볕 좋은 점심시간을 누리는 방법 중 하나다. 연휴와 바쁜 일상으로 오랜만에 찾은 그곳에 반가운 벗이 찾아왔다. 빽빽거리는 부자연스러운 소리에도 굴하지 않고 반복해서 듣다보면 내성이 생기는 걸까. 짧은 호흡이 더 짧아진 것을 확인하며 게으름을 탓해보지만 그것도 다 나름대로 누리는 일이기에 싫지만은 않다.


"시언지가영언 詩言志歌永言"
시란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하는 것이고, 노래는 말을 길게 읊조리는(長吟) 것이다.


*이는 옛날사람 순舜임금이 했던 말에서 유래한다. "기夔야, 너에게 명하노니 전악典樂을 맡아 자제들을 가르치되 강직하면서도 온화하게 하고, 너그러우면서도 위엄을 잃지 않게 하며, 굳세면서도 거칠지 않게 하고, 간략하면서도 오만하지 않게 하라. 시란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하는 것이고, 노래란 말을 길게 읊조리는 것이며, 소리란 가락에 의지하며, 음률이란 소리가 조화를 이룬 것이다. 팔음이 조화를 이루어 서로의 음계를 빼앗지 않게 하면, 신과 사람도 이로써 조화를 이룰 것이다."


이로부터 "음악이 사람의 심금을 울릴 수 있는 것은 '시언지 가영언'이기 때문"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지극히 펑범한 사람으로 그 지극한 경지를 알지는 못한다. 더욱이 시가詩歌의 근처도 가본 일이 없다. 하여, 부르지 못하니 듣기라도 하자는 심정으로 흉내라도 내보고자 마음을 내어보는 것이다.


날도 풀리고 새해도 지났으니 다시 시작해 보자. 혹, 어쩌다보면 율려律呂의 12음률音律도 알아가는 날이 오지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 국립민속국악원 브랜드창극


<나운규, 아리랑> 시즌 Ⅱ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2017. 2. 10(금) 오후 7:30
2017. 2. 11(토) 오후 3:00


"영화인 나운규의 삶과 영화 '아리랑' 그리고 민족의 노래 아리랑으로 엮은 우리 시대 예술가의 이야기"


* 두 번의 공연을 모두 봤다. 나운규의 예술가로써의 삶과 아리랑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해 본다. 창극 '나운규, 아리랑'은 두가지의 이야기 흐름을 가진다. 하나는 인간 나운규의 예술인으로의 삶과 고뇌와 영화 아리랑이 전해주었던 감동 이야기다. 시즌 1과 2의 기본적인 이야기 구조는 같다. 시즌 2에서는 스토리가 더 극적으로 전개되는 점이 달라진 듯 하다. 이는 이중적 이야기 흐름을 따라가는데 마음 도움이 되었다.


시계바늘의 시.청각적 효과를 극대화한 독특한 무대장치와 두개의 이야기의 구조,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시간 구성 등으로 절묘하게 엮어지며 흐르는 무대는 관객을 압도하고도 남는다. 주목되는 것은 원형 무대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이야기 흐름에 아리랑 고개를 형상화한 무대장치가 주는 구분과 결합의 구조다. 또한 주인공 나운규의 중심무대가 되는 옥상구조도 극의 몰입에 도움이 된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아리랑'이라는 음악의 흐름과 방창이다. 배경음악과 합창이나 방창으로 가사로 전달되는 음악적 흐름이 친숙한 아리랑이라는 곡이 가지는 다양한 감정을 극 속에서 느끼게 해준다. 시즌 1은 스토리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음악이었다면 시즌 2에서는 음악이 이야기 흐름과 동등하게 주목받는다는 점이 아닌가 싶다. 그만큼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부가되었다는 느낌이다.


여전히 아쉬운 점은 극이 시작되는 시점에 극의 구성을 이야기해 주는 자막이 있긴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다는 점이다. 자막의 설명과 음성 해설이 덧붙여진다면 몇분간의 침묵 속 어색함도 없애고 이야기 흐름을 이해하여 극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되리라고 본다. 이는 다소 복잡한 이야기 구조를 따라가기에 버거운 점을 해소해주는 더 적극적인 방법이 아닌가도 싶다. 또하나는 음악과 대사의 충돌로 몰입된 감정흐름이 다소 어긋났다는 점이다.


무척 기대한 공연이고 같은 공연이 시즌 2로 업그레이드 된 만큼 기대감을 충족시켜주는 훌륭한 무대였다. 끊이없이 노력하는 국립민속국악원의 공연이 늘 기다려지는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낮달'

세월이 잃고 간 빛처럼
낮 하늘에
달이 한 조각 떨어져 있다

*조병화의 시 '낮달'이다. 파아란 하늘에 낮달이 걸렸다. 하늘을 자주 보는이나 달에 주목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달이다. 

어제밤 달ᆞ화성ᆞ금성이 일렬로 선다고 달보는 이의 애를 태우던 그 달이 미안했는지 슬그머니 얼굴을 내밀었다. 곧추선 모습에서 점점 누워가며 저녁을 맞이할 것이다. 그사이 몇번이나 눈맞춤할런지 알 수 없지만 고개 아픈것이 대수랴.

푸른하늘에 달이 걸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느티나무'
든든한 나무 한그루 곁에 둘 수 있다면 행운이다. 곁이란 물리적 공간일 필요는 없다. 그곳이 어디든 우뚝선 나무 한그루 가슴에 담고 그리워 해되 될 것이기에. 나무는 그렇게 사람과 함께 살며 사람들이 떠난 자리를 지킨다. 가고 오는 길 사시사철 늘 눈맞춤한다.


느티나무는 당산나무나 정자나무로 마을 입구나 한가운데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다. 넉넉한 나무 품에서 더위를 피하고 마을을 들고나는 사람들의 휴식과 위안을 준다.


뿐만아니라 쓰임새가 너무 많은 느티나무다. 나무가 단단하고 비틀림이 적고 새과 무늬가 아름다워 사방탁자, 뒤주, 장롱, 궤짝 등의 가구재로도 사용했다. 또한,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해인사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법보전, 강진 무위사, 부여 무량사, 구례 화엄사의 기둥은 전부, 혹은 일부가 느티나무로 훌륭한 건축재로도 사용 되었다.


정월 보름을 하루 앞 둔 오늘 느티나무 아래 당산제를 모신다.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것이다. 하여, 며칠전부터 금줄을 치고 부정한 것을 막고 정갈한 마음으로 한해의 안녕을 비는 것이다. 가만히 나무 앞에 서 두손 모아 합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멀거리며 품으로 파고들었더 차가운 바람이 미안했던게다. 

스스로 붉어지는 속내를 기어이 보이고서야 하루를 마감한다.


춥고 더딘 시간 보냈을 그대, 해의 붉은 기운 품어 고단함을 내려놓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