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도무지 평가방법도 모호하고, 수많은 부정의 소지가 있고, 사회생활하는데 별로 도움도 안되는

일제고사식 학력진단을 왜 평가하는지 모르겠다.

그러기에 지금 나는 "키"로 모든 학생을 측정할것을 제안한다.


우리가 좋은 직장, 많은 돈, 사회적 명예를 가지기 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우수한 배우자를 골라서 자신의 유전자를 전파하고, 자손을 훌륭히 키우는거 아니겠는가.

그런데, 좋은 학교 나왔다고 여자한테 인기있는가?? 아니다!!

서울대 안나와도 키가 180이면 오히려 여자 잘 꼬신다.

나이트에서 룸 잡고 웨이터에게 팁 찔러주며 데리고 온 여자들에게 "저 서울대 나왔어요"라고 찌질되고 있을 때,

키 180이면 이미 여자들이 먼저 그대를 룸으로 부르고 있다.

 

여자들이 남자를 소개받을 때 제일먼저 물어보는 3가지 질문 중에 하나는

"그 남자 키 몇이야?"다.

여자들이 키작은 남자, 특히 자기보다 작은 남자를 대하는 태도는

남자들이 뚱뚱한 여자를 보는 태도와 같다.


여자라고 안심할 수 있을까?

남자들이 여자를 평가하는 두가지 큰 기준은 "얼굴"과 "몸매"다.

여기 "몸매"에서 키가 차지하는 부분은 무척크다.

여자들이 자기 몸 상하고 나이들어 고생하는 거 알면서도 하이힐을 넘어 킬힐 까지신고 다니는거 보면

외모에서 키가 중요하다는 점은 여자들도 익히 아는바다.


이에 나는 부정과 편법으로 얼룩진 수학능력시험, 토익, 토플, 일제고사, 각종 학력진단평가를 대신해

객관적이고 부정의 소지가 거의 없고, 평가하는데 특별한 지식이 요구되지 않는 

"키"로 사람을 선발할것을 강력히 주장한다.

 


Q1. 성적은 노력이지만 키는 노력이 아니지 않습니까?

=> A1 키도 노력입니다. 규칙적인 생활습관, 적당한 수면, 적당한 운동, 적절한 음식이 성장의 큰 요인이죠.

키는 유전이 많이 좌우한다고요? 공부도 유전이 많이 좌우하죠.  

키는 환경이 많이 좌우한다고요? 공부도 환경이 많이 좌우하죠.

학창시절에 대단히 성실하게 공부하는 친구인데, 성적이 안 좋은 친구들 있습니다.

열심히 키 크려고 노력하는데 안되는걸 어떻게 하냐라는 말을 저 친구들에게도 해주십시오. 

키는 20살때까지만 크지만 공부는 끝이 없다구요? 

20살에 결정된 대학교에 따라서 그 사람은 대학에서 열심히 공부를 해도 3류대 출신일 뿐입니다.

성적보다는 "키"로 사람을 평가하는게 기회의 평등이나 노력면에서 훨씬 더 공정합니다. 

또 오해의 소지가 없이 객관적으로 줄세우기도 편하죠.


Q2. 이성을 꼬시는데 말구, 사회적으로도 키가 성공하는데 도움이 됩니까?

=> A2 네, 사실입니다. "블링크"에서 보듯이  

 미국의 경우 182cm 이상이 인구의 14.5%인데, 대기업 CEO들은 58%입니다.

요정도면 IQ나 부모님의 재산, 학력, 전공학문의 차이보다 더 높은 성공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키는 권력이다"라는 책에서도 성공이나 사회적 인식에 관한 차별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스포츠에서 "키"는 운동선수 기량에 큰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대에서 180cm 이상의 남자 비율이 10%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즉, 우리나라도 선진국의 대열에 조금만 더 노력하면 닿을 수 있습니다.

"키"라는 객과적이고 확연한 수치는 그 어떤 스펙보다도 분명하고 확실하게 우리를 평가합니다. 

우리는 더 이상  그 사람의 지능, 지혜, 학식, 인격, 가문 등을 판단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아도 되며, 

여기에 쏟았던 불필요한 사회적 낭비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ps. 이상 캐호빗이 지껄였습니다.
 
 
착상문헌 : 


계간 철학과현실 2009 봄 80호, 김도식, 편입과 영어시험, p 109 

 "객관적이라고 모든 것이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아주 극단적인 비유이지만 몸무게로 1단계를 구분하는 것도 객관적이기는 객관적이다. 다만 몸무게와 해당 전공자의 연관성이 전혀 없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편입 영어 시험 역시 해당 전공과 연관성이 그다지 많지 않음을 개인적 경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99323 

 

"섹스는 피곤해, 혼자가 재밌지" 

 


[해외리포트] '초식동물형'으로 변신 중인 일본 20대 남성들

09.03.31 15:51 ㅣ최종 업데이트 09.03.31 15:51 박철현 (tetsu)


초식동물형 남자, 일본 신조어

 

 

"여자 친구는 많지만 애인은 없어요. 돈도 들고 괜히 상대방 기분도 살펴야 하고. 결론적으로 피곤하잖아요. 헤어지든 결혼하든 평생 피곤해지는 건 마찬가지니까. 그럴 바에야 혼자 취미생활하고 성별 따질 것 없이 마음에 맞는 친구들과 어울리고. 섹스? 저 같은 경우엔 성욕 자체가 별로 없는 것도 있지만 혼자서 해결하죠. 뭐."

 

IT업계에 종사하는 모리 타카시(30)는 잘 생기고 훤칠한 스타일에 성격도 활달한 만능 스포츠맨이다. 연봉도 5백만 엔(약 6500만 원) 수준. 그런데 그는 애인이 없다. 아니, 없는 게 아니라 연애 자체에 흥미가 없어 아예 그런 시도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물론 섹스에도 흥미가 없다. 모리는 "어떤 애들은 간혹 너 게이 아니냐고 물어오기도 하는데(웃음), 그렇지는 않아요"라고 웃으면서 고개를 젓는다.

 

이런 남자들을 일컫는 신조어가 바로 '초식동물형 남자'다.

 

누나 같은 남자→여자 같은 남자→초식동물형 남자

 







  
모리오카 마사히로가 낸 <초식계 남자의 연애학>. 표지의 이미지처럼 처음에는 겉모습이 호리호리하고 패션센스가 좋은 남자들을 일컬어 초식계 남자로 표현했지만, 지금은 꼭 그런 것만도 아니다.
ⓒ 모리오카마사히로
초식동물형 남자



단어만 놓고 본다면 풀만 뜯어먹고 사는 남자이지만, 숨겨진 의미는 성인 남성이라면 당연히 가질법한 연애, 그리고 섹스에 대한 욕구가 사라져 버린 남자들을 의미하는 용어다. 그들은 이런 성적 욕구를 자신의 취미활동을 통해 발산한다.

 

물론 이러한 성향을 지닌 남성들이 갑자기 등장한 것은 아니다. 1990년대에는 비슷한 표현으로 '아네오'(누나 같은 남자)나 '페미오'(여자 같은 남자)라는 단어가 나오기도 했고, 또 '초식동물형 남자'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칼럼니스트 후카자와 마키의 인터넷 연재칼럼 "U35 남자 마케팅 도감"이 이미 3년 전에 나왔다는 점을 볼 때 그리 새로운 개념도 아니다.

 

'초식동물형 남자'가 크게 반향을 불러일으킨 것은 지난 2008년 4월. 일본 최대의 정통 패션잡지 <논노>가 후카자와 마키를 인터뷰하며 '초식동물' 특집 기사를 게재한 게 계기가 됐다. <논노>가 이 기사를 통해 초식동물형 남자의 유형을 구체적 항목으로 제시한 것.

 

<논노>와 2008년 7월에 출간된 <초식계 남자들의 연애학>(모리오카 마사히로), 같은 해 11월 마케팅 관점에서 초식동물형 남자를 다룬 <언니 같은 오빠들이 일본을 바꾼다>(우시구보 메구미)에서 언급된 초식동물형 남자들의 특징은 대략 다음과 같다.

 

- 대부분 20대다.

- 외출보다 집에 있는 것을 더 좋아한다.

- 여행, 쇼핑, 극장을 여성과 함께 가는 경우도 있지만 연애로 발전하는 케이스가 거의 없다.

- 이성을 위해 돈 쓰는 것보다 자신의 취미, 특히 패션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하다.

- 연애 자체에 적극적이지 않으며 섹스, 성행위에 별로 흥미가 없다.

- 거의 모든 에너지는 취미생활에 투자하며, 여성과 단 둘이 같은 침대에서 자도 아무 짓도 안 한다.

 

20대 일본 남성들 "섹스는 피곤해요, 혼자가 최고죠"

 

이렇게 초식동물형의 구체적 행동패턴이 지적되자 일본의 인터넷, 특히 블로그에서는 "나 알고 보니 초식동물일지도 모르겠다", "헉! 나 초식동물이에요. 한발만 삐끗하면 이거 오타쿠 되겠는데요" 등의 이른바 자기고백은 물론 반대어로 "육식동물형 여자"가 등장하기도 했다.

 

또 마케팅 전문 웹사이트 <닛케이MJ>(Nikkei Marketing Journal)는 '20대 남성의 생각을 통해서 본 젊은 세대의 의식여론조사'를 통해 이를 통계적으로 증명했다. 이성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된 여론조사의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전 항목에서 20대가 30, 40대 선배세대에 비해 이성에 흥미가 없고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서 초식계 남자를 다루는 특집이 어디서나 넘쳐나고 있다. 사진은 MSN TV의 기획특집 <초식계 남자 대연구>.
ⓒ MSN 화면 캡처
초식동물형남자



몇 가지만 소개하면 이렇다. 20대 1089명 중

 

'이성에게 꽃을 선물한 적이 있다' → 11.5%

'연애가 귀찮고 지겹다' → 28.2%

'여자들을 위해 돈과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 → 31%

 

이 수치들을 본다면 20대 남성의 약 3분의 1은 '초식동물형 남자'가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셈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세계 경기불황의 여파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초식동물'을 선택하는 남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작년 12월 23일 사이타마의 캐논 생산공장을 다니다가 갑자기 해고통지를 받은 하즈마 유키(가명, 26, 현재 편의점 아르바이트)는 당시를 돌이키며 허탈한 웃음을 지었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솔로들끼리 소개팅하기로 했었는데, 갑자기 전날(23일) 인사과장이 오더니만 내년 1월부터 안 나와도 되니, 기숙사를 26일까지 비워달라고 하더군요. 기숙사에서 쫓겨나게 생겼는데, 소개팅할 상황이 아니죠. 지금은 시급 800엔짜리 편의점 '알바'를 하고 있는데, 연애할 만한 시간이나 물질적 여유가 없으니까 자연스럽게 초식형 인간이 되는 거죠. 하하(웃음)."

 


경기불황 깊어질수록 '초식동물' 선택남 늘어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엄청난 무역흑자를 기록해 왔던 일본기업들은 엔고의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 25일 재무성은 "1980년 이후 29년 만에 무역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기업의 몸 사리기가 계속되는 한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초식동물형 남자'를 선택하는 20대 남자들이 늘어날 전망이다.

 

문제는 이 현상이 오래 지속되면 인구적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버블경제가 붕괴되고 있던 1989년 나온 1.57(세대당 자녀비율)이라는 수치에 대해 '1.57쇼크'라고 부르며 충격에 휩싸인 바 있다.

 

일본사회를 꾸준하게 성장, 지속시키는 데 가장 전제가 되는 수치가 '세대당 자녀비율 1.58'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일본정부는 충실한 가정생활을 권장하는 <국민생활백서>를 배포하기도 했다. 이 수치는 이후 줄곧 떨어지다가 최근 다시 상승해 2007년 현재 1.34를 유지하고 있다. 

 







  
총무성 통계국이 2008년 2월에 펴낸 보고서 <세계의 통계 2008>. 2050년에 일본의 65세 이상 인구가 약 40%에 달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 총무성 통계국
초식동물형남자



이와 관련해 육아문제 전문가인 이토 노리코의 경고 메시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토 노리코는 지난 2월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총무성 통계국이 발표한 <2008 세계의 통계> 보고서를 인용해 "일본의 소자화(小子化), 고령화 현상은 세계적으로도 문제가 심각한 수준인데 이런 식으로 가다간 2040년 이후 65세 이상이 전 인구의 35%를 차지할 것"이라 걱정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결혼한 다음에 보통 아이를 1~2명 출산한 이후 섹스리스에 빠지는 경향이 강하지만, 그래도 이것은 심리 상담이나 전문가들의 카운슬링을 통해 고칠 수 있다. 그런데 (초식동물형 남자들처럼) 아예 이성을 접촉하는 것조차 거부해 버리면 연애나 결혼은 아예 이루어지지 않으니 출산율이 저하되는 건 불을 보듯 뻔하다. 사람이 없으면 사회는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다들 명심했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유시민 토론회에 초대합니다."

20조만 있으면 전국민이 현상태에서 무상의료를 받을 수 있지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70조를 삼성생명등 보험회사에 가져다 바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국가가 무상의료를 하는게 좋을것 같기는한데,

[대한민국 개조론]에서 무상의료가 실현되는 순간, 즉 가격이 0이 되는 순간 수요는 한없이 늘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구, 나아가 의보민영화, 보험회사 라던가, 의료 산업 쪽만이 돈을 만들어낼 수 있는 분야라고 주장하셨습니다.

아마 반농담조로 얘기되는 "독일인들은 GDP 1/3을 의료비로 쓴다"라는 곳에서 유학을 하다오셔서 그러지 않을까하는 추측을 해보며,

제가 정책을 짰다면, 계층별로 차등으로 의료비 상한제를 두면 가격이 0이 되지도 않고, 의료비 때문에 가정이 파탄나지도 않고 돈 돈 돈 하지 않는 건강한 사회가 되었을꺼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뭐 결국 독일이 1/3을 의료비로 쓰고 있다면, 우리나라는 1/3을 사교육비에 쓰고 있군요.
이 돈이 책(토익책 빼고), 음반, 미술 등 문화에 쓰였으면 훨씬 더 우리나라 장래가 훨씬 밝았을거라고 생각합니다.

ps. 잘못 기입한 숫자나 주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래 제가 어설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lovelywolf.tistory.com/368?srchid=BR1http%3A%2F%2Flovelywolf.tistory.com%2F368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짧은이야기 2009-03-30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시간이 돈이다.. 시간 앞에 부끄러워질 때가 너무 많습니다.
 

 

 

다음은 우리다 / 마르틴 니묄러
 

나치는 우선 공산당을 숙청했다.
나는 공산당원이 아니었으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유대인을 숙청했다.
나는 유대인이 아니었으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노동조합원을 숙청했다.
나는 노동조합원이 아니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가톨릭교도를 숙청했다.
나는 개신교도였으므로 침묵했다.


그 다음엔 나에게 왔다.
그 순간에 이르자,
나서 줄 사람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발췌

시사인 46호 2008년 8월 2일
정연주 몰아내고 낙하산 앉히고 예산을 틀어쥔다
고재열 기자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