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키메라의 땅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설마 했는데..역시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 준 소설이었다.
키메라... 금기의 영역, 인간과 동물의 혼종..
소설 시작부터 빠르게 몰입되었고, 계속해서 일러두기 부분의
‘정확히 5년 후에 일어난다’는 문장이 사실로 다가올까 두려워지는 소설이었다.
유전자조작을 통해 지진에도 쓰나미에도 지구 온난화에도 살아남을 신인류, 즉 키메라를 창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알리스. 하지만 많은 반대와 함께 프로젝는 무산되고 만다. 그리고 우주로 피신해서 연구를 계속하는 알리스.
이 때 3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지구는 초토화되고만다.
알리스는 키메라의 배아와 지구로 돌아온다. 지구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인간들과 새로운 신인류(키메라)와의 만남..그들은 함께 살아갈 수 있을지
--
키메라라는 단어를 보고 어릴적 보았던 “강철의 연금술사” 만화책이 떠올랐다.
주인공 두 형제가 엄마를 되살리기 위해 연금술을 시행하고, 실패하여 몸을 잃고 괴물을 만들어 냈던 장면..
인류의 창조는 인간의 영역이 아니라 신의 영역이라고 알려주던 장면들..
하지만 유전자 조작과 과학이라는 영역을 통해, 인간과 동물이 결합된 새로운 존재가 실제로 탄생할 수도 있다는 섬뜩한 가능성을 보여준 소설.
과학이 새로운 생명을 설계하고, 더 나은 진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내용. 그러나 그 과정은 결코 완벽하지 않았고, 오히려 파멸과 비극을 동반했다. 생명을 조합하고 재창조하려는 시도는 단순한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인간이 신처럼 창조자가 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갖게 했다.
과학의 발명이 인간의 편의를 넘어서 창조와 생명의 영역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 어떤 일이 벌어질지 두려워졌다.
그 영역에 들어가는 순간 인간을 신이라 생각하고 지금보다 더 오만해지지 않을지..그 결과를 인간이 감당할 수 있을지..다양한 걱정이 들기 시작했다.
키메라의 탄생, 그리고 파국..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경고하는 소설, 두려움을 갖게 한 소설
잘 읽었습니다.
@openbooks21 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