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은 기원전 3000년경 복희씨가 황하에 출현한 용마(龍馬)에 그려진 하도(河圖)를 보고서 8괘를 바탕으로 64(8x8=64) 괘로 확장된 이후, 기원전 1000년경에 주나라의 문왕이 64괘에 대한 설명서인 괘사(卦辭), 그의 아들인 주공이 각 괘의 효에 대한 해설인 효사(爻辭)를 붙임으로써 완성된다. 춘추전국시대에 공자가 『역경』이 기록된 죽간(竹簡)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는 위편삼절(韋編三絶)이 될 만큼 매진한 끝에 『역경』의 해설서인 십익(十翼)을 덧붙인다. 오늘날에는 주나라의 문왕과 주공 그리고 주나라를 흠모한 공자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하여 『주역』이라 일컫는다.
『주역』으로 불리고 있는 『역경』은 천지인삼재(天地人三才)라는 대자연의 변화 법칙을 담고 있는 심오한 분야이다.
『역경』의 기본인 8괘는 건괘(乾卦), 태괘(兌卦), 이괘(離卦), 진괘(震卦), 손괘(巽卦), 감괘(坎卦), 간괘(艮卦), 곤괘(坤卦)이고 이 팔괘가 서로 조합(8x8=64) 되어 이루어진 것이 64괘이다.
팔괘를 조합할 때 위에 있는 괘를 상괘, 외괘라 하고 아래에 있는 괘를 하괘, 내괘라 한다.
『주역』을 공부하고자 한다면 『역경』에 앞서 해설서인 계사전(繫辭傳)으로 시작하는 십익(十翼)을 먼저 읽어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한 다음, 64괘의 괘효사를 접하는 게 보다 다가가기 쉽다.
책은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역경』의 주요 부분인 상경과 하경은 물론 해설서인 십익(十翼)을 쉬운 우리말로 풀어썼으며, 일상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산가지와 동전으로 치는 점법은 물로 보다 간단하고 쉽게 점을 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각주와 해설을 읽느라 정작 중요한 원전의 핵심 내용을 놓칠 수도 있기 때문에 저자는 각주와 해설 등을 과감히 생략했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궁금해한다. 그래서 인류가 출현한 이래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 했는데, 그것이 바로 점(占)이다. 한중일 등 동양에서는 주역점이 그 방편 중의 하나였다.
점(占)은 잠에서 깨어난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치는 것이 가장 좋다.
책에는 점을 치는 방법 중 산가지로 점치는 방법과 동전으로 점치는 법이 소개되어 있다.
예나 지금이나 역학(易學)을 깊이 있게 공부한 사람들은 매일 혹은 중요한 목표 실행에 앞서 주역점을 활용하였다.
우리도 『역경』을 곁에 두고 일상생활이나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서 판단의 근거로 삼아 보다 유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