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만 보는 바보 ㅣ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간서치(看書痴)라고 자신의 자서전을 썼던 사람. 이덕무. 아마도 책벌레라고 하면 좋을 듯한 이름이 바로 '간서치'인데, 그는 그만큼 책을 좋아했다고 한다.
조선 후기, 실학이 막 자리를 잡아갈 무렵에 등장한 사람들, 이 책 "책만 보는 바보"를 읽으면서 프랑스 소설인 "삼총사"가 생각났다고 하면 사람들이 뭔 소리야 할까.
삼총사라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 시골에서 올라온 달타냥이라는 주인공이 합류하여 모험을 하듯이, 우리나라 조선 후기 삼총사라고 하면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를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는데, 서자라는 점이 가장 큰 공통점이다. 자신의 재능을 신분 제약 때문에 펼치지 못하는 사람.
그러나 정조라는 왕 덕분에 검서관이라는 직책을 맡아 원없이 책을 볼 수 있었던 사람들. 중국에 다녀오는 사신을 수행해서 모두들 중국에 한 번씩은 다녀왔다는 공통점. 또 검서관을 거쳐서 지방의 현감 자리는 한 번씩 했다는 공통점도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책을 사랑하고, 또 예술을 사랑했다는 점, 자신들의 처지를 백성들의 처지에 이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을 지닌다.
이런 이들이 있었기에 정조시대를 우리나라의 르네상스 시기라고 할 수도 있지 않나 싶다.
삼총사에 삼총사와 달타냥이 나오고 또 주요 인물들이 나오듯이, 이들은 '백탑파'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신분이 높은 사람은 박지원, 이서구, 홍대용이고, 이 중에 이서구를 제외한 박지원과 홍대용은 이들에게는 스승과 같은 존재가 된다.
즉, 이들을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서구는 신분이 다르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점에서 이덕무와 어울리게 된다. 여기에 이덕무의 처남이 되는 백동수, 그 역시 서자 신분이고, 이들을 돌봐주고 함께 어울리고, 무예도보통지라는 무예서를 통해서 함께 작업도 하게 된다.
어쩌면 이야깃거리가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들일 수도 있겠다. 각자가 다 자기 나름의 역할을 다했고, 또 함께 해서도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고전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 또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주로 박지원을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 책은 팩션의 형식을 띠고 이덕무의 시선으로 당시를 그려가고 있다.
신분의 제약과 가난 때문에 고생고생하지만 책을 놓지 않는 모습, 그리고 비슷한 친구들과의 모임, 당시 사회에서 나름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그들의 열정. 그래서 재미있게 읽히기도 하지만, 이 책을 더 재미있게 의미있게 읽기 위해서는 정조 시대를 알면 더욱 좋을 것이다.
단순한 과거 인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의 한복판에 있던, 어쩌면 우리나라가 앞으로 나아가느냐 뒤로 가느냐 하는 기로에 서 있던 사람들의 이야기, 앞으로 나아가게 하려고 노력하던 사람들, 그들을 우리는 실학파라고 하는데, 그 실학파들의 속사정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여 이 책을 읽으면서 과거의 역사적 사실, 인물에 대한 지식을 얻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최선인가 하는 것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용이라고 그냥 쉽게만 생각할 책이 아니다. 물론 역사, 인물에 대한 지식 없이도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러나 이 책을 의미있게 읽으려면 최소한 역사, 인물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더 재미있게, 더 의미있게 읽을 수 있다.
인문학적 성찰을 필요로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고, 읽은 다음에는 인문학적 성찰을 얻을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과 점점 멀어지는 시대. 이렇게 책을 통해서 세상의 변화를 이끌어가려는 사람들이 있었음을, 그들의 책이 지금 우리에게 의미가 있음을, 이 "책만 보는 바보"를 통해서 깨달았으면 한다.
참고로 그들의 생존시기를 적어 놓는다. 나이 차이가 나지만, 나이 차이와는 상관없이 친구로, 스승으로 지냈던 그들의 모습. 지금 우리에게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덕무(1741-1793), 박제가(1750-1805), 유득공(1748-1807), 이서구(1754-1825)
백동수(1743-1816), 박지원(1737-1805), 홍대용(1731-1783)
그리고 정조(1752-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