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곰돌이 푸 전집 - 푸, 피글렛, 티거와 함께 떠나는 숲속 모험
앨런 알렉산더 밀른 지음, 어니스트 하워드 쉐퍼드 그림,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주말에 읽은 책은 제목만 들어도 절로 미소가 지어지는 곰돌이 푸의 이야기다.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곰 캐릭터, 디즈니의 대표 캐릭터 중 하나인 빨간색 티셔츠를 입은 노란 곰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오리지널 디즈니 캐릭터가 아니라 원작이 따로 있었다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이번에 내가 읽은 '곰돌이 푸 전집'은 내용뿐만 아니라 수록된 삽화도 원작에 실렸던 원화들로, 우리가 알고 있는 디즈니 버전 푸의 그림체와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의 아름다운 원화들이 책에 가득 실려 있어서 읽는 내내 그림을 보는 재미도 참 좋았다. 책을 읽으며 출판사의 세심한 배려 또한 느낄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보자면


"어떤 풍선이 좋아?"

네가 푸에게 물었어

푸는 앞발 사이에 얼굴을 묻고 아주 신중하게 고민했어.

"그건 이거랑 비슷한 거야"

<곰돌이 푸 전집> 中


어린아이와 푸의 대화 중에 둘이 갑자기 전혀 다른 말을 하고 있는 장면에서 아직 영어를 모르는 아이들이나 별생각 없이 읽는 어른 모두 갑자기 왜 뜬금없이 대화 내용이 저럴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는데 각주를 달아 놓아서 'like'가 좋다 와 비슷하다는 의미 갖고 있으며 지금 둘이서 각자 다른 내용을 말하고 있음을 독자가 바로 이해할 수 있게 책이 구성되어 있었다. 중간중간에 이런 배려가 없었다면 이 책을 온전히 즐길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푸는 똑똑하지도 않고 여러 가지 사고를 치며 어떤 사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제대로 해결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사실 최근에 무기력감과 비관에 빠지는 일이 빈번하게 있었는데 어떤 일이 있어도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고 나름대로 소소하게 항상 행복을 느끼며 마무리되는 푸의 이야기를 읽으며 잔잔한 감동과 위로를 받았다.


분명 이번 주에도 내가 노력해도 어찌할 수 없는 일이 있을 것이고 내가 아무리 해결하려고 해도 해결되지 않는 일들이 벌어질 것이다. 그럴 때 푸를 생각하며 한번 덜 찌푸리고 한 번 더 미소지을 힘이 생길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이 책을 읽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노래하자, 호! 곰의 인생을 위해!

노래하자, 호! 곰의 인생을 위해!

비가 와도 눈이 와도 난 괜찮아,

새롭고 멋진 내 코 위에 꿀이 잔뜩 묻어 있으니!

눈이 내려도 눈이 녹아도 난 괜찮아,

깨끗하고 멋진 내 앞발에 꿀이 잔뜩 묻어 있으니!

노래하자, 호! 곰의 인생을 위해!

노래하자, 호! 곰의 인생을 위해!

한두 시간만 지나면 난 뭔가 작은 걸 좀 먹을 거야!

<곰돌이 푸 전집> 18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범준에 물리다 - 양자역학에서 스파이더맨까지 물리가 쉬워지는 마법 같은 과학책!
김범준 지음 / 알파미디어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제공 받았으며 리뷰는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


일단 나는 유튜브 '보다'의 '과학을 보다'를 보면서(역사를 보다 죄송ㅠ)
김범준 교수님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 매력에 빠져 '범준에 물리다'도 구독을 하고 있는 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김범준 교수님의 책이 나온다니 구매도 할 판인데 서평의 기회가 왔다? 놓칠 수 없었다. 



범준에 물리다.. 정말 재치가 넘치는 네이밍이다.
그리고 난 정말 범준에 물린자가 되었고,
이과였지만 쟤물포였던(아는가? 쟤 때문에 물리 포기) 내가 이제 와서 물리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비록 인쇄본이지만 친필 사인도 있으니 너무 좋았다.

쁘띠 범준이라니ㅠㅠ
사실 교수님 나이대에 놀이 기구도 좋아하시고, 다른 분들과 얘기할 때 집중하면서 빵도 잘 드시고, 
호기심도 많고, 질문도 잘 하고, 장난기도 있는 귀여움이 너무 잘 어울리는 분인데 본인도 아시다니!! 
더 귀여웡♡

책의 내용은 말할 것도 없었다.
유튜브에서 다뤘던 내용을 책으로 묶은 거라 본 내용이 많았음에도 
글로 보는 건 또 다른 느낌이고, 여러 번 반복해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사실 물리라는 게 일반 사람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학문인지라 
한 주제를 가지고 깊게 판다면 어렵고 지루했을 텐데 
궁금할만한 주제로 짧게 짧게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어서 읽는데 지루함도 없다. 

아래처럼 중간중간 들어가 있는 그림들이 이해를 돕는다.






사실 남편을 통해서 축구공과 야구공의 변화구가 있다는 건 들은 적이 있는데
물리적으로 설명이 되어있어 다음번엔 나도 함께 아는 척을 해볼 생각이다. 
배드민턴 셔틀콕 깃털의 방향은 너무나 사소한 부분이라 그게 무슨 영향이 있겠냐 싶은데 
그마저도 유리한 선수가 있다니 도대체 물리학자들은 어떤 것까지 연구하는 건지...?
아니 그리고 범준 교수님은 어쩜 기본 지식, 운동, 영화까지 모르는 부분이 없으신 거지?
(다시 한번 따봉을 날려본다.)


물론 가끔 이렇게 어쩔 수 없이 수식으로 친절히(?) 설명해 주실 때가 있지만 
흐린 눈을 하면서 슬쩍 넘어간다. 
세 네 번 보다 보면 언젠가 이해될 수 있지 않을까?ㅎㅎ

뒷부분들에 '이과를 열받게 하는 짤/어이없는 짤을 본' 파트가 있는데 
정말 기발하고 재미있는 상상력들이 많았고,
영화에 대한 오류를 다뤄준 것과, 추천해 주신 영화들 중
특히 '컨택트'를 추천을 먼저 해주시는 편인데 이건 꼭 챙겨 볼 예정이다. 


정말 물리에 대해 궁금하다,
나는 '과학을 보다'를 본 적이 있다,
'범준에 물리다'를 본 적이 있다
어디 가서 아는 척을 하고 싶다 하는 분들은
모두 읽으세요!
꼭 읽어보세요~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소월 전 시집 : 진달래꽃, 초혼 - 한글을 가장 아름답게 표현한 시인
김소월 지음 / 스타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대한민국의 청소년, 성인이라면 누구나 이 시구를 알고 있을 것이다. 아마 작가의 인지도로는 우리나라에서 최고가 아닐까 싶은데 생각보다 김소월 시인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일제 강점기의 엄혹한 시절, 한글을 사용하는 것조차 탄압받는 시절에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아름답다고 평가받는 한글 창작물이 나왔다. 단 한 권의 시집을 남기고, 32년의 짧은 생을 살다간 천재 시인 김소월. 그의 생전 유일한 시집인 '진달래꽃'의 출간 100주년을 맞이하여 초판본의 127편의 시와 그 밖에 흩어져 있던 시 110편을 모아 '김소월 전 시집'이 발간되었다.

좋은 기회로 이 책을 받게 되어 마음에 와닿는 작품들을 필사하며 즐길 수 있었다. 평소에 소설책과 역사책등을 즐겨 읽지만 아직 시에는 익숙하지가 않아서 시의 의미에 대해 여러 번 읽으면서 고민해 볼 때도 있고, 창작 당시의 작가의 상황이나 배경 등을 참고하기 위해 찾아보기도 한다. 정답은 없다, 본인의 선택에 따라 취향에 맞게 즐기면 되는 것.

진달래꽃, 초혼 등이 워낙에 유명해서 김소월 시인은 주로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애모(哀慕)에 대한 시를 주로 썼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김소월 시인의 다양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가장 아름답게 한글 시를 창작했다고 평가받는 김소월 시인의 모든 시를 단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 최근 필사가 유행하고 있는데 가볍게 필사를 시작하고 싶다면 이 책과 함께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터 팬 필사집 따라 쓰는 즐거움 2
제임스 매튜 배리 지음, 성소희 옮김 / 시대인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의 기준이 무엇일까? 나는 언제부터 어른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종종 할 때가 있다. 오늘 리뷰할 책은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는 영원한 소년의 이야기. 피터 팬 필사집이다.


어른과의 모든 관계를 부정하고, 심지어 어른이 되는 것마저 거부한 채 네버랜드에서 살고 있는 피터와 아이들이 있다 하지만 피터는 주기적으로 여자아이를 네버랜드에 데려오고 같이 살고 있는 아이들에게 "너희들을 위해 엄마를 데려왔어"라고 말한다.

우리가 기억하는 피터 팬은 아마 아이들 대상으로 만든 초역본의 이야기 또는 디즈니 버전의 피터 팬일 것이다. 나도 원본에 가까운 피터 팬은 이번 기회에 처음 읽어보았는데 오... 생각보다 더 깊고 어두운 이야기에 깜짝 놀라기도 했다.

이 책은 필사책으로 나왔으니 필사러버로서 후기를 남기도록 하겠다.


평소에 만년필로 필사를 즐기고 있는데 특별히 만년필용으로 제작한 종이가 아니라면 만년필 사용 시 심하게 번져버려서 시중에 있는 대부분의 필사책들은 만년필을 쓸 수가 없다.

이 책은 평량 120g의 매끄러운 고급 종이로 만들어져서 만년필도 쓸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했지만 아쉽게도 만년필 용으로 나온 책은 아니라서 아주 세필의 일본산 만년필이 아니고는 잉크 번짐 현상이 있다.


하지만 그 외에 내가 즐겨 사용하는 필사 도구인 샤프나 파인라이너 사용 시 기분 좋은 필감과 번짐 없이 즐겁게 필사를 할 수 있었다.

500p가 넘고 두툼한 고급 용지를 사용해서 들고 다니기엔 무게와 부피가 압박스럽지만 '필사책'이란 목적을 훌륭하게 만족시켜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아트북
제스 해럴드 지음, 김민성 옮김 / 아르누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평소에 좋아했던 게임이나 재밌게 본 영화의 아트북을 산다. 게임을 다시 하거나 영화를 다시 보기엔 시간이 너무 부족하기에 가끔 아트북을 꺼내서 즐거운 추억을 다시 느끼는 것을 즐긴다.

마블 시네마틱 시리즈를 즐겨 봤었는데 최근에 나오는 영화들이 연달아 실패하여 참 아쉬웠다. 마지막으로 재밌게 봤던 영화가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이었는데 이번에 이 영화의 아트북이 나왔고 좋은 기회로 읽게 되었다.


이 영화에는 스파이더맨이 3명이 나온다. 시리즈의 팬이라면 알고 있었겠지만 과거에 나왔던 스파이더맨 영화(토비 맥과이어와 앤드류 가필드가 주인공이었던)는 현재의 마블 스튜디오가 생기기 전, 스파이더맨의 영화 판권을 가지고 있었던 다른 회사에서 만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 나온 마블 스튜디오의 스파이더맨(톰 홀랜드)과 전혀 연관이 없었지만 뿔뿔이 흩어져 있던 판권들이 다시 마블 스튜디오 손에 들어오게 되면서 과거에 나온 영화들과 연결이 가능해졌다.

더군다나 현재 마블 스튜디오 영화들은 멀티버스(다중우주)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데 이런 설정을 현재까지 가장 잘 활용한 영화가 바로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이다.



이 아트북은 단순히 영화의 장면 컷들을 모아놓은 책이 아니라 이미 시간이 꽤 지난 과거의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빌런들을 어떻게 신작 영화에서 표현을 할지에 대한 여러 아이디어들과 제작진들의 고민, 오랜만에 스파이더맨 영화에 돌아온 배우들의 소감과 뒷이야기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옛 스파이더맨 시리즈를 모두 봤던 사람들에게는 옛 추억을 되살리며 과거와 현재 영화에서 어떤 변화들이 있었는지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을 선사할 것이고 과거의 영화를 안 봤기 때문에 약간 이해가 안 됐던 사람들에겐 이 이야기를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가이드가 되어줄 책이다.


 이번이 마지막이 아니라 한 번쯤은 더 토비와 앤드류가 함께 하는 스파이더맨 영화가 나왔으면 좋겠다. 그리고 앞으로 엑스맨 시리즈도 마블 영화에 합류할 예정인데 최소한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과 비슷한 정도의 퀄리티로 나오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극장에서도 보고 애플 TV로 구매해서 두세 번 다시 봤는데 조만간 아트북을 뒤적이며 다시 한번 감상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