바자기 우물물을 퍼 마시고

  한 시대의 풍경 속으로 사라져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1987년도 제1회 소월시문학상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5년 2판 1쇄. 

송수권, 하느님의 아이들.154-1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그러면 삶을 살아갈 수 있다. 죽음과 삶은 양면이다. 한 면이 보이면 다른 면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다고 없는 것은 아니다. 늘 함께 존재한다. 


  아무리 부정하려 해도 죽음은 삶과 함께 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삶은 죽음과 함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살면서 죽음을 생각해야 한다. 


  죽음은 끝이라고 하지만, 그 끝은 개인에게 끝일뿐, 다른 존재에게는 지속일 수 있다. 결코 끝이 아니다. 기억 속에서 죽음은 삶으로 지속된다.


  그러므로 죽음을 생각하면 막 살아서는 안 된다. 죽음을 가볍게 여겨서도 안 된다.


세상 어떤 죽음이 가볍겠는가? 죽음은 한 사람에게는 전부다. 아니, 모든 사람들에게 죽음은 전부다. 그래서 죽음 앞에서는 다들 겸허해진다. 허튼 소리를 하지 않는다. 하지 않아야 한다고 해야 한다. 요즘은 죽음 앞에서도 허튼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있으므로.


하지만, 그런 허튼 소리를 하는 사람들 역시 언젠간 죽음에 이른다. 죽음에 맞닥뜨린다. 자신의 죽음이 아니더라도 자신과 관계 있는 죽음을 만나게 된다. 죽음 앞에서 겸허해져야 할 이유다.


김혜순 시집을 읽었다. 죽음에 관한 시 49편이다. 49재를 연상하게 하고, 티벳사자의 서에서 죽은 후 49일동안 겪는 일들을 생각하게도 한다.


웹툰과 영화로 나온 '신과 함께'도 연상하게 하고... 그렇지만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은 죽음들이 연속되지 않는다. 한 죽음이 49일동안 겪는 일이 아니라, 여러 죽음들이 나온다. 어쩌면 죽음의 양상들을 살피고, 죽은 뒤에 겪는 일들을 생각하게 하는지도 모른다.


어차피 죽음이란 결과는 같지만, 그 과정은 다들 다를테니까. 49일동안의 죽음 여정 또한 같을 수가 없겠지.


이 시집에서 34일째에 해당하는 시가 와닿았다. 요즘 일어난 사건들과 연관지어서. 이렇게 비슷한 사건들이, 막을 수 있었던,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될 사건들이 일어나는데, 제대로 된 사과는 그때나 지금이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니...


우글우글 죽음

  서른나흘


네위에

네아래

네곁에

네밑에

네옆에

네너머

네뒤에

네안에


누가 밤을 면도날로 긁고 있다고 말해야 하나

면도날 긁힌 자리마다 밤이 잠깐씩 환해진다고 말해야 하나


네가 울고 있다고 말해야 하나

네가 칭얼거리는 어린 죽음들에게 젖을 물린다고 말해야 하나


통 잠을 잘 수 없다고 말해야 하나

우리는 지금 마악 만난 사이라고 말해야 하나


벽에 머리를 쿵쿵 박고 있다고

비명이 수정처럼 차오른다고

벌써 목구멍까지 투명하고 딱딱한 수정이 올라왔다고 말해야 하나


김혜순, 죽음의 자서전, 문학실험실. 2019년 초판 4쇄. 87-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