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한국 미술의 흐름을 강의처럼 정리하고 있다. 대담 형식으로 이야기하면서 설명하고 있어서 한국 미술사를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판 자료도 아주 적절하게 배치했고, 사진의 상태도 좋다. 특유의 민족주의적 시각이 너무 강하고, 억지스러운 역사적 배경 설명이 조금 거슬리기는 한다.
유명한 사찰에 만들어져 있는 사천왕상들을 모아서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비슷하면서도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천왕의 모습들이 참으로 매력적이다. 출판사에서 투자를 해서 만들어낸 책인만큼 사진들이 좋다. 이렇게 비싼 책을 돈 주고 사서 보기는 좀 그렇고, 기본 지식이 없는 사람이 보기에는 설명이 너무 간략하다.
한국의 건축양식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려고 노력했다. 고대와 현대를 넘나들고, 동양과 서양을 오가고, 찰학과 신학까지 다양하게 다루려고 시도했지만 너무 산만해서 무엇을 말하려는지 집중할수가 없다.
독특한 곡선미를 자랑하는 전통한옥의 구조를 하나하나씩 때어내서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목수가 집을 짖는 입장에서 어떻게 이런 건축기법이 생겨났는지를 역사적으로 유하고 있다.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 내용은 만만치 않다. 대중용 개설서라기보다는 건축을 전고아는 초보자들을 위한 입문서의 성격이 강하다.
죽은 이를 옮기는 상여에 장식된 꼭두들을 모아 놓았다. 죽은 이의 저승 길을 함께하는 참으로 볼품없는 소박한 꼭두들이 이렇게 매력적일수가... 너무도 간단한 소개들과 거의 설명이 없는 사진들로만 이뤄져서 꼭두를 이해하는데 아쉬움이 있지만, 꼭두의 매력을 느끼기에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