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맑고

한가로우면

그 하루가

신선이라네"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 1783~1838년 이후) 오수초족도(午睡初足圖)

조선 19세기 초반, 종이에 수묵 담채, 삼성미술관 리움

 

평상 위에 놓인 책 더미에 윗몸을 기대고 왼쪽 다리를 오른쪽 무릎에 걸친 채 나이 지긋한 선비 한 분이 깜빡 낮잠이 들었다. 오수삼매(午睡三昧). 적당한 볕에 살랑거리는 바람까지 그야말로 단잠이 될 것이다. 깊은 산 속 시골집이다. 마당에 낀 푸른 이끼를 보아 여간해서 찾아오는 손님이 없는 고요함과 한가로움, 느긋함과 편안함이 전부인 곳에서 책 읽는 것 말고 할 수 있는 것이 뭐가 있을까? 책을 읽다가 쏟아지는 졸음에 잠깐 눈을 붙인다는 것이 그대로 잠이든 모습니다.

 

오수초족도(午睡初足圖)는 송나라의 당경(唐庚, 1071~1121)이란 사람의 글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그 첫머리는 다음과 같다.

 

"산은 태고인 양 고요하고 / 해는 소년처럼 길기고 하다 / 내 집이 깊은 산 속에 있어 / 매양 봄이 가고 여름이 올 때면 / 푸른 이끼는 섬돌에 차오르고 / 떨어진 꽃이파리 길바닥에 가득하네 / 문에는 두드리는 소리 없고 / 솔 그늘은 들쭉날쭉하니 / 새 소리 오르내릴 제 / 낮잠이 막 깊이 드네."

 

많은 옛 선비들이 꿈꿨던 삶이 아니던가. 자연 속 소나무와 학이 어우러지는 풍경 속에서 책 읽고 시 쓰는 선비의 일상에 차 한 모금은 그 무슨 호사도 아니리라. 속세를 벗어나 자연의 품속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고 싶은 선비의 마음이 가득하다. 그렇다고 모두가 속세를 벗어나 그림 속의 선비처럼 살 수는 없다. 하여, 이루지 못한 마음을 담아 그림으로라도 그 삶의 맛과 멋을 간직하고 싶었던 것이리라.

 

새 소리 오르락내리락하는 중에 낮잠이 막 깊이 든(금성상하禽聲上下 오수초족午睡初足)” 모양이다. 화제 끝에 찍은 인장은 "필하무일점진(筆下無一點塵)"이다. "붓 아래 세속의 띠끌 한 점도 없다." 하루 맑고 한가로우면 그 하루가 신선이니까.

 

이재관(李在寬, 1783~1838년 이후)의 호는 소당(小塘)으로 작은 연못이라는 뜻이다. 태조 어진을 복원해 감목관(監牧官)을 지냈다. 산수, 인물, 영모, 초상에 모두 능했고 남종화법의 문인화를 즐겨 그렸다. 그의 산수 인물화는 소재와 분위기 등에 있어 이인상(1710~1760)과 윤제홍(1764~?)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했다. 그림은 전체적으로 대담하고 시원스럽다. 수묵은 묵직하고 투박한 듯 하지만 깨끗하고 맑은 담체를 곁들여 여유롭고 높은 정신의 세계를 잘 구현해 냈다. 일본인들이 좋아해 매년 부산에 들어와 작품을 사 갔다고 한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월간미술, 2009)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종 2015-02-04 15: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독후감상화네요. 보기만 해도 여백의 삶이 그려내는 풍경이 부럽습니다. 점점 치열해지는 삶 속에서 가끔은 쉼표처럼 그려지는 시간을 갖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러려면 욕심부리고 움켜쥐고 있는 많은 것들을 하나 둘씩 버려야겠죠? 사실 제 한 몸 살아가기에는 그리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거늘. . .
(이 와중에 저 인간의 신발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거냐며. . ㅎ)

무진無盡 2015-02-04 20:50   좋아요 0 | URL
마음먹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진다는...
(그러게요..잠에서 깬 것도 아니고 어디 갈 곳도 없는데 신발이 안중에나 있을까요? ㅎㅎ)

나비종 2015-02-04 21: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예. 마음이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주인이 맨날 일만 시킨다고 저 동자승필 나는 아이가 감췄거나, 아님 아궁이에 넣고 불 때는 중인지도. . 부채들고 눈치보는 중ㅎㅎ)

무진無盡 2015-02-04 21:16   좋아요 0 | URL
그 마음 달리 먹기가 힘들어서 그렇지 ^^
(여기도 갑을관계? ㅎ)

나비종 2015-02-04 21: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가장 바뀌기 어려운 것이 사람 마음인 것 같아요. 그러다가도 순식간에 바뀌기도 하구요.^^
(이런. . 그럼 이건 역사적인 관점이 도입되는 건가요? 낮잠자는 저 노인 중심으로 서술된 제목하며ㅋㅋ 구석에서 열라 일하는 저 아이는 그저 새들과 함께 배경화되어. .)
 

"권력 앞에서도

제 모습

생긴 대로,

나는야

옆으로 걷는다"'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 해탐노화도(蟹貪蘆花圖)

조선 18세기 말~19세기 초, 종이에 수묵담채, 간송미술관

 

옛 그림을 읽는다는 것은 그 속에 담고 있는 상징을 읽는다는 것과도 같은 말이다. 두 마리의 게가 갈대를 붙잡고 있다. 게와 갈대 무슨 사연이 있어 그림에 같이 등장하는 것일까? 그것도 두 마리의 게와 함께 말이다. '게가 갈대꽃을 탐하는 그림 즉 해탐노화도'는 과거시험을 앞둔 사람에게 그려주는 그림이다.

 

오주석의 설명에 의하면 갈대 로()의 옛 중국 발음은 나귀 려()와 매우 비슷하다고 한다. 나귀 려는 원래 임금이 과거급제자에게 나누어주는 고기 음식을 뜻하는 것이란다. 그 뜻이 발전되어 전려(傳驢) 또는 여전(驢傳)이라고 하면 궁중에서 과거급제자를 호명해서 들어오게 하는 일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게 두 마리가 갈대꽃을 물은 것은 소과(小科)와 대과(大科)에 모두 합격하라는 뜻이요 꼭 붙들고 있는 것은 붙어도 확실하게 붙으라는 의미다.

그뿐이랴? 게는 등에 딱딱한 껍질을 이고 사는 갑각류이니 그 딱지는 한자로 갑이 된다. 즉 게의 껍질인 갑은 천간(千干)인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중의 첫 번째이니 바로 장원급제를 의미하는 것이다.”여기까지는 그렇다고 이해할만하다, 하지만 김홍도는 한발 더 나아간다.

 

해룡왕처야횡행(海龍王處也橫行)”

"바다 속 용왕님 계신 곳에서도 나는야 옆으로 걷는다!"

 

화제를 그럴듯하게 써놓았다. 과거에 붙는 것으로 끝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붙은 다음부터 시작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왕 앞에서 쭈뼛거리지 말고, 천성을 어그러뜨리지 말고, 되지 않게 앞뒤로 버정거리며 이상하게 걸을 것이 아니라, 제 모습 생긴 대로 옆으로 모름지기 옆으로 삐딱하게 걸을 것이다"라는 의미다. 횡행개사(橫行介士)는 게의 별칭인데 게는 말 그대로 옆으로 횡행한다는 말이고 개사는 강개(慷慨)한 선비란 뜻이다.

 

요즘 정치현실에 딱 맞는 정문일침(頂門一針)이다. 그렇다면 요사이 정치인들은 어떨까? 권력이 무엇이기에 예나 지금이나 그 권력 앞에서는 사람의 목숨도 아랑곳하지 않은 것일까? 출사표를 던질 때의 마음은 어디가고 자신의 목소리도 없다. 대의도 명분도 없이 오직 자신이 속한 정치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벌이는 비굴한 모습도 부끄러운지도 모른다. 옛사람들의 출사 하는 마음가짐을 배워야하지 않을까?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장소] 2015-01-17 22: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무진~ 기행이군요.오늘은..!^^
시제는 니 맘 잘 닦아라..(너무 건너 뛰나요? 아니죠?!^^)
오늘은 경제.정치. 두루 두루..아..예술까지..

무진無盡 2015-01-18 22:06   좋아요 0 | URL
누구든 삶은 다 예술입니다~ㅎ

나비종 2015-01-18 02: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옛 그림은. . `시`와 같은 것이군요.
설명이 갑입니다.^^

무진無盡 2015-01-18 22:06   좋아요 0 | URL
옛그림만 그러겠어요
살아가는 동안 만나는 모든 것이 다 시 아니던가요? ^^

[그장소] 2015-01-19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삶음....삶은....계란.
삶은....걸레....
무진 님 눈이 예쁘군요..^^

이 넘의 더러운 세상..에잇! 아름다워!!

이런건 아니고요!
ㅎㅎㅎ
농 인거 아시죠?

무진無盡 2015-01-19 15:18   좋아요 0 | URL
그렇게라도 애쓰지 않으면 더 힘들잖아요 ^^

[그장소] 2015-01-19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무진? 애쓴다...할때..그..무진!!^^

무진無盡 2015-01-19 15:23   좋아요 0 | URL
없을무, 다할진ᆢ이면 어떻게 해석되나요? ^^
 

솔 향기 사이로

무엇보다

미쁘고

정다운

벗들의 음성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이인문(李寅文),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

조선 19세기 초반, 종이에 수묵담채, 국립중앙박물관

 

우거진 소나무 성근 가지 사이로 부는 솔바람, 계곡의 흐르는 물소리의 어울림만으로도 넉넉한 자연을 품에 안았다. 마주보는 절벽 사이로 설비치는 절집으로 이곳이 속세를 한참 벗어난 공간임을 말해준다. 하지만, 이 풍경 속 백미는 보일 듯 말 듯 소나무에 가리기도 한 세 사람이다. 차라도 한잔 나눈다면 더 없이 좋은 시간일 것이다. 옆으로 비스듬히 누운 사람도 있는 걸 보면 그들은 심각한 이야기보다는 세상사와는 관계없는 이른바 정담을 나누고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풍류를 즐겼던 옛 사람들은 여름날 소나무가 우거진 계곡에서 서로 마음이 통하는 사람들과 함께 한가로이 담소를 나누는 것을 동경하였다. 옛 사람들의 여유로움을 엿볼 수 있는 이런 그림을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라 한다.

 

벗들이 소나무 숲에 앉아 한가롭게 여담을 즐기는 모습을 그린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는 이인문(李寅文)의 노년작이다. 언제 그렸다는 글씨도 없고 심지어 작가 이름을 적은 관지조차 없지만 이렇듯 칼칼하게 자연의 정수만을 뽑아 그려 낸 화가는 그가 분명하다.” 무엇보다 미쁘고 정다운 소리는 바로 두런두런 이야기를 펼치는 사랑하는 벗들의 음성이다. '논어'"익자삼우 益者三友"라 하였다. "정직한 사람, 성실한 사람. 박학다식한 사람을 벗하라"는 말이다. 오주석의 설명이다.

 

백아절현(伯牙絶弦) 의 지음이 담고 있는 의미를 생각하며 벗을 찾는 사람은 부지기수다. 그렇게 벗을 찾지만 정작 벗과 마음 나누며 아취를 누리고 있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 사람 사귐의 도리를 생각하지 못하는 세태를 탓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하다. 무엇이 그렇게 만들까? 송계한담도(松溪閑談圖)의 벗들의 모습을 지금 우리들 속에서 찾는건 무리일까?

 

이인문(李寅文, 1745~1824년 이후)의 호는 고송유수관도인이며 화원으로 첨사를 지냈다. 김홍도와 동갑내기 절친한 친구이자 그와 함께 당대에 쌍벽을 이룬 화가로 꼽힌다. 산수를 비롯하여 도석인물, 영모 등 다방면에 걸쳐 수준 높은 그림을 그렸다. 특히 고송유수관도인이란 그의 호에 걸맞게 오래된 소나무와 시원한 물줄기를 그린 명품을 많이 남겼다. 이인문의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작품은 길이 8미터가 넘는 대작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비종 2015-01-13 06: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솔잎차를 마셔본 적이 있어요. . 벗이란 그런 걸까요? 너무 진하지는 않지만 오래도록 입 안에 향기롭게 머무는. .

무진無盡 2015-01-14 21:39   좋아요 0 | URL
자극적이지 않지만 그 만의 독특한 향과 맛이 있기에..
 

호쾌한 선들을

관통하는

고매한 기상

 

 

연담(蓮潭) 김명국(金明國) 달마도(達磨圖)

조선 17세기 중반, 종이에 수묵,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그윽한 눈매가 심상치 않다. 억센 매부리코, 풍성한 눈썹과 콧수염, 꽉 다문 입, 턱선 따라 억세게 뻗쳐 나간 구레나룻까지 옅은 색으로 얼굴을 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매에서 전해지는 묘한 느낌은 진한 먹색으로 굵고 빠른 붓놀림으로 그려진 옷에 의해 형성된 몸의 이미지 전체를 규정하기에 충분하다. 옷을 그린 외곽의 강한 선들에 의해 오히려 얼굴에 주목하게 되며 표정에서 전해지는 느낌을 온전히 받아 안을 수 있을 것만 같다.

 

이 그림은 연담 김명국이 그린 달마도다. 조선 인조 때인 1636년 일본으로 가는 조선통신사의 수행화원으로 1636년과 16432차례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일본에서 그렸던 수많은 달마도 중 하나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하여 국내로 들어오게 된 그림이라고 한다.

 

달마는 인도스님이다. 염화미소의 가섭 이래 제28대 조사(祖師). 중국으로 건너와 '마음으로 마음을 전한다'는 선종의 가르침을 최초로 펼친 중국 선()의 제1대 조사가 되었다. 그는 9년 동안이나 벽을 마주하고 수련했다고 전해진다.

 

달마도를 보면 달마를 알 수 있다. 거침이 없고 군더더기가 없다. 본질이 아닌, 바탕이 아닌 온갖 부차적인 껍데기들을 모조리 떨구어 낸 순수 형상이다.” 그렇기에 극도로 단순화한 달마의 모습에서 달마가 지향했던 선()의 한 면모를 담을 수 있었을 것이다.

 

연담蓮潭 김명국金明國 또는 鳴國(1600~1662년 이후)은 조선중기를 대표하는 도화서 화원. 술에 취하여 붓을 든다고 해서 취옹(醉翁)이란 호도 있다. 연담은 선종화禪宗畵 특히 사진에서 보는 달마도達磨圖를 잘 그렸다. 조선 후기의 미술평론가인 남태응은 그의 청죽화사(聽竹畵史)’에서 "김명국 앞에도 없고 김명국 뒤에도 없는 오직 김명국 한 사람이 있을 따름이다"라고 평하였다. 작품으로 설중귀려도(雪中歸驢圖), 심산행려도(深山行旅圖), 노엽달마도(蘆葉達磨圖), 기려도(騎驢圖), 관폭도(觀瀑圖) 등이 있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천개의 바위

다투어

빼어나고

만 줄기 계곡물

뒤질세라

내닫는데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 만폭동도(萬瀑洞圖)

조선 18세기 중반, 비단에 수묵담채

 

예 구부러진 늙은 장송 광풍(狂風)을 못 이겨 우줄우줄 춤을 출 제 / 원산(遠山)은 암암(暗暗) 근산(近山)은 중중(重重) 기암은 층층 매산(每山)이 울어 천리 / 시내는 청산으로 돌고 이 골 물이 쭈루룩 저 골 물이 콸콸, 열의 열두 골 물이 한데 합수(合水)쳐 천방저 지방저 월특저 방울저 방울이 버큼저 / 건너 병풍석(屛風石)에다 마주 꽝꽝 때려 산이 울렁거려 떠나간다

 

오주석은 이 그림 속에서 판소리 수중가의 중중모리 고고천변인데 자라가 뭍에 올라 난생처음 명산구경하는 대목을 떠올린다고 했다. 그의 표현을 빌리지 않더라도 시원스런 물소리가 울려 가슴을 두드리는 듯하다. 계곡과 나무 그리고 물의 흐름이 어우러진 소리가 어우러져 음악이라는 말에 공감한다. 저 자연 속에 심취해 있는 사람들의 표정이 보이는 것처럼 생생한 소리로 들린다.

 

천 개의 바윗돌 다투어 빼어나고, 만 줄기 계곡 물 뒤질세라 내닫는데, 초목이 그 위를 덮고 우거지니, 구름이 일고 아지랑이 자욱하네(千巖競秀 萬壑爭流 艸木蒙籠上 若雲興霞蔚)”

 

화제 역시 그림과 썩 잘 어울린다. 내용도 그렇지만 글씨모양도 그림과 하나 되어 울림을 전해준다. 중국 명산을 읊었던 고개지(顧愷之)의 시임에도 이곳에 더 걸맞다는 오주석의 해설을 따라갈 수밖에 도리가 없다. 이곳 너럭바위에 세겨진 양사언(楊士彦, 1517~1584)의 글씨 봉래풍악 원화동천(蓬萊楓嶽 元化洞天)’로 금강산은 신선이 사는 산이며 조물주의 별천지지 임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만폭동은 내금강(內金剛)에 이르는 넓고 큰 동구(洞口)이다. 금강산 여행길에 오른 일행은 내금강 입구인 만폭동에 올라 멀리 금강산을 바라보며 한없는 기쁨에 젖어 있다. 녹음 우거진 계절에 물소리조차 우렁차게 들려 그 심정을 돋구어 주기에 충분하다. , 동자를 대리고 일행과 함께 만폭동 너럭바위에 올라 멀리 바라다 보이는 곳을 손으로 가리키는 사람이 정선 본인은 아닌지...

 

정선(鄭敾, 1676~1759)은 영조 때의 화원으로 활약하면서 조선시대 화가 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호는 난곡(蘭谷), 겸재(謙齋).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완성하고 성행시켰다. ‘금강전도’, ‘인왕제색도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책 속의 그림을 다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