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에게 말걸기
대니얼 고틀립 지음, 노지양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대니얼 고틀립의 인생은 파란만장하다는 말로도 표현이 되지 않을 정도로 고난과 역경의 악순환이었다. 학창시절 학습 장애로 낙제를 하는 것을 시작으로, 아내의 암투병, 그리고, 33살의 젊은 나이에 출근길에 교통사고를 당해 전신마비가 된다. 자신에게 일어난 사고는 충격, 슬픔, 분노, 공포의 느낌을 넘어 그의 마음을 폐허로 만들어 버린다. 그중에서도 가장 힘든 것은 세상과 사람과의 괴리감이었다. 그후, 우울증, 아내와의 이혼, 아내, 누나, 어머니의 죽음....
그런데, 고틀립의 악몽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고, 딸의 아들(손자)의 자폐증으로 연결된다. 고틀립은 손자 샘에게 살아가면서 견디어야 하는 고통의 순간을 이겨 나갈 수 있는 인생에 관한 32통의 편지를 엮어서 '샘에게 보내는 편지'를 출간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독자들이 읽고, 고틀립 박사에게 이메일을 보냈다고 한다. '마음에게 말걸기'의 서문에 한국인의 이메일이 소개되는데,내용은 '당신은 손자 샘의 마음에 고여 있는 샘물이 마르지 않도록 계속 물을 주는 다정한 할아버지일뿐만 아니라, 이 세상을 촉촉하게 적셔 주는 아름다운 심리학자입니다.'라는 내용이다.
이 책을 다 읽은 후에 이메일의 느낌을 독자들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고틀립이 말한 세상의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중에서 보통 사람들은 나쁜 소식만을 들은 저자라고 생각하겠지만, 그의 생각을 빌린다면, 이런 모든 고난이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은 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심리학자이며, 많은 사람들이 심리치료를 받고 새로운 인생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하고, 책을 출간하여 독자들의 인생을 보다 밝게 만들어 주는 이가 된 것이다.
고틀립은 '마음에게 말걸기'를 통해서 심리치료사로서 자신에게 치료를 받은 환자의 이야기, 가족 이야기, 어릴적의 자신의 이야기, 교통사고후의 자신의 심리와 치료,자기계발서를 비롯한 책의 내용, 우화(랍비 이야기) 등의 다양한 사례를 가지고 우리가 살아가면서 상처받고 힘들어 하는 마음을 치유해준다.
인간이 인생의 고통을 느끼는 것은 동물과 달리 자의식과 정체성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인간을 살아가면서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나'라는 글자가 크고 선명하면 할수록 정체성은 발달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인데, '나'라는 글자가 작아지고 흐릿해져서 자신에게 닥치는 힘든 일들이 단지 그저 스쳐가는 사건이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면 인생의 역경을 헤쳐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삶의 지혜로움이란 우리가 정체성이 없어도 살아 갈 수 있음을 아는 것이며 '나'를 보이지 않는 잉크로 써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흔히, 많은 자기계발서에서는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적극적인 사고방식으로 행동하고 꿈과 희망을 향해서 질주하기를 이야기하지만, 고틀립의 삶의 방법은 많은 역경과 고통속에서 터득한 자신만의 방법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내려놓음'이다.
희망은 언제나 미래를 이야기한다. 하지만 희망이 언제나 좋은 것은 아니다. 희망은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나 내 인생을 바꾸어 주리라는 기대 속에 가두어 버리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희망없음이 꼭 절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희망없음은 우리에게 지금 이 순간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하며 다음과 같은 삶의 가장 어려운 질문에 대한 답을 알려준다.
나는 누구인가? 지금 어디 있는가? 인생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고 지금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p 142)
고틀립의 경우, 교통사고후에, 자신이 정상인으로 살아가기를 원했을 때는 힘들었고, 거기에서 다시 휠체어만 타지 않을 수 있다면, 다시, 팔만 움직일 수 있다면, 다시, 소변통만 달고 다니지 않는다면, 이렇게 차례 차례 내려놓게 된 것이다.
모든 것을 내려놓고, 현실을 받아 들었을 때에 행복해 질 수 있었으며, 나아가서는 현재의 상태보다 더 힘든 상황이 아닌 것을 감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인생은 삶과 죽음,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이런 것들의 반복이다.
역경과 고통속에서 힘들어서, 지쳐서, 불행하게 살지 말고 자신이 생각하는 힘든 부분들을 차례 차례 내려놓는 일, 그리고 사랑과 연민으로 자신과 고통받는 사람을 끌어 안을 때 행복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나'라는 정체성을 버릴 때에 다른 사람들을 제대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자신의 두딸과의 경험에 의해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있어서도 부모가 자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주되, 자녀들의 생각을 바꾸려고 하기보다는 자녀들이 자신의 삶의 방식을 찾도록 도와주기를 이야기한다.
그대들은 아이들에게 사랑을 줄 순 있으나 그대들의 생각까지 줄 순 없다.
아이들은 아이들 자신의 생각을 가졌으므로.
그대들은 아이들에게 육신의 집은 줄 수 있으나 영혼의 집마저 줄 순 없다.
아이들의 영혼은 내일의 집에 살고 있으므로.
그대들은 결코 찾을 수 없는, 꿈속에서도 닿지 못 할 내일의 집에.
(칼린 지브란) (p112)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희망을 가지라고 이야기하지만, 반대로 희망을 버리기 때문에 행복해 지는 길을 안내해 준다. 진정한 삶의 행복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준다.
그런데, 또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있다. 고틀립은 현재 63세의 나이인데, 점점 자신의 몸이 허약해 짐을 느낀다고 한다. 어쩌면 자신이 독자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책이 될 수도 있다고 하는 말을 건넨다.
인생을 온전하게 살아갈 때 나는 깊은 고통과 결핍감마저 느낀다. 나는 내 몸이 아주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악화되는 것을 느낀다. 죽음이 한쪽 볼에 키스를 하고 그와 동시에 삶이 다른 한쪽 볼에 키스를 하는 것이 느껴질 때 나는 완전히 깨어나 생생하게 살아가며 절망과 허무와 고통을 느끼는 동시에 사랑과 감사로 충만해 진다. (p220)
앞으로도 좋은 글을 읽고 싶은 독자로서는 안타까운 이야기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