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러웨이 선언문 -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도나 해러웨이 지음, 황희선 옮김 / 책세상 / 2019년 7월
평점 :
잘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자꾸 손이 가는 사람이 있다. 이해하려면 그 사람만 집중적으로 읽어도 될까 말까 한데, 그렇게 하기는 힘들고, 그렇다고 읽지 않으면 무언가 마음이 찜찜하고...
그런 사람들 중에 해러웨이가 있다. 언젠가 해러웨이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꼭 읽어봐야지 했었는데, [한 장의 잎사귀처럼]을 읽고는 잠시 뒤로 미뤄뒀다. 아직은 해러웨이를 읽을 때가 아니구나.
그러다가 해러웨이 선언문 중에 [사이보그 선언]이 자꾸 언급되는 책을 읽게 됐다. 이거 한번 읽어봐야지 하고 구입했다가, 미루다 미루다 읽다가 또 손을 뗐다가 다시 읽다가.
그럼에도 잘 이해가 안 된다. 나중에 좀더 시간이 지난 다음에 읽어봐야겠다. 그럼에도 사이보그나, 반려종 선언에 들어있는 의미를 내 나름대로 추측한다.
해러웨이의 주장을 이해했다기보다는 읽으면서 문득 든 생각. 니체는 '신은 죽었다'고 외쳤는데, 해러웨이는 '인간은 죽었다'고 외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신이 죽으면 그 자리에 인간이 들어서야 한다. 유발 하라리 말대로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데우스'가 되어가고 있는 인간이다. 벌써 인간은 신의 자리에 올라섰다. 니체가 19세기에 외쳤던 신은 죽었다가 21세기에 와서는 현실이 되었다고 할까.
니체식의 초인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겠지만, 이미 인간은 지구에서 군림하는 유일한 종이 되지 않았는가. 지구를 좌지우지하는 인간.
아직 공식 명칭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지만, '인류세'라는 지구 역사에서 한 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인간 아닌가.
이렇게 인간이 신의 자리에 올라섰다면, 이제는 '신은 죽었다'가 아니라 '인간은 죽었다'고 외쳐야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인간을 죽이지 않고는 인간이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해러웨이가 쓴 두 선언문을 나는 '인간은 죽었다'는 외침으로 읽었다.
인간이라고 할 때는 주로 남성을 지칭했는데, 해러웨이는 그를 부정한다. 이제는 남성만이 인간이 아니다. 여성을 비롯해서 성소수자들뿐만 아니라, 사이보그까지도 인간의 대열에 합류한다.
여기에 반려종까지 합세해서 이 지구라는 장소에서 함께 살아가야 한다. 그러니 인간은 죽었다. 해러웨이가 대담에서 '아기 대신 친족을 만들자'가 다음 선언이 될 것이라고 하는데, 이때 친족엔 인간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보그를 비롯해서 다양한 종들이 포함된다. 그렇게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를 인식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 과정이 결코 쉽지 않으리라. 얼마 전에 읽은 [빅이슈]에서 뜨개질에 관한 글을 생각나게 했다. 해러웨이 역시 다양한 종들이 뜨개질처럼 서로 엮어서 하나의 세상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한다. 그 과정이 결코 단순하지도, 단일하지도, 또 쉽지도 않겠지만,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살아가는 존재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나는 종 안팎에서 맺어진 모든 윤리적 관계는 관계-속의-타자성에 대한 지속적 관심이라는 가늘고 섬세하며 질긴 실로 뜨개질한 편직물이라고 믿는다. 우리는 하나가 아니며, 함께 살아감으로써 존재한다. 누가 있으며 누가 생겨나고 있는지 묻는 것이 의무다.' (178쪽)
'다른 이와 나누는 애정, 헌신, 솜씨에 대한 열망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191쪽)
이런 해러웨이 글을 읽다보면, 같은 인간들끼리도 잡아먹지 못해서, 또 같은 정당 안에서도 제 권력만을 위해서 상대를 비방하고, 상대가 무너지기를 바라는 말과 행동을 하는 존재들을 보면 이들은 도대체 어떤 종일까 한다.
그렇다고 이들을 배척해서는 안 된다. 이들을 배척하더라도 그들과 함께 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해러웨이는 할 수 있는 일부터 하자고 한다.
진화론을 믿지 않는 창조론자들에게 '진화'라는 말을 빼고 이런 식으로 말을 하면 어떤가 제안한다.
'"창조/보살핌"파의 사람들은 기독교인의 사명이라고 할 수 있는 윤리적인 자연 관리의 실패에 정말 화가 나 있어서, 동물을 더 잘 보살피고 기후를 망치지 않으려 대단히 애를 쓰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진화"라는 말을 꺼내는 순간 문을 열고 나가버리겠지만, 좋은 관리란 어떤 것인지 물으면 실용적인 대화를 할 수가 있지요.' (355쪽)
이렇게 함께 하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같은 종에서도 같은 관점을 지니고 있다는 사람들끼리도 소통이 안 되는 사회에서는 더욱 힘들겠지만, 그렇다고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이제는 인간만이 사는 세상이 아니기때문이다. 인간과 다른 존재들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시대다. 그래서 해러웨이는 아이보다는 친족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