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식기장 이야기
송영애 지음 / 채륜서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라져 가는 맛과 멋을 찾아서

가마니, 절구, 새우젓 독, 바가지, 멍석, 신선로, 쌀뒤주, 제기, , 떡살, 옹기, 칠기, 고리, 구절판, 조리, 식칼, 가마솥, 도마, 술잔, 돌확, 수저, 채반, 맷돌, 소쿠리와 광주리, 밥상보, 주령구, ··저울, 막사발, 소반, 유기, 밥그릇, 찬장과 찬탁

 

하나 둘 이들의 이름을 불러본다. 그리 멀지 않은 시간 속에서는 분명하게 살아 우리의 일상과 함께한 물건들이다. 이들 중에는 여전히 우리의 식생활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이름마저 생소한 것들도 있다. 물론 나이 50을 넘긴 내 또래들에게는 거의 모두를 기억하는 공감대가 있을 것이다.

 

음식을 만들고 나눠 먹는 문화가 변하면서 일상적인 식생활 문화도 변했다. 먹는 문화의 변화는 많은 부분에서 동반된 변화를 초래하거나 역으로 살아가는 일상의 변화가 식생활의 변화를 이끌기도 한다. 이런 상호 작용에 의해 오늘날 우리들의 식생활 문화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 과정에서 위에서 언급한 도구들은 이제 장식용품으로 전락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잊혀져가는 식도구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 송영애의 식기장 이야기. 식기장은 식기를 넣어두는 장으로 그 장 속에 들어갈 만한 도구에서부터 음식을 만들 때 사용되는 갖가지 도구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옛 어머니들이 식기를 모아 보관했던 식기장처럼 이 책에서의 식기장은 바로 그런 식기들의 이야기를 모아 둔 곳으로써 의믿 함께하고 있어 보인다.

 

누군가에게는 식도구가 단순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도구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자부심이다. 떡살은 남한테 빌려주지 않는 집안의 권력이었다. 특히나 우리나라 식도구들은 유난히 시집살이와 관련이 많다. 며느리들은 친정과의 인연을 끊고 모진 시집살이를 견디라는 의미에서 칼과 도마를 받았다. 시집온 이후에는 친정아버지에게서 선물 받은 돌확에 서러움도 같이 갈았다.”

 

저자가 펼쳐가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김없이 도착하는 곳이 있다. 바로 내가 나고 자란 고향의 밥상이다. 그 밥상에 밥을 비롯하여 음식을 올리던 사람들의 삶과 마음까지 고스란이 담았다. 발품 팔아 돌아다니며 만난 사람들과 그 사람들의 남은 흔적인 도구들에서 건져 올린 사람 사는 이야기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 역사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지역과 남녀를 뛰어넘어 결국은 옜 기억 속 어머니의 그 밥상으로 불러 모은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종가(宗家)전시가 열렸다. 웬일인지 운조루 쌀뒤주는 보이지 않았다. ‘쌀뒤주는 빌려주는 물건이 아니다, 전시하는 석 달 동안 쌀뒤주를 밖으로 내놓을 수도 없다, 운조루 쌀뒤주는 예전 그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집안 종부의 의지 때문이었다.”

 

음식을 대하는 옛 사람의 마음을 이보다 더 간절하게 담은 말이 있을까 싶다. 쌀뒤주에 담은 마음이 곧 밥과 사람의 관계, 그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의 마음이 곧 우리들이 보고 자랐던 음식문화였고 우리의 삶을 지켜준 정신이었다고 본다.

 

가만히 있어도 멋이 있고 바라만 봐도 낭만이 있고 만지기만 해도 그리움이 있는 서른둘의 식도구들을 찾아서 담아온 저자의 노고가 넉넉하고 따스한 이야기와 사진 속에서 빛나고 있다. 그 수고로움에 의해 우리 기억 속에 자리하고 있는 멋과 맛의 본래 자리를 찾아가는 시간을 갖기에 충분하다.

 

생활의 변화는 그 생활을 유지시켜주는 환경과 조건의 변화와 직결된다.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의 음식문화 속에 자리 잡았던 식도구들 역시 새로운 운명 속에서 제 갈 길을 갈 것이다. 그렇더라도 우리의 조상들의 삶의 정신이 담겨 있는 그 뜻만이라도 이어갈 수 있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희룡과 골목길 친구들 - 조선 후기 천재 여항인들의 초상
설흔 지음 / 한국고전번역원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산외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여항인들의 삶

, 정조 시대를 중심으로 한 조선 후기는 기존 양반 중심의 획일적인 사상, 문화일변도에서 벗어나 북학파와 같은 실학자 층이나 여항인들처럼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사회의 중심부로 등장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학문과 사상분야에서 홍대용을 중심으로 한 북학파가 있었다면 시, , 화를 통한 문화의 중심에는 조희룡을 중심으로 한 여항인들이 있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우봉(又峰) 조희룡(趙熙龍, 1789-1866)은 매화 그림으로 유명하지만 그림뿐 아니라 글로도 이름을 떨친 사람이며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당시 여항인들의 대표적인 시사 모임인 벽오사(碧梧社)의 중심인물이었으며 그 여항인들을 기록한 호산외기의 자자이기도 하다. 또한 그 당시 사대의 아이콘이기도 했던 김정희의 제자라고도 알려져 있다. 하지만 김정희와의 관계가 일방적인 가르침을 받는 제자라기보다는 여항인들의 대표로 특별한 감식안을 가진 김정희의 평을 받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관계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조희룡이 기록한 호산외기는 조선 후기 여항인 42인의 전기집이다. 각각의 인물의 행적을 기록하고, 편마다 호산외사, 즉 조희룡이 짤막한 논평을 덧붙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항(閭巷)은 원래 꼬불꼬불한 골목이란 뜻으로, 조선 후기 문헌에 의하면 서울의 비양반 계층의 생활공간을 의미한다. 이곳에 살았던 여항인들은 신분제 사회에서 능력이 있어도 높은 관직에는 오를 수 없었던 인물들이다. 그들은 문학과 예술 방면에 힘을 쏟았고, 그것으로써 자신들이 가진 재능을 펼치고, 자아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조희룡 역시 여항인이었고, 그런 그가 자기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한 것이 호산외기이다. ‘호산외기에서 이향견문록’, ‘희조일사’, ‘일사유사로 이어지는 일련의 기록에서 주목했던 여항의 문인, 예술가의 삶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예술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설흔의 조희룡과 골목길 친구들은 바로 조희룡의 호산외기에서 14인을 선별하여 조희룡과 벗이 대화를 통해 그들의 삶에 주목한 이유를 찾아나가는 형식으로 구성된 이야기책이다. “제 눈을 스스로 찔러버린 화가 최북, 바둑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김종귀, 연못에 쌀뜨물을 붓고 달을 감상한 임희지, 시에 목숨을 걸었던 김양원, 필법만큼 인품도 높았던 김홍도, 나라 밖까지 소문난 역관 시인 이언진, 천재적인 재능을 펴지 못한 채 요절한 전기 등에 대해 벗과 나눈 이야기 속 중심은 여항인으로 살았던 사람들의 마음 읽기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쓸어 버리고, 엎어 버리고, 던져 버렸다이는 설흔이 호산외기를 통해 보았던 여항인들의 삶을 정리한 문장으로 봐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분명, 양반 사대부 중심의 사회에서 갇혀 살았지만 자신들의 삶을 구속한 한계를 벗어버린 사람들의 삶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주목한 것은 조희룡이 여항인들의 삶을 전기로 기록한 마음이나 설흔이 그들의 삶을 통해 읽어낸 마음이 공감대를 형성하여 통했다는 점이다.

 

설흔은 호산외기를 읽으며 그 글 속에 미처 담지 못했던 이야기가 무엇일까에 주목했다. 바로 행간 읽기. ‘조희룡과 골목길 친구들역시 그의 전작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추사의 마지막 편지, 나를 닮고 싶은 너에게등과 같은 맥락의 작품이다. 행간을 통해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속마음을 헤아려 보고 기록으로는 마처 다 담지 못했던 무엇을 찾아내 새롭게 인물 탐구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은 인물들의 남다른 행적 뒤에 감춰진 고뇌와 좌절, 포부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피고 풀어냄으로써, 그들의 고민을 지금 독자가 함께 공감하고, 나의 문제로 돌이켜 볼 수 있도록 이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