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곽상주 해제
김학목 옮김 / 학고방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곽상(252 ?-312)은 유비-제갈량의 중국삼국시대 이후 조조가 세운 위나라가 뒤에 사마씨에게 선양하며 세워진 진晉나라 시절의 인물이다. 

기원전 전국시대 맹자와 비슷한 시기 장자莊周의 저작에 대해 후대의 곽상이 설명注을 붙였는데 그것이 바로 "장자 곽상주注"이고 그 일부 내편의 한글 주해서가 바로 이 책이다.

참고로 책 중간에 나오는 "노자 왕필주"의 저자 왕필은 조조와 비슷한 시기 위나라 천재소년이다.


"노자, 장자 보다 더 나가는 곽상"이라는 글제목은 순전히 (전공자가 아닌 아마츄어인) 내 느낌을 말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에 대해서 간단히 꼴라쥬 형식으로 느낌만 전달하자면,

공자는 세상 속에서 인과 호학의 현실 정치가로 후대 모범의 삶을 살고자 애썼다면,

노자는 세상에 반쯤 속한 채 서로 의지하는 상대적 이면인 양쪽 모두를 관조하는 질박함으로 공자의 인위적인 모범을 경계하라고 치자에게 충고한다.

장자는 세상 건너편에서 공자와 노자의 양면을 포괄하며 둘 모두를 함께 초월해버린 무아의 경지로 유유자적 자유롭게 살라 말한다.

곽상은 세상에 또는 그 건너편 어디에 있든 그건 문제도 아니며 초월하려는 마음씀 자체조차 잊은 궁극의 마음비움으로 아무 의식없이 변화와 하나 되어 분수에 합당하게 살면 그만이라고 말한다.


소요유편의 "이충二蟲"을 붕과 매미(곽상) 또는 매미와 비둘기(안동림, 후쿠나가 미쯔지, 조현숙)로 보느냐에서 곽상주注는 의견이 갈리고 그만큼 다른 주해보다 곽상은 더 멀리 나가고 있는 느낌이다.

오상아吾喪我로 시작해 호접몽으로 끝나는 '제물론' 편은 상당히 난해하다. 

후쿠나가 미쯔지는 정치한 인식론적 고찰이 노자와 다른 장자의 특징이라고 하는데 곽상의 주注로도 한글로도 쉽지가 않다. 


191. 인간세 

장자 : "어짊과 의로움이라는 도덕적인 말로 힘써 포악한 사람 앞에서 재주를 부리는 것은 남의 뛰어나지 못함을 기회로 자신을 뛰어나게 하려는 것이지.

곽상주 : 이 때문에 무아의 경지에 이른 사람른 애써 세상을 경영하지 않고 마음을 비워 사물을 따르는 것이다.


280. 덕충부 

발뒤꿈치를 베인 숙산무지가 공자를 찾아와 배움을 청했는데 전과자라고 힐난만 하는 공자에게 섭섭함을 드러내며 숙산무지가 공자에게 말하는데

장자 : 하늘은 덮어주지 않는 것이 없고, 땅은 실어주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저(숙산무지)는 공자 선생님을 천지로 여겼는데 선생님께서 이러실 줄 어떻게 알았겠습니까! (이럴줄 몰랐습니다) 

곽상주 : (숙산무지의 말을 설명하며) 하늘은 덮어주는 것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덮어줄 수 있고, 땅은 실어주는 것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실어줄 수 있다. 

천지라고 해서 덮어주고 실어주는 것을 행한다면, 때에 따라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배가 가라앉을 수도 있는데 사람들이 물 위에 띄워놓는다면, 때에 따라 침몰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무엇이든 행하는 것으로는 그의 삶을 마치게 하기에 부족하다. 중니가 근신하지 못하여 천지에 미치지 못함을 나무란 것이다.

...... 온전한 덕을 지닌 사람은 살면서 사는 것을 잊어버린다.


335. 대종사

장자 : 샘이 말라 물고기들이 땅바닥에 바글바글 모여 있으면서 물기로 서로 불어주고 불방울로 서로 적셔주는 것은 강과 호수에서 서로 잊고 지내는 것만 못하다.    

곽상주 : 부족하면서 서로 아껴주는 것이 어찌 충분해서 서로 잊고 지내는 것만 하겠는가!


338. 대종사 

신경써 꼭꼭 잘 숨겨둔 것을 힘센 자가 나타나 통째로 등에 지고 튈 수 있음을 말하며

장자 : 크거나 작은 것을 적절히 감추어도 여전히 빠져나가는 것이 있다.

곽상주 : 변화와 한 몸이 될 줄을 알지 못해 감춰두고 변화하지 못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있으니, 지극히 깊고 지극히 확고하게 하여 각기 적절하게 할지라도 그것들이 날마다 변화하는 것을 막을 길이 없다.


409. 응제왕

구멍이 뚫려 죽은 혼돈의 이야기는 충격과 카타르시스가 있다.

장자를 읽는 맛이다! 아래는 이 내용의 곽상주 내용이다.

곽상주 : 爲者敗之 무엇인가를 할 경우에는 잘못된다.


p.s.

아마츄어의 까탈 정도지만 책을 보며 느낀 점은 한문 원문의 느낌은 넉넉히 얻을 수 있으나, 고전 해석의 정확한 문맥 연결이 아쉽고 특히 이 책 속 「장자」원문이 행으로 너무 짧게 분리되어 전체적 문맥 이해가 어려운 아쉬움이 남는다.

(※ 원래 「장자 곽상주」 원문 자체가 그러한 것인지는 모를 일이다.)

결국 장자 원문은 원문대로 일관된 논리와 문의를 갖고 있고, 곽상의 주는 주대로 일관된 생각이 있지 않을까 하는 나의 가정, 즉 둘 간의 차이를 두고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의 편집에서「장자」 원문은 문맥 없이 너무 짧은 행으로 분절되고, 그 아래 배치된 곽상의 주는 때론 몹시 길다. 나의 경우 결국 원문 장자는 어디 가고 글밥에서 우월한 곽상만 남는다. 이런 이유로 간혹 헷갈리는 원문 맥락은 긴 분장 체제의 안동림의 「장자」를 참고하며 다시 해당된 곽상의 주를 보기도 했다. 

(※ 이 책 "장자 곽상주"의 체제는 '짧은 행의 장자 원문-원문 한글해석-곽상의 한문주 원문-곽상주 한글해석-(간혹 역자의 해설문)'의 순서인데 장자 원문 한 행씩에 위의 순서로 끊임없이 반복된다. 소요유, 제물론, 대종사, ...... 전체가 한 덩어리가 되고만다.

후쿠나가 미쯔지와 안동림의 장자 분단은 내용에 따라 연이 끊어지고 번호가 붙고 (거의 동일한 번호 분장이다) 후쿠나가, 안동림 장자는 한자 원문 단락이 앞에 있고 한글 번역이 뒤따른다. 

조현숙의 장자 편제는 편 안에 다시 저자의 소제목이 있고 소제목 분단이 무척 길고 긴 한글해석 후에 해당 한자 원문이 뒤따른다. 조현숙의 장자는 한글 번역문이 대세다.) 

장자 원문과 곽상주의 대응이 짤막짤막한 행 체제로 길게 이어지는 책 구성은 다른 책에 없이 독특하지만 결과적으로 나에겐 이 책이 전국시대 장주의 책 보다는 진나라 곽상의 책으로 읽혔다. 적고나니 너무 당연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고려대학교출판부 인문사회과학총서 16
이승환 지음 / 고려대학교출판부 / 199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경학적 관심, 경전 해석을 위주로 한 책이 아니다.
제목에서 밝히고 있듯 현대의 사회적, 윤리적, 정치적, 법적 개념들에 대한 과거 유학의 생각, 논의, 차이, 의미관계를 탐구하고 있다.
유학의 현대적 의미를 묻는 ˝정말로 그러냐? 그래서 어떻다고?˝에 대한 탐구와 답변이다.
信而好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자학과 양명학
시마다 겐지 지음, 김석근 옮김 / 까치 / 200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학자 시마다 겐지가 1967년에 발표한 책을 1986년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춘추전국시대 공자, 맹자를 지나서 양한시대의 유학(정현)을 지나 송대에 신유학이 열린다.

흔히 불교(체용론)의 유행에 대한 유학 정통주의 부활을 노리는 대응, 영향 설명으로 책은 시작된다.


공자 - 맹자 - 한나라 정현 - 당나라 한유의「원도」- 송나라 주돈이(주렴계) - 정명도(형) - 정이천(동생) - 장재(장횡거) - 소옹(소강절) - 주희(주자) - 육구연(육상산) - 명대 왕수인(왕양명) - 이탁오(이지) - 청대 왕선산(왕부지), 일본 에도의 오규 소라이(적생조래), 현대 마루야마 마사오(환산진남) 등등

원시유학을 신유학으로 변모시킨 여러 유학자들에 대한 설명이 관계를 지어가며 실려있다.

원시유학의 여러 전적에서 송대 신유학자 주장의 근거를 밝혀서 실는데 우리나라 역자들이 힘들인 책으로 이 부분이 내겐 많은 계발과 유익을 선물했다.

시마다 선생의 후기에 우리나라 조선의 고봉과 퇴계의 기발설, 이발설 및 일본유학에 영향을 주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신유학의 내부의 세가지 큰 흐름을 이 책의 내용으로 정리해보면 

①유물론/기氣의 철학 (장횡거-왕부지)

②유심론/송학 중 객관적유심론/주자학(동생 정이천-주희)-성즉리性卽理 

③주관적유심론/양명학(형 정명도-육상산-왕양명)-심즉리心卽理-양명우파, 양명좌파(이지)

대체적인 신유학의 흐름과 학자 이해 부분에 탁월하고 주자학 기본 개념어 이해에 유익했던 책이다.


8. 체용體用의 논리란 과연 무엇인가.

'체용'은 요컨대 '인과因果' 대해서 하는 말로서, 「대승기신론」의 비유를 빌어 말하면, 

원인과 결과의 관계가 바람과 파도의 관계인 데 대해서 체와 용의 관계는 물과 파도의 관계이다.

133. 성性이란 물이 맑은 상태를 말하고, 정情이란 그 물이 흐르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욕심欲心이란 물에 파도가 범람하고 있는 상태에 이름 붙인 것이라고 한다.


양명학의 설명을 보는 순간 개인적으로 불교의 교종에서 선종으로의 진행이 연상되며 

주자학에서 갈라진 양명학에서 선禪불교의 이미지를 보는 것 같았는데 대저 저자가 책 180쪽에서 

"왕기(왕용계)는 그렇지 않아도 선禪적인 양명학에서 유교적인 마지막 편린을 제거해버림으로써 양명학을 온통 선禪학으로 만들어버렸다." 느낌의 유사성을 확인해 주었다.

(※ 뚜 웨이밍, 귄미숙 역, 김용옥 해제,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 통나무, 1994

12쪽_ 양밍은 주자의 대중화 과정의 결정적 계기다. ......

주자가 수당불학이라는 외래적 패러다임에 대한 반동의 계기로 성립했다고 한다면 양염은 다시 주자 패러다임에서 불학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잉태된 것이다. ......

양명학은 주자학이 주장하는 격물格物의 리고리즘의 해체과정에서 인태된 것은 너무 분명하다.)


196. (양명학의) '심즉리心卽理'의 설은 성性과 정情(정은 본질적으로 '욕망'으로까지 흐르는 경향을 가진다)을 구별하지 않은 그대로의 심心을 '이理'라고 하기 때문에 

정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서는 욕망(소위 인욕)까지도 긍정하게 되고,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주장하여 주자학에서 그렇게 중시하는 '경敬'뿐만 아니라 '경전은 우리 마음의 주석'이라는 데서 나타나는 권위에 대한 경시 그리고 이단에 대한 포용적 태도 들을 몰아 왔다. 

주자학파는 이런 점을 엄중히 경고해 마지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경대전 2 - 우리가 하느님이다 동경대전 2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선생의 "동경대전" 역주를 읽으며 드는 생각은 

인공감미료에 익숙해진 우리네 입맛처럼 나의 사고 방식도

말초를 자극하는 화끈하고 매력적인 서사와 정치한 논의를 탐하고 있었던 것 같다.


(※ 2021년 4월 16일자 원불교신문 대각개교절 도올선생 특별기고문 

"눈보라 휘날리는 봄바람 속 다시 듣는 대각의 노래" 중 도올선생이 쓴 한 문장으로 

"동경대전" 독서 후 이런 나의 헛헛한 마음을 빌어 표현한다면 

바로 (이 책 동경대전은) "뭔가 그랜드한 느낌을 주는 난해성 같은 것을 결하고 있기 때문이다. 쉽게 이해되는 듯하면 촌스럽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첨가물의 가미를 전혀 배제한 채

상식적 이기만 하고 철저히 인간적인 모습만으로 채워가고 있다.

수운의 고뇌는 (주자학적인 명분으로 사람을 잡아먹고 있는 가르침인) 도학道學도 

(초월자를 명분으로 사람을 잡아먹을 가르침인) 서학西學도 

전부 벗어버린 인간 회복의 통음이었다.


이런 상식적인 얘기만으로 수만명, 수십만명 백성을 도륙할 이유로 삼은 그들은 

대체 이 땅의 누구였고, 건너온 뉘놈 이였던가?

다른 화해와 수렴이 전혀 가당치 않았던 이유는 또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 걸까? 

당시도, 현재도, ...... 

지금까지도 아프다.

이제는 해원解寃이다~!  

謹拜


188. (테르툴리아누스 曰) 불합리하기 때문에 오히려 나는 (※덮어놓고) 믿는다.

(※ 이 말은 문장의 '믿음'에 강조점이 있지않고, '불합리'에 방점이 있다.)


199. 서학의 근원적인 수직적 사고는 불연의 사기성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불연의 사기성은 기독교라는 종교가 가지고 있는 수직적 권위주의의 상징태이며 이것을 수용할 경우 우리 민족은 왕정적 사유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다는 깊은 우려를 수운은 죽음 직전에까지 절실히 느꼈을 것이다.

(※ 이 부분에서 도올선생은 말을 많이 아끼고 있는 듯하다. 

동학이 갖는 사회적, 정치적, 사상적 영향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문단으로 생각된다. 특히 "왕정"이라는 단어는 도올 선생의 1987년 양심선언문(왕정이냐? 민주냐?)과 단식 돌입의 인식을 되불러 오는 듯하다. )


200. 인류 지성사의 발전은 결국 불연을 기연화하는 과정이었다.


292. (수운) 그는 조직에 대한 얘기나, 권세에 관한 얘기나, 믿음에 관한 얘기가 일체 없다. 상식적 인간의 상식적 생각, 그 속에 깃든 비범한 혁명적 사유를 가르치려고만 노력한다. 



P.S. 

1. 나에겐 "불연기연"과 "좌잠" 편이 특히 그윽하게 다가왔다.

뒤에 붙은 연표는 보다가 눈물이 다 날 지경이다.

이토록 아둔한 치자놈과 교활한 뉘놈이 다시 있을고...... 


2. 2021년 4월 16일자 원불교신문 대각개교절 도올선생 특별기고문 

"눈보라 휘날리는 봄바람 속 다시 듣는 대각의 노래" 기사글

http://www.w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016


3. 동학선언문 20201.05.11 동학혁명국가기념일 3주년을 맞이하여

☞ https://youtu.be/3fCEe54cUI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경대전 1 - 나는 코리안이다 동경대전 1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권의 두꺼운 책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 1권 1장은 동학과 도올선생의 인연 그리고 지금까지의 동학 연구에 대한 개괄로 시작한다.

관심 범위가 워낙 넓으심에도 도올선생 관심의 레이더망에  

동학이 떠나지않고 긴세월 동안 있었다는 사실은 다행으로 생각된다.

이번 두 권의 책이 꾸려지는 과정에 도움준 표영삼선생 포함 여러 분들에 대한 소개와 

수운 사후 관원을 피해야하는 해월이 도바리 과정에서 어렵게 간행한 "인제경진초판본 동경대전"을 찾아가는 내막과 

지금까지 남겨진 여러 서책의 차서와 진위를 확인하는 절차는 전체적으로 몰입감 있는 한 편의 드라마다.

특히 작고하신 표영삼선생에 대한 도올선생의 각별한 애정과 표선생의 3부작 책 "동학1,2,3"(도서출판 통나무_3편은 미간...) 그리고 그분과의 답사와 세미나 이야기는 

곧바로 현대를 사는 동학인의 눈물겨운 진실한 모습을 뵙는 것 같다.


2장 "대선생주문집"은 

수운의 생애와 동학에 대한 개괄 그리고 최경상(최시형,해월, 최보따리)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진다.

"동경대전" 자체를 2권에서 설하기에 앞서 깨달음에 이른 수운 개인과 주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동학 내부 기록을 통해 추적하며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도올선생은 아직 종교화, 교조화 되기 이전의 순수한 깨달음의 형태를 찾아 매진하며

인물탐구 포함 시대적 대세와 그 시기의 완고한 기존 사고나 사회적 상황 그리고 서학을 포함한 당대 학문과 동학의 연결 지점과 관계를 탐구한다. 

실로 치밀한 기획이지 않을 수 없다.

142쪽 

(수운이 상제를 만나서 하는 말이) 

"나 수운이나 너 상제나 다같이 하나의 판타지인데, 

뭔 판타지를 다시 배우라는 것이냐?

뭔 조화를 다시 부리라는 말이냐?" 

221쪽 

(스님과의 대화중)

"대사는 두 팔 중에 어느 팔을 배척하고 어느 팔을 사랑하오?"


3장 '조선사상사대관'에서는 

동학의 탄생까지 사상사적 배경을 고금동서를 회통하며 설명한다.

(도올 선생의 책 "독기학설"로부터 시작된) 실학-봉건-근대-발전사관의 문제로부터 시작해 

데카르트, 희랍민주주의, 조선 성리학, 태평천국, 동학까지 차근차근 깊게 풀어간다.

역사를 아우르는 통찰에 가장 예민하고 밀도있는 독서가 필요한 대목이었다.

340쪽 

"조선유학의 궁극적 명제는 인간의 욕망을 천리의 실현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전환은 영원히 완벽할 수는 없을지라도 영원한 인간의 과제상황으로 인지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6장 "동경대전 판본에 대하여"는 

학자의 치밀함과 학문의 신험성에 대한 한편 다큐와 같다.

하나 하나 근거를 정확히 제시하는 판단과 정밀한 스칼라쉽에 절로 감복하게 된다.

사실을 확인하고, 현장을 답사하고, 사료를 추적하고, 전문가의 판단을 의뢰하고, 

세미나를 열고.... 이 책의 기록으로만 4번의 동학 세미나...

16쪽 

"학문이란 배움學과 물음問 이다.

반드시 물음을 통하여 배워야 하고, 

배움을 통하여 물어야 한다. ......

바른 지식은 반드시 지식인들 사이의 토론과 지식의 교환을 통하여 생성되어가는 것이다."


이 책 1권의 말미에 찾아낸 "동경대전" 5개 판본을 영인해 옹고롯이 실었다.

숙연해지고 경건해지는 대목이다.

이것 또한 하나의 포덕布德 이다.

2권 34쪽 

"어설픈 세컨 핸드second-hand(원전에 의존치 않고 개론이나 남의 얘기로 전해 들은) 지식에 준거하지 않고 오직 (원전) 텍스트에 즉하여 이야기하는 정밀한 지식의 소유자만이 이런 정론正論을 펼칠 수 있는 것이다."

"동경대전1" 이 책은 첫문장을 

"동학은 눈물이다" 라고 시작하고 있다.

그 "눈물"에 1860년 전후 득도한 수운으로부터 시작해, 

해월 최시형,1894년 동학혁명의 녹두장군과 우금치, 우암과 3.1운동, ......

그리고 이 책이 만들어지기까지 수많은 분들의 노고, 땀, 우리 민족......

거기에 도올선생이 흘린 피도 포함된다.

謹拜



P.S.

1. 도올선생 머리 다치신 이야기 동영상 _도올TV 노자32강

☞ https://youtu.be/3ufrOossBKc

2. 도올선생 동학의 원사료집 역할... 동영상 _도올TV 노자73강

☞ https://youtu.be/_kyoRe2F0EM

3. 도올선생 "동경대전" 책발간 고천제 동영상 _도올TV 노자97강

☞ https://youtu.be/ymXmD2l8ov0

4. 도올선생 "동경대전" 발간 인터뷰 시리즈 동영상 1편 _고발뉴스

☞ https://youtu.be/AaLdR1PErf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