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또한 지나가리라! - 김별아 치유의 산행
김별아 지음 / 에코의서재 / 2011년 4월
평점 :
이 책의 제목이 된 말,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말에 대한 유래는 194쪽에 나온다.
전쟁에 이겼을 때 오만하지 않도록, 또 졌을 때 좌절하지 않도록 하라는 문구를 글귀를 반지에 새겨오라는 명령을 받은 세공사가 지혜의 왕인 솔로몬을 찾아가 조언을 구한다.
이 때 솔로몬이 해주었다는 말이 바로 이 말 "이 또한 지나가리라!"
그렇다. 우리는 인생에서 기쁨에 넘쳐 있거나, 또는 좌절에 빠져 있거나 할 때가 많다. 인생의 굴곡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아서 힘들게 올라 환호성을 지르기도 하지만, 가파른 내리막길을 다시 힘들게 내려오기도 하는 것이다.
어느 한 순간도 멈춰 있지 않다. 우리의 삶은 이처럼 동사다. 움직임이다. 형용사나 명사가 되는 순간, 그것은 삶이 아니라 죽음이다.
하여 삶은 예측할 수 없는 일들이 매순간 벌어진다. 예측불가능성, 그리고 영원히 지속되지 않고 지나감, 그것이 바로 우리의 삶일지도 모른다.
이 책은 작가가 자신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에서 추진한 백두대간 종주 팀에 끼어 산행을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평지의 인간이라고 스스로 말하는 작가가 백두대간을 종주하기로 결심한 것은 삶에 어떤 계기가 필요했기 때문이리라.
작가는 두려움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산을 오른다는 것, 미지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 일이다. 평소 산에 오르기를 꺼려하던 사람에게는 더더욱 그렇다.
헉헉거리고 오르는 산을 다시 헉헉거리며 내려와야 한다. 내려와야 할 산을 왜 오른담? 이란 질문에 작가는 '어차피 죽을 삶을 왜 사는가?'로 치환한다.
우리는 죽음이라는 종착지를 향해 한걸음 한걸음 나아간다. 그럼에도 우리는 살아간다. 산에 오르는 일, 정상에 오르는 일에서 내려오는 일, 그 과정을 통해 작가는 삶에 대해서 성찰하게 된다.
자신의 살아온 삶과 다른 사람의 삶이 산을 오르며, 내리는 순간 순간 작가에게 다가온다. 따라서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삶과 다른 사람의 삶을 작가와 함께 산행을 하며 경험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무언가를 내려놓으려 산에 가는데... 정작 산에 가서는 내려놓을 무엇을 생각하기 힘들어진다. 바로 산에 오르는 순간 순간, 내려오는 순간 순간 산에 집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 집중의 시간을 통해, 몸의 움직임이, 몸의 힘듦이 삶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으로 불현듯 다가오게 된다.
작가는 산행을 통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살아갈 힘을 얻는다. 사람이 살아가게 하는 힘, 사랑과 희망... 우리의 삶은 원대한 계획도, 꽉 차인 시간표도 없다. 순간 순간 나에게 일어라는 일들을 온몸으로 겪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산을 오를 때 그 순간에 최선을 다하듯, 우리는 삶에서 바로 지금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최선들이 모여, 순간들이 모여 삶이라는 산을 이룬다.
그 산을 보게 되는 순간 자신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이라는 말처럼, 다른 사람과 비교불가능한 오로지 자신을 만나게 되고, 그런 자신을 사랑하게 된다.
그런 경험을 작가는 백두대간 종주를 통해서 하게 되었고, 그 경험을 독자와 함께 나누고자 한다. 산행을 통해 자신과 자연과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는 힘을 작가는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이 책이 나올 때는 아직 백두대간을 다 종주하지는 못했지만, (2011년에 이 책이 나왔으니, 지금은 작가가 완주를 했는지, 자신이 계속해서 말하듯이 40차에 걸쳐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산행한 개근을 했는지를 지금은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완주보다도 이 때까지 산행을 통해 느낀 점을 쓴 이 책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16차에 걸친 산행을 통해 얻은 그 힘을 독자와 함께 나누고자 한다. 하여 이 책을 읽어가면서 백두대간을 함께 종주한다는 느낌을 받으며, 작가의 말을 통해서 내 자신의 삶을 다시 한 번 반추해보게 된다.
삶이라는 산을 서두르지 않고, 남들과 비교하지 않고, 내 힘으로 천천히 내 속도로 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