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장자 지음, 조현숙 옮김 / 책세상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요유, 제물론 등등 원래 ‘장자‘ 책 편제 안에 다시 작가의 소제목을 달아 분기한 책구성은 상당히 탁월한 선택이다.
붙인 제목들과 대사를 읽는 듯한 희극본 구성은 독자를 배려하고 근접하려는 저자의 노력은 성공적이다. 한자 원문도 실었으니 좋은 시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앙코르와트, 월남가다 - 하 - 조선인의 아시아 문명탐험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4년 6월의 여행을 그해 12월 연말까지 저술해 2005년 초에 발행된 책이다.

  

상,하 2권의 책구성 중 하권은  (기-승-전-결 구성의) 전-결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상권은 기-승의 내용을 맡고 있다.

기-승에서는 이 여행의 발단과 사연 그리고 베트남과 캄보디아, 크메르에 대한 역사적, 지리적 전관으로 시작하고 있다.

도올 선생은'여행'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나의 삶의 방식과 근원적으로 다른 인류의 삶의 방식을 체험한다는 것처럼 인간에게 위대한 교육은 없을 것이다" 하권205쪽

  

상권에서는 도올 선생도 고국의 업무에서 일탈해 이 여행에 대한 적잖은 기대감과 지적 흡입력으로 시작하고 있다.

유, 불, 호치민의 베트남과 폴 포트, 인도신화 크메르를 대비하며 앙코르("도시"를 의미) 유적에서 느끼는 심미안과 감수성 그리고 자연과 인간 역사에 깊게 심취한 내용을 상권에서는 말한다.

선생의 유물을 대하는 관심과 미적 안목에 놀라움을 느꼈다.

그러나 마음이 앞서가다 머리가 점점 놀기 시작하는 시점은 오고야 마는 건가.

하권에서는 상권과 차이를 보이며 마음이 잠깐 아래로 깔리며 뒤로 돌아가고

조선인으로서 바라보는 크메르와 베트남에 대한 (비교와 천착) 내용으로 하권은 옮겨간다.

이미 앞 상권에서 모든 입장과 심미적 틀로 전거의 유적을 통해 얘기했다며

"앙코르 와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사진으로 실을뿐 과감히 생략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 전혀 실망스럽지 않다.

(알려준다고) 전부 알수도 없는 것이고, 다 아는 느낌은 자신의 것, 나의 틀도 아니고

결국 아무 것도 모른다는 실마리 아니던가?


도올 선생은 중국 원나라 시기 '진랍풍토기'를 기록한 주달관의 판단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에게 이 책의 (다른 앙코르 유적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배치되며 몸소 가보고서도 또 제목에 붙이고 나서도) "앙코르 와트" 해설 생략과 독자 나름의 판단을 바란다는 변은 72쪽의 한 문장으로 수렴된다.

"신화의 이야기는 결국 인간의 이야기다" 하권 72쪽 


밤거리 관광에서 만난 인류학 전공 독일 학생과의 대화를 통해 도올 김용옥은

"앙코르 와트" 설명을 생략한 이유와 도올 이라는 조선인이 바라보는 크메르의 앙코르 유적에 대한 입장과 견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크메르인들은 너무도 거대한 천상의 궁전을 지상에서 구현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문명의 정신적 잉여가치를 창출할 수 없었습니다." 하권 196쪽


이어서 캄보디아에서 베트남으로 넘어와서 부터는 책내용도 일정기록 정도로 소략하고

호흡도 짧고 행간의 큰 인상도 없는 경험해본 패키지 해외여행과 똑같은 느낌이다.

크메르의 석조 판타지에 들떠 인도신화를 뱀처럼 몸아래 깔고 날름거리는 글느낌이 전혀 없다.

신화가 없어진, 판타지가 남아있지 않은 이성의 인간과 기계처럼 고르기만 하고 맥을 느낄수 없는 호흡으로 그렇게 돌아오는 여정은 A+와 A 학점 사이의 통화로 이젠 현실로 완연히 다시 돌아왔음을 실감하며 마무리된다.

우리에게 신화는 이런 것이다.     


코로나19 빨리 없어지기를 바란다.

판타지를 끼고 어디로든 떠나보고 싶다. 눌려있는 역마를 책으로 대신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자가 옳았다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 읽을수록 겸˝謙˝ 이라는 말이 무겁게 다가온다.
1989년 책 ‘길과 얻음˝으로부터 시작된 노자와의 대화가 ˝노자철학 이것이다˝로 이어지고 ˝노자와 21세기˝3권 으로 활짝 피었다가 이번 ˝노자가 옳았다˝로 끝을 맺는 느낌이다.
유튜브로 ˝노자˝를 강의도 하고 계신다. 부디 건강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자전 - 반체제 인사의 리더에서 성인이 되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공자 이야기
시라카와 시즈카 지음, 장원철.정영실 옮김 / 펄북스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1972년 일본에서 초판된 책이다.
논어 포함 다수 동양고전에 대한 시라카와 교수의 깊은 이해에 감복했다.
춘추시대 공자라는 한 사람을 논어와 여타 각종 고전의 출전들을 재료로 삼아

추적하고, 그려보고, 담담히 해석해나가는 학인의 모습이 선연히 느껴진다.
노자가 장자 보다 후대의 저작이라는 시라카와교수의 말과 (1993년 죽간본 노자 발굴 전에 이 책이 나왔으니...), 공자의 논어와 사상을 잇는 적통은 차라리 장자에 있다는 내용에서는 도학의 적통 전수로 익숙한 우리에게 사뭇 새로운 공자의 모습을 그려보게 된다. 강추한다.


- 시대가 변하면 사람이 바뀌어야 한다는 교훈을 여기서 읽는다.

- 사상은 부귀한 신분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 남을 착취하고 지배하는 생활은 온갖 퇴폐를 초래할 뿐이다.

- 일기처럼 속속들이 읽히는 생활은 아무래도 고상한 삶이라 하기에는 어려운 것이다.

- 사실이 반드시 진실은 아니다, 사실이 의미하는 바가 진실인 것이다.

- 신은 자신을 맡긴 이에게 깊은 고통과 고뇌를 줌으로써 그러한 진실을 자각시키려 한다. 그것을 마침내 자각해내는 이가 성자가 되는 것이다.

- 전통이란 민족 역사의 장에서 언제나 보편성을 지니지 않으면 안된다.

- 고대의 사상을 요약하자면 모두 신과 인간의 관계라는 문제에서 비롯된다.

- 모든 사상은 사회적 계층의 이념으로 생겨나는 것이다. 본디 사상의 형성은 이미 하나의 변혁이다.

- 역사적인 이해 없이는 학문의 체계가 태어날 수 없다.

- 인간은 주어진 세계에 살지만 주어진 세계는 권외의 세계로 나감으로써 바뀔 수 있는 것이다. 동시에 주체로서 주어진 세계에 관여한 방법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다. 오히려 엄밀히 말하면 주어진 세계를 규정하는 것은 주체나 다름없다고 할 수 있다.

-장주의 철학은 절대론적 철학이라고 일컬어진다. 절대는 대자를 거부한다. 그러나 대자의 거부가 단순한 부정에 머무르는 한 그것은 끝없이 대자를 낳는 것이다. 대자의 부정이란, 대자를 포용하고 초월하지 않으면 안된다. 

- 극한적인 상황속에서 쌓여가는 내면적 갈등을 통해 인간은 성장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3-28 18: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노자
이석명 지음 / 민음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노자책에 평과 리뷰가 없어 유감이다.
注는 백서본을 저본으로 삼았고 죽간, 백서, 왕필본을 비교하였다.
왕필注 노자본의 야릇한 부분에 대한 백서,죽간본 추적 내용이 좋다.
이 분의 다른 책들이 거의 절판이고 중고는 상당한 고가를 형성한다.
충분히 대접 받아야할 책이기에 읽다가 짧게 적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